A Study of Hierarchical Stepwise Migration and Depopulation : focusing on city rank-size and NIR change, 1995~2014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과 과소화 검토 -1995~2014년 도시 순위-규모와 자연적 인구증가율 변화를 중심으로-

  • Lee, Chung Sup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Eun, Seog In (Department of Social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섭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은석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16.01.29
  • Accepted : 2016.02.25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stepwise migration and its influences on regions (metropolitan areas, cities and counties of Korea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analyzing the city rank-size and the changes of natural increase of popul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inter-regional migration has been associated to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and the decline of NIR in the regions where outflows have been persisted. Also, theses demographic events have sequentially occurred through the hierarchy of settlement system: gradually from rural (gun) and lower ranked regions in the system of city rank-size, to urban (si) and regions in the high ranks in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and expect the major origins of inter-regional migration, the presence of the hierarchical stepwise migration and most significantly, the spatial expansion of depopulation problems.

이 연구의 목표는 도시 순위-규모별 자연적 인구증가율(NIR)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이 발생했는지 여부와 그것이 개별 도시들에 파급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지역으로 대표되는 농촌은 196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인구가 유출되어, 1985년 일부 지역에서 처음 음(-)의 NIR이 발생하였고, 1990년대 중반에는 해당 인구현상이 대부분 군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농촌 출신 이동자를 유입했던 시 지역들은 1990년대 중반까지 인구가 증가했지만, 이후부터 인구유출과 감소가 시작되었다. 음의 NIR 발생지역도 1995년 2개, 2005년 14개, 2014년 19개로 증가했고, 해당 지역의 분포는 비수도권에 집중되었다. 셋째, 수도권은 과거에도 농촌 출신 이동자를 유입했고, 현재에는 비수도권 도시 출신 이동자를 유입하는 도착지로 작용하면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결국 '이동에 따른 인구유출'${\rightarrow}$'개별 지역 전체 인구감소'${\rightarrow}$'해당 지역에서 음의 NIR 발생'이라는 순차적 인구현상이 농촌에서 비수도권 도시, 도시 순위-규모 하위 계층 지역에서 상위계층지역으로 상향 전이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시 계층성에 따른 단계적 이동이 진행되어 왔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단계적 이동의 영향력은 과소화 문제가 과거 농촌에서 최근 비수도권 도시들까지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환(역), 2015, 지방소멸, 와이즈베리, 서울(増田寛也, 2014, 地方消滅, 中公新書, 東京).
  2. 이정섭, 2014,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인구성장과 단계적 이동: 전라북도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9(4), 525-545.
  3. 이희연, 2003,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법문사.
  4. Conway, D., 1980, Step-Wise Migration: Toward a Clarification of the Mechanism,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14(1), 3-14. https://doi.org/10.1177/019791838001400101
  5. Hornby, W. F. and Jones, M., 1993, An introduction to population ge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Ravenstein, E. G., 1876, Census of the British Isles, 1871: Birthplaces and migration, The Geographical Magazine, 3, 173-177(july), 201-206(august), 229-233(september).
  7. Ravenstein, E. G., 1885, The laws of migration, Journal of the Statistical Society, 48, 167-227.
  8. Weeks, J., 2014, Population: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Cengage Learning.
  9. Zelinksy, W., 1971, The hypothesis of mobility transition, Geographical Review, 61(2), 219-249. https://doi.org/10.2307/213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