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차의 원료로 사용된 한약재 조사연구

A Survey of the Medicinal Herbs Used in the Traditional Korean Tea

  • 박호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진선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박소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 이상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Park, Hoyou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in, Sunyeo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yeon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ae (Department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10.13
  • 심사 : 2016.11.30
  • 발행 : 2016.12.31

초록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cinal herbs, the ingredients of traditional Korean Tea, focusing on efficacy in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rough this study, for vitalizing traditional Korean Tea market, the researchers attempt to explain the superiority of traditional Korean Tea. And it will be used basis data on further traditional Korean Tea. Methods : We conducted a research targeting traditional Korean Tea in domestic market from June through December 2014, and finally 205 kinds of T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48 kinds of medicinal herbs were used alone as ingredients in the traditional Korean Tea containing just one medicinal Herb. and 87 kinds of medicinal herbs were used as ingredients in the traditional Korean Tea containing more than two kinds medicinal Herb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medicinal Herbs by part for use, roots and rhizome is most used. In the classification of efficacy of medicinal herbs, tonifying and replenishing medicinal herbs are most popular as ingredients in the traditional Korean Tea. Conclusions : Medicinal herb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traditional Korean Tea. Tea consumers concern about not only the efficacy but also the taste, scent and color. Therefore, further study about these things would be required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traditional Korean T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대원. 18세기 民間醫療의 成長. 한국사론. 1998;39:187-238.
  2. 이상재, 정지훈. 조선왕조실록 을 통해 본 한국의 차문화.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2):17-28
  3. 조선시대 藥茶 연구: 醫學書籍과 承政院日記를 중심으로. 김종오.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0.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2011.
  5. 오성천. 가공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품질 특성. 한국유화학회지. 2014;31(3):534-540. https://doi.org/10.12925/JKOCS.2014.31.3.534
  6. 장재선, 최미용, 오성천. 당귀, 작약, 천궁, 삼백초, 인진쑥 및 산조인을 첨가한 한방차의 팽화 온도별 고형분 용출율과 Benzo[${\alpha}$]pyrene의 변화. 한국유화학회지. 2014;31(2):305-312. https://doi.org/10.12925/JKOCS.2014.31.2.305
  7. 손해식, 임정남. 전통차의 관광상품화를 위한 실증적 연구. Journal of Global Academ y of Marketing Science. 2001;8:21-38. https://doi.org/10.1080/12297119.2001.9707515
  8. 송지성, 신희영. 민속차 고유브랜드 창출을 위한 한국전통차 시장 및 스타벅스 사례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02;8(2):253-263.
  9. 김경희, 박성선. 전통차 전문점 방문객의 차 품질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한국차학회지. 2008;14(3):51-62.
  10. 허영선, 함성필. 전통차 전문점 방문고객의 선택속성, 고객만족, 추천의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2013;9(3):45-60.
  11. 이덕자, 조정순, 박진영, 박성혜. 기체혈어형 과체중 및 비만을 위한 약선차의 약선식료학적 접근 및 식품영양학적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2;25(3):513-520. https://doi.org/10.9799/KSFAN.2012.25.3.513
  12. 김석중, 김동철, 이진상, 김미려. 한방차의 여성 생리통 완화에 대한 임상체험 평가. 동서의학. 2012;37(1):29-41.
  13. 김수경, 이정은, 윤미경, 고희정. 한방차가 시설노인의 생리적 기능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3):1448-1457.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448
  14. 오승희. 韓國飮淸類에 關한 硏究-第四報 林園十六志를 中心으로 한 韓國 飮淸類에 關하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78;7(2):13-19.
  15. 오방색으로 분류한 꽃차와 약차의 종류 및 효능에 대한 문헌적 고찰. 이명옥. 조선대학교(대체의학과). 2016.
  16. 하은옥, 강문숙, 이명자, 박성선. 茶연구동향 분석. 한국차학회지. 2010;16(3):111-118.
  17. 정병춘, 문윤호, 송연상, 한선경, 방진기. 역사를 통해서 본 한국 차 산업 발전 저해요인과 극복방안. 한국차학회지. 2007;13(3):159-176.
  18. 문수정, 정순희. 웰빙 茶음료 구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08;26(6):7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