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n East Asian Top Level Countries' Mathematics Achievements in PISA 2012 Results

동아시아 상위 성취국의 PISA 2012 수학 결과 비교 분석

  • Rim, Haeme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 Received : 2016.11.18
  • Accepted : 2016.12.20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draw implications for better math education in schools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three east Asian top level countries, Korea, Singapore, and Japan in PISA 2012 results. As a results, the rate of correct answers of Korea student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ose of Singapore, but relatively higher than Japan. From the results of effect size, similar results from t-test was discovered. As shown in analysis according to sub-elements in math assessment framework, the Korean students had low effect size in every sub-elements than Singapore. and they had high effect size at most of sub-elements than Japan, except "personal" context. In top performing level(above level 5), the Korean students had high effect size at "quantities" in mathematical contents, and "employ" in mathematical processes compared with Singapore. And they had row effect size at 6 sub-elements compared with Japan.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역량 평가인 PISA 2012의 결과를 토대로 동아시아 상위 성취국인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의 인지적 성취 특성을 살펴보았다. 수학 평가틀의 하위요소와 문항 유형별로 정답률과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싱가포르보다 13개 하위요소 모두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일본과는 '개인적' 맥락을 제외한 12개 하위요소에 대해 높은 성취를 보였다. 그러나 5수준 이상의 상위 수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는 하위요소별로 특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5수준 이상의 비율은 싱가포르, 우리나라, 일본 순의 비율을 보였으나, 평가틀의 하위요소별 결과에서는 우리나라는 싱가포르보다 '양', '이용하기'의 성취가 높았으며, 일본과 비교하여 '과학적' 맥락, '공간과 모양'과 '양' 영역, '형식화하기'와 '해석하기', '선다형'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점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수학 소양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위 수준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옥, 김성숙,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2015).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상위국 성취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6-1.
  2.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3. 이정규, 박춘성(2009). 국가별 영재교육정책과 영재성에 대한 비교 연구: 일본 영재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2), 1-18.
  4. 임해미, 김부미(2014).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학교수학, 16(2), 259-283.
  5. 조윤동, 윤용식(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
  6. 조지민, 동효관, 옥현진, 임해미, 정혜경, 손수경, 배제성(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PISA 2012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3-1.
  7. 최혁준(2015). 한국,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과학 결과 비교. 교원교육, 31(3), 370-399.
  8. 키타하라 카즈오 외(2008). 과학 기술의 지혜 프로젝트 수리과학 전문부회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9.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10.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11. OECD (2014a). Lessons from PISA for Korea, Strong Performers and Successful Reformers in Education. OECD Publishing.
  12. OECD (2014b). PISA 2012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Student Performance i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Vol. I, Revised Edition). OECD Publishing
  13.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06). Secondary Mathematics Syllabuses.
  14.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012).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