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종상향 용도지역의 지가 변화 분석을 통한 공공성 확보 비율 산정 -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운영지침을 대상으로 -

Determining(Estimating) Ratios for Enhancing Publicness Through Analysis of Changes in Land Prices Influenced by Upzoning - A Case of Operating Instructions of District Unit Planning in Busan -

  • 투고 : 2016.11.02
  • 심사 : 2016.12.02
  • 발행 : 2016.12.31

초록

지구단위계획의 주요내용 중 하나인 용도지역 변경은 지구전체의 조화로운 개발보다는 종상향을 통한 개발 이득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에서 종상향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검토하여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종상향에 따른 공공시설 확보 비율 기준을 검토하여 지구단위계획의 공공성 확보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전체지역의 지가상승률과 용도지역 변경지역의 지가 상승률을 비교 검토한 결과 10~15%의 공공시설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의 확보 비율을 사업부지 전체 면적 대비 10%를 적용하도록 하여 상향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Change of Zoning Regulations in district unit plans calls for improving development benefits through upzoning rather than harmonious worldwid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loor area ratio incentive system according to un-zoning in district units plan, and to suggest criteria to secure publicness. In order to derive methods to secure district unit plan publicnes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atio of securing public facilities through upzoning was examined. A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price rate in the entire city versus the use district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10 to 15% of public facilities. In this study, 10% of the project site was applied to secure public facilities, and it produced upgraded public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Busan Development Institute. 2013. A study on core standard on the guideline for district unit planning. p.4. (부산발전연구원. 2013, 지구단위계획 운영지침 핵심기준 연구. p.4.)
  2. Cho. J.H. and T.H. Moon. 2016.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43-52. (조정훈, 문태헌, 2016.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구조와 공시지가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1):43-52.)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1.043
  3. Choei. N.J. 2009. Spatial designation of impact fee zone based on the parcel development permit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3):116-127. (최내영. 2009, 개발허가필지의 지리정보를 이용한 기반시설 부담구역 지정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116-127.)
  4. Kim, H.K. 2006.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using GIS: with special reference to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4):204-214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 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204-214).
  5. Kim. H.R. 2014. Evaluation of publicity on the public space : focus on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s of district units plan. Ph.D.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p.8. (김혜란. 2014. 지구단위계획내 특별계획 구역에 대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평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8.)
  6. Kim. S.I. and I.H. Kim. 2006. Estimation of planning-gain from zoning regulation chang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pp.9-20. (김상일, 김인회. 2006. 용도지역 변경에 따른 계획이득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p.9-20.)
  7. KLIS(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http://klis.busan.go.kr (한국토지정보시스템).
  8. Lee. D.M. 2007. A study on the citizen's satisfaction for the public open space. Master's Thesis, Yeungnam Univ., Daegu, Korea. pp.71-77. (이동민(2007), 공개공지에 대한 주민만족도 분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71-77.)
  9. Oh. H.D. 2008. A study on the optimal sharing rate of infrastructure cost: focusing on the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pp.56-59. (오희동(2008), 적정 기반시설 부담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56-59.)
  10. Park. J.S. and K.S. Kim. 2013.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policy and legal syst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in terms of the publicnes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2):35-52.(박진수, 김기수. 2013. 공공성측면에서 본 현행 도시재생정책 및 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2):35-52)
  11. Won. J.S., J.H. Choi, and K.H. Kim. 2007. A study on improved incentive system for expanding public facilities for neighborhoods in the district unit plan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12(3):151-162. (원종석 외(2007), 공공시설 확충을 위한 지구단위 계획 인센티브 제도 개선방안 연구. 국토계획 42(3):15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