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교육경험이 개인의 성취정도와 진로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ffects on Achievements and Careers of Secondary Science Gifts Education Experience

  • 김연희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
  • 조갑룡 (부산광역시영재교육진흥원)
  • Kim, Yeon Hee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and Promotion) ;
  • Jo, Gab Lyong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for Gifted Education and Promotion)
  • 투고 : 2016.12.01
  • 심사 : 2016.12.27
  • 발행 : 2016.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소속의 영재교육원을 수료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과학영역 영재교육원에 입학한 중등영재 7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고 Giorgi 분석방법으로 현상학적으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에서 7개 중심의미와 21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진로면에서는 5개 중심의미와 11개의 주제를 규명하였다. 영재학생들의 영재교육경험이 성취면과 진로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학생들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를 토대로 앞으로의 영재교육 방향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in the secondary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7 respondents who were admitted secondary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from 2001 to 2004 in Busan.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This qualitative study appli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The gifted person experiences of gifted education were clustered into 7 specific themes and 21 general structures for achievements. And they were clustered into 5 specific themes and 11 general structures for careers. It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achievements and careers. The result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종합진흥계획(2013-2017). 서울: 교육부.
  2.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수,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9(6), 1208-1220.
  3. 김순식 (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2), 37-63.
  4. 김언주, 이군현, 문정화 (2000). 과학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추적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10(1), 55-74.
  5. 김옥분, 김항중 (2012). 초등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11(2), 47-72.
  6. 김은선, 이영순, 김동원 (2015). 중학생의 진로 인식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재활심리연구, 22(1), 203-221.
  7. 김혜진, 김옥분 (2008). 초등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2), 107-127.
  8. 박성익 (1995).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교수방법 및 교수 전략. 영재교육연구, 5(1), 1-15.
  9. 박주현, 김용태 (2009). 대구지역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9(3), 59-80.
  10. 안도희, 한기순, 김명숙 (2009).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과 정의적 . 인지적 특성에 미치는 중.장기적 효과. 영재교육연구, 19(2), 279-302.
  11.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3.
  12.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12). 추적연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진로탐색. 한국교육, 39(3), 83-105.
  13.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15). 대학생 과학영재의 합리적 의사결정, 내재적 동기와 전공선택 확신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의 매개효과. 영재교육연구, 25(6), 951-970. https://doi.org/10.9722/JGTE.2015.25.6.951
  14.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15. 육근철, 문정화 (2004). KAIST 조기진학을 위해 초고속 속진학습을 받은 과학영재들의 성취정도와 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영재교육연구, 14(2), 1-18.
  16. 전미란 (2013).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영재교육연구, 23(1), 25-47. https://doi.org/10.9722/JGTE.2013.23.1.25
  17. 조선미, 한기순 (2014). 비인지적 영역 영재교육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연구, 24(1), 45-61.
  18. 조현철 (2013).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의 과학탐구력과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대한 효과. 사고개발, 9(3), 1-22.
  19. 주연정, 여상인 (2014). 단위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운영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영재교육연구, 24(6), 935-959. https://doi.org/10.9722/JGTE.2014.24.6.935
  20. 최민경, 이경표 (2013).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이론적 제안 및 고찰. 영재교육연구, 23(5), 793-815.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93
  21. Gagne, F. (1995). From giftedness to talent: A developmental mode and its impact on the language of the field. Roeper Review, 18(2). 103-111. https://doi.org/10.1080/02783199509553709
  22. Hill, O. W., Pettus, W. C., & Hedin, B. A. (1990).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s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4), 289-314. https://doi.org/10.1002/tea.3660270403
  23. Feldman, D. H. (1984). A Follow-up of Subjects Scoring above 180 IQ in Terman's "Genetic Studies of Genius". Exceptional Children, 50(6), 518-523. https://doi.org/10.1177/001440298405000604
  24. Oliver W. H., W. Clinton Pettus & Barbara A. Hedin (1990).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s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4), 289-314. https://doi.org/10.1002/tea.3660270403
  25. Subotnik, R. F., Duschl, R. A., & Selmon, E. H. (1993). Retention and attrition of science talent: A longitudinal study of westinghouse science talent search winner. International Journal Science Education, 15(1), 61-72.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105
  26. Watters, J. J. (2010).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gifted students: The mediation of teachers. Gifted Child Quarterly, 54(3), 222-238. https://doi.org/10.1177/0016986210369255
  27.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