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이버 교육에 대한 과학고 교사의 인식 조사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on Cyber Education

  • 투고 : 2016.11.15
  • 심사 : 2016.12.27
  • 발행 : 2016.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교육의 시행을 위한 정책지원자료 개발을 위하여 과학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식조사에 참여한 교사들은 사이버 교육이 시간과 공간 제약의 극복과 교육 기회의 확대 측면에서 긍정적이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어렵다거나 교수자의 역할이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부정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지리적, 신체적, 사회문화적 취약계층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시 또는 입학 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사이버 브릿지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은 사이버 교육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건은 콘텐츠라고 생각하였으며 고품질의 과학고 사이버 브릿지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하였고, 이에 교사들이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과 개발 기준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과 예산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operation plan for the Cyber Bridge Program based on the survey from teachers of science high schools. Teachers were found to be thinking it positive that cyber programs can be operated free from the time and spatial restrictions. They thought that teacher interactions are hard to occur and teachers' role in learning is limited as well. Also, the geographical, physical, and socio cultural minorities might have benefits from cyber programs either as regular programs or the before entrance programs. Therefore, the detailed plans are needed. Most of all, since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the key for the programs, we suggested some contents categories and developmental criteria. As a result, the developments of high quality contents and financial supports for the successful Cyber Bridge Program are essentia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희, 조석희, 금미라 (2000). 사이버 영재교육의 가능성 탐구를 위한 사례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6(1), 49-70.
  2. 권상오 (2007). 온라인 교육에서 구성주의적 교수방법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759-762.
  3. 김진석 (2005). 온라인 수학 과학 영재교육을 준비하며.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21(4), 31-34.
  4. 뉴스타운경제 (2016. 03. 03). [시장분석] 온라인 교육 업계 현황과 시장동향.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2252 (검색일: 2016. 09. 17)
  5. 이성일 (2012). 온라인교육에서 구조변수,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77-94.
  6. 이재호 (2002). 과학영재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 현황 및 활용방안. 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71-97.
  7. 이재호 (2006). 과학영재를 위한 e-Learning 콘텐츠의 설계 방법론.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9, 125-133.
  8. 이재호, 홍창의 (2009).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검증. 영재교육연구, 19(1), 116-137.
  9. 이현주 (2014).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오프라인 학습자 특성 및 온라인 학습태도의 수준과 구조적 관계 비교: 학교태도, 자기조절학습 및 학습흥미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2(1), 303-331.
  10. 정인정 (2005).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TTAS, OT-10.0003). TTA 저널, 98, 92-96.
  11. 채유정, 이성혜 (2015).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영재교육연구, 25(6), 905-926.
  12. Bir, B., & Myrick, M. (2015). Summer bridge's effects on college student success. Journal of Developmental Education, 39(1), 22-30.
  13. Bowen, W. G., Chingos, M. M., & McPherson, M. S. (2009). Crossing the finish line: Completing college at American's public universit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Borland, J. H. & Wright, L.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ly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64-171. https://doi.org/10.1177/001698629403800402
  15. Carter, P. L. (2003). "Black" cultural capital, status positioning, and schooling conflicts for low- income African American youth. Social Problems, 50(1), 136-155. https://doi.org/10.1525/sp.2003.50.1.136
  16. College Board. (1999). Reaching the top: A report of the national task force on minority achievement. New York, NY: College Board Publications.
  17. Garrison, D. R., & Anderson, T. (2003).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Falmer.
  18. Gilmer, T. C. (2007). An understanding of the improved grades, retention and graduation rates of STEM majors at the Academic Investment in Math and Science (AIMS) Program of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BGSU). Journal of STEM Education, 8(1-2), 11-21.
  19. Gordon, E. W., & Bridglall, B. L. (2004). Creating excellence and increasing ethnic-minorityleadership in science, engineering, mathematics, and technology: A study of the Meyerhoff Scholar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Baltimore County. Naperville, IL: Learning Point Associates.
  20. Marton, K., Domingo, M. R., Stolle-McAllister, K., Zimmerman, J. L., & Hrabowski, F. (2009). Enhancing the number of African Americans who pursue STEM PhDs: Meyerhoff scholarship program outcomes, processes, and individual predictors. Women Minot Science Engineering, 15(1), 15-37. https://doi.org/10.1615/JWomenMinorScienEng.v15.i1.20
  21. Moore, J. L. (2006).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African American males’ career trajectory in engineering: Implications for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parents. Teachers College Record, 108(2), 246-266.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53.x
  22. Summers, M. F., & Hrabowski, F. A. (2006). Preparing minority scientists and engineers. Science, 311, 1870-1871. https://doi.org/10.1126/science.1125257
  23. Walpole M. B., Simmerman, H., Mack, C., Mills, J. T., Scales, M., & Albano, D. (2008). Bridge to success: Insight into summer bridge program students' college transition. Journal of the First Year Experience & Students in Transition, 20(1), 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