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icing Mechanism of Production Factor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드라마 제작산업의 가격 결정 메커니즘

  • 노동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5.12.01
  • Accepted : 2015.12.23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In Korea's drama industry, a production factor has several prices, not one, bucking the general economic theory. The price changes depending upon the broadcaster, the producer, and even the genre. The price gets determined by such factors as the scarcity, the substitutability, the overall budget size, and so on. For star actors, the price stands for their popularity and ego, which makes them strive so desperately for a higher pay than competitors. The rise of the production factor price has outpaced that of the production budget, to cause undesirable structural problems. It is deemed that the running guarantee could be a way to rationalize the pricing system for production factors in Korea.

드라마 제작산업의 가격결정 방식은 다중가격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생산요소 가격은 방송사업자별, 제작주체별, 드라마 장르별로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중가격 체계에서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생산요소의 희소성과 대체재의 유무, 제작비 규모, 명성 효과, 경쟁의 정도, 생산요소를 선택하는 주체 등이다. 스타 연기자에게 가격은 자신의 역량을 평가받는 기준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자존심이라는 명성과 직결되는 기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연기자 가격은 기존의 최고 가격을 경쟁자가 뛰어넘으며 경쟁하는 시소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작가 가격은 최고 대우를 받고 있는 특정 작가의 가격 이하에서 제한적으로 상승하는 사다리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는 제작비 규모의 상승 속도가 생산요소 가격의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런닝개런티 제도를 적용하여 합리적인 시장 가격 형성을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노동렬, 방송산업의 비극, 서울: 부키, 2015.
  2. R. E. Caves, Creative Industry: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3. 김진웅, "지상파방송 외주제작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방송문화연구, 제17권, 제1호, pp.123-145, 2005.
  4. 김진웅, 정호식, 이강현, 외주제작의 증가로 인한 방송사 드라마제작 실태 변화 연구, 한국방송문화진흥회, 2006.
  5. 노동렬, "수직적으로 해체된 드라마 시장에서의 전략적 생산요소 결합방식에 관한 연구," 미디어경제와 문화, 제6권, 제3호, pp.7-50, 2008.
  6. 노동렬, "방송시장의 붉은 여왕 효과 연구: 종편 환경으로 인한 드라마 시장의 변화 요인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1호, pp.97-145, 2012.
  7. 박은희, 노동렬, 이정훈, 외주정책 성과평가 및 외주제작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0.
  8. 장용호, 노동렬, "드라마 산업의 수직적 해체와 생산요소시장의 부상 과정,"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1호, pp.153-185, 2008.
  9. 김성연, 스타시스템과 드라마 외주제작시장 변화에 관한 연구: 방송사, 외주제작사, 기획사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0. 김승수, "외주 제작 시장과 스타 시스템의 왜곡 성장: 방송 공경제에서 방송 사경제로의 이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1호, pp.6-38, 2007.
  11. 문성철, "외주제작 정책 20년의 성과 평가: 프로그램 제작 시장의 변동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3호, pp.154-206, 2011.
  12. 박소라, 양현모, "외주정책이 제작시장과 외주제작 공급 및 프로그램 다양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50-95, 2006.
  13. 송경희, 외주제작 의무편성 정책의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방송진흥원, 1999.
  14. 조항제, "외주정책의 공과: 쟁점과 대안," 한국방송학회.MBC 학술세미나 방송영상산업 진흥과외주정책 발표자료, 2003.
  15. 최세경, "방송외주제도 20년의 평가와 개선방안: 외주제작 거래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17호, pp.67-97, 2010.
  16. Porter, Eduardo, The Price of Everything, UK: Penguin Group, 손민중, 김홍래 역, 모든 것의 가격, 서울: 김영사, 2011.
  17. Mohammed, Rafi, The Art of Pricing, New York: Harper Business, 2005, 최경남 역, 가격 결정의 기술, 서울: 지식노마드, 2006.
  18. H. Estelami, "Consumer Perceptions of Multi-Dimensional Prices," Advances in Consumer Reserch, Vol.24, pp.392-399, 1997.
  19. T. Nagle and R. Holden, The Strategy and Tactics of Pricing, NJ: Prentice Hal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