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morph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al system of marine terrace in the eastern part of Seopo-myeon, Sacheon-si, Gyeongnam Province

경남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단구 지형 발달과 분포 체계

  • Yoon, Soon-Ock (Dept. of Geography and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 Kang, Bong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ung-Sun (Dep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Sangill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강봉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 박충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6.11.04
  • Accepted : 2016.11.25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eastern coast of Seopo-myeon, Sancheon-si in the South Coast is a bay almost completely separated from open sea by Changseon and Namhae Islands. Marine terraces in this area can be classified into geomorphic surfaces with elevations of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and 54m. This marine terrace system is similar to the Boryeong area in the West Coast. The geomorphic surfaces distribute along ridges and show relatively small areas. The young and old surfaces show a mixed distributional pattern. This distributional pattern contrasts to the East Coast where the oldest surface farthest from the coastline is parallel to the coast and age of the surfaces increases with a distance from the coast. These seem to result in high energy waves by typhoon that developed wave-cut platform on hill areas with relatively complex relief in a short time.

남해안의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은 창선도와 남해도에 의해 외해와 거의 완전하게 단절된 내만이다. 이 지역의 해안단구는 형성 시기를 달리하는 해발고도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54m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체계는 서해안 보령 지역의 것과 유사하다. 지형면은 구릉지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며 면적이 대체로 좁다. 그리고 형성된 지 오래된 지형면과 상대적으로 젊은 지형면이 혼재되어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공간 분포 특징은 오래된 지형면이 가장 내륙쪽에서 해안선에 평행하게 나타나며 해안으로 갈수록 최근에 만들어진 지형면이 나타나는 동해안과는 대조적이다. 이것은 기복이 복잡한 구릉지에 태풍에 의해 형성된 강력한 에너지를 갖는 파랑이 짧은 기간 동안 파식대를 형성한 데 기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 2010, 사천시 서포면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발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현숙, 1992, 삼천포 동안의 해안지형 특성, 부산 지리, 2, 21-37.
  3. 김병연, 2006, 사천시 신수도 해안단구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서운, 1973, 한반도 남동단부(방어진-포항) 해안에 발달하는 단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9(2), 89-121.
  5.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5, 포항 북부 흥해읍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 연대, 한국지형학회지, 12(1), 103-116.
  6.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a, 울진 후정-죽변 일대의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1), 15-27.
  7.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b, 경주시 양남-양북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3), 1-14.
  8. 김주용.양동윤.최원학.김정찬, 2006, 한반도 남동부에 분포하는 해안단구의 지형층서 및 연대자료를 이용한 융기율 평가, 제4기학회지, 20(2), 51-57.
  9. 양재혁, 2008, 해수면변동에 따른 남해안의 지형 발달과정과 해안기후단구, 한국지형학회지, 15(1), 93-110.
  10. 양재혁, 2011, 거제도 동부해안에서 파악되는 홀로세 고해수준과 지형발달과정, 한국지형학회지, 18(1), 101-112.
  11. 오건환, 1980a, 한반도 동.서해안 중부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면의 대비, 부산여대 논문집, 8, 157-172.
  12. 오건환, 1980b, 한반도의 해성단구와 제4기의 지각변동, 부산여대 논문집, 9, 377-413.
  13. 오건환, 1981, 한반도 동남부 해안의 지형발달, 부산지리, 153-169.
  14. 오건환, 1983a, 구정선 고도변화로부터 본 한반도의 제4기 지각변동, 부산대학교 교육논집, 9, 377-415.
  15. 오건환, 1983b, 부산만일대의 해성단구와 제4기 지각변동,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6, 355-363.
  16. 윤순옥.곽민.황상일, 2014, 한국 남동해안 울산시 강동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1(1), 147-163.
  17. 윤순옥.박충선.황상일, 2015, 충남 보령시 남포 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2(1), 75-87.
  18. 윤순옥.황상일, 2000,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대한지리학회지, 35(1), 17-38.
  19. 윤순옥.황상일.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20. 윤순옥.황상일.정석교, 2002, 삼척 오십천 중.하류부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7 (3), 222-236.
  21. 윤순옥.황상일.정혜경, 1999, 한국 남동해안 감포 나정리-대본리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6(2), 99-119.
  22. 이광률.박충선, 2006, 광양만 일대 해안단구 퇴적물 특성과 지형 형성시기, 대한지리학회지, 41(3), 346-360.
  23. 이동영, 1987, 한반도 제4기 지질의 층서적 고찰, 제4기학회지, 1, 3-20.
  24. 최성길, 1993,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의 관점에서, 제4기학회지, 7(1), 1-26.
  25. 최성길, 1996a, 웅천천유역의 하성단구로 부터 추정되는 구정선고도와 그 의의 -한국 서해안의 제4기 환경변화 구명에 있어서 임해산악지역 소하천 하성단구 연구의 중요성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3), 613-629.
  26. 최성길, 1996b, 한국 남동부해안 포항 주변지역 후기갱신세 해성단구의 대비과 편년, 한국지형학회지, 3(1), 29-44.
  27. 최성길, 2004, 영산강 하류 지역의 하안단구, 제4기학회지, 18(1), 41-46.
  28. 최성길, 2006, 소안도의 해안단구와 한반도 서남부 해안의 지반운동, 한국지형학회지, 13(3), 1-10.
  29. 최성길, 2007a, 단구지형으로부터 본 한국 동해안의 후기 갱신세 환경변화와 지구적 규모의 환경 변화 비교, 한국지형학회지, 14(1), 29-39.
  30. 최성길, 2007b, 한국 동해안 후기 갱신세 단구지형의 발달과정, 한국지형학회지, 14(4), 17-28.
  31. 최성길.장호.김주용, 2003, 한반도 남동부 해안 고위해성단구의 신분류시안, 한국지형학회지, 10(1), 93-98.
  32. 최성자, 2003,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 단구, 자원환경지질, 36(3), 233-242.
  33. 최성자, 2004,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자원환경지질, 37(2), 245-253.
  34. 최정헌.정창식, 2007, 한반도 동남해안 해안단구 퇴적층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의 지질 논문집, 3, 33-44.
  35. 황상일.신재열.윤순옥, 2012,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9(3), 97-108.
  36. 황상일.윤순옥, 1996, 한국 동해안 영덕 금곡지역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3(2), 99-114.
  37. 황상일.윤순옥.박한산, 2003,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4), 490-504.
  38. 황상일.정혜경.윤순옥, 2000, 경주 감포지역 해안단구의 지형면 분석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2), 48-60.
  39. 吳建煥, 1977, 韓半島南東部海岸平野の地形發達, 東北地理, 52(2), 689-699.
  40. 曺華龍, 1978, 韓國浦項周邊海岸平野の地形發達, 東北地理, 30(3), 152-160.
  41. Kim, J.Y., 1990,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in the Pohang area, Korea, Dissertation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