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elevision news frame on irregularities at private schools

사학비리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 Lee, Seohyoen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Je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bong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Sungkonghoe University)
  • 이서현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
  • 최진봉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6.09.28
  • Accepted : 2016.11.23
  • Published : 2016.12.15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elevision news frames related to private school irregularities.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s have not dealt with underlying problems of private school irregularities, but their reporting have been focused more on stating the situations. While Public announcing frame, Interference and solutions frame, Moral hazard frame and Protests and strikes frame have been applied in reporting, Autonomy highlighted frame and Publicity highlighted frame which are fundamental to the existence of private schools hardly appeared. In particular, the adhesion between private schools and political power has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to be a cause of raising problems, whereas articles with such perspectives were hard to find. As a result, television broadcasting stations are required to change the way in reporting of private school irregularities in order for a lively discussion about them as the social agenda.

교육은 한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한국 언론은 교육비리나 문제에 대해 제한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사학비리가 주로 언론을 통해 공론화되고, 언론보도를 통해 그 대상을 이해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언론이 사학비리를 어떻게 사회적 의제로 상정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BS, MBC, SBS, YTN, JTBC 등 5개 방송사가 사학비리 관련 이슈를 어떻게 틀 짓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 방송사들은 단순관찰자로서 사학비리에 대한 현상 기술에 주목하면서 수동적으로 접근하는 데에 그쳤을 뿐,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원은 주로 사립학교의 비리 감사와 조사, 감독을 담당하는 교육부와 검찰, 교육단체 등과 같은 감시감독자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뉴스 프레임은 사건 전달 프레임과 개입 및 해결 프레임, 도덕적 해이 프레임, 시위 및 분규 프레임이 주로 사용되었다. 반면, 사학의 존재 근거가 되는 자주성 강조 프레임과 공공성 강조 프레임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사학비리와 정치권력의 유착관계가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보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사학비리가 사회적 의제로 논의될 수 있도록 방송사들의 관점과 태도의 재정립, 그리고 보도방식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3권 1호, 156-196.
  2. 김남일 (2008). 내부고발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비리 고발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43호, 117-151.
  3. 김성재 (2016, 7월). <사학비리 무보도(비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민교협 쟁점토론 2016. 사학비리에 눈감은 언론! 세미나.
  4. 김수정.최은경 (2016, 9월). <언론이 외면한 사학 비리 신문보도 분석>. 사학비리에 눈감은 언론: 비판과 대안 모색.
  5. 김용덕 (2014). 한국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의 상호 관계에 대한 분석적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32권 제2호, 85-112.
  6. 박거용 (2010). 상지대 사태를 통해 본 한국의 비리사학 문제. <시민과세계>, 18권, 118-133.
  7. 박민.이시우.박기병 (2012). 사립대학과 정부의 관계 모델에 관한 연구. <동아법학>, 56호, 65-92.
  8. 박부권 (2008).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에 대한 소고. <교육사회학연구>, 18권 1호, 21-38.
  9. 박재영 (2006). 뉴스 평가지수 개발을 위한 신문 1면 머리기사 분석. 2020 미디어 위원회 실행위원회(편), <한국의 뉴스미디어 2006>. 서울: 한국언론재단.
  10. 박찬주 (2009). 사립학교법 개정 논의의 주요쟁점과 과제. <교육법학연구>, 21권 2호, 115-144.
  11. 박현식.김성해 (2014). 대통령 측근 비리에 대한 언론 보도 연구. <언론과학연구>, 14권 2호, 75-112.
  12. 송현숙 (2014, 9, 2). [통제 받지 않는 교육권력 '사학'] 사학 뒤엔 '정치인 병풍'. <경향신문>. URL: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9022155115&code=940401
  13. 아이엠피터 (2010, 9, 13). 사학재벌 딸 나경원을 위한 사학법 개정안. URL: http://impeter.co.kr/1235
  14. 아이엠피터 (2014, 3, 26). 친일파 설립, 비리 '사학재단'에 세금으로 특혜를. URL: http://impeter.co.kr/2445
  15. 윤정일 (2009). 이명박 정부 사학정책의 진단과 과제 토론.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세미나, 89-108.
  16. 이미선.최진봉 (2016). 언론에 나타난 이주민 이미지의 변화. <언론학연구>, 20권 1호, 53-77.
  17. 이서현.고영철 (2013).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 캠페인 관련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63호, 26-52.
  18. 이서현.고영철 (2016). 언론보도에 반영된 지방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소나무재선충병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6권 1호, 209-262.
  19. 이정환 (2016, 7월). <기울어진 운동장 또는 공론장 양극화>. 민교협 쟁점토론 '2016 사학비리에 눈감은 언론!' 세미나.
  20. 이현청 (2001). 사학의 자주성과 사학법인 문제 해결의 바람직한 방향. <사학>, 통권 96호, 28-34.
  21. 장신근 (2014). 기독교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신학적 논의: 공공신학적 관점과의 대화. <선교와 신학>, 33호, 273-313.
  22. 전혁수 (2016, 9, 8). JTBC, 가장 신뢰하는 방송매체 조사에서 가파른 상승세. <미디어스>. URL: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765
  23. 최수혁 (2006). 사학의 자주성을 최대한 보장하라. <사학>, 115권, 72.
  24. 홍덕률 (2006). 사립대학의 지배구조, 현황과 과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 10호, 217-240.
  25. Epstein, E. J. (1973). News from nowhere: Television and the news. New York, NY: Random House.
  26. Gans, H. (1979). Deciding what's news. New York, NY: Pantheon Books.
  27.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Y: Basic Books.
  28.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oston, MA: Addison-Wesley Pub. Co.
  29. Kitzinger, J., & Reilly, J. (1997). The rise and fall of risk reporting: Media coverage of human genetics research.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12(3), 319-350. https://doi.org/10.1177/0267323197012003002
  30. Sigal, L. V. (1986). Sources make the news. In R. K. Manoff & M. Schudson (Eds.), Reading the news. New York, NY: Pantheon Books.
  31. Tuchman,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ew York, NY: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