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and to survey sanitation management betwee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and non-GAP farms of lettuce and cucumber. The samples (lettuce, cucumber, soil, agricultural water, gloves, and packing plastic bag) were tested to analyze sanitary indicator bacteria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and major pathogen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In the lettuce farm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in GAP farms were little lower than non-GAP farms or similar.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in soil and agricultural water of GAP farms were detected at higher levels than non-GAP farms in soil and agricultural water. In the case of cucumber farms, levels of total bacteria and Bacillus cereus in soil and total bacteria and coliform in gloves of GAP far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GAP farms, and other bacteria contamination levels in collected samples were simila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from GAP farm still exhibited potential microbial risks.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a sanitation management in GAP farms was insufficient.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basic data to suggestion of plan for preventing microbial contamination and to improvement of GAP certification.
본 연구는 상추와 오이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용수, 작물 (상추, 오이), 장갑, 포장재 (비닐)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 평가하고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GAP 인증 농가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상추 농장의 경우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 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하였고, 병원성미생물인 S. aureus와 B. cereus는 GAP 인증 농가의 토양과 용수에서 미인증 농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오이농장은 토양의 대장균군과 B. cereus, 장갑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가 GAP 미인증 농가보다 GAP 인증 농가에서 높았고, 그 외에는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가 유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결과를 비교했을 때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GAP를 인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서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보다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 모두 농업용수의 관리와 작업 시 사용되는 작업자의 장갑 관리에 있어서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GAP 인증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