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and Prospect of Research on North Korea in Korean Human Geography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 Kim, Ki-hyu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기혁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6.10.31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is to review research issues on North Korea and unified territory in terms of topics and approach method in Korean human geography.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Before 1980's, topics on political geography, such as geopolitics or unified land, were the main stream in research. In 1990's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access to material which was published in North Korea, scope of research was widened especially in geography education. After 2000's with the expansion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scope of topics were more expanded in all field of human geography, for example, critical geopolitic in political geography, Gaeseong Industrial Complex, Najin-Seonbong region in economic geography, place names, Geumgangsan, North Korean defectors in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The approach method of toward North Korea is fall into two categories. One is regional geography and the other is the unified land. In the latter approach, topics on the regional structure after reunification or on the life adaptation of defectors in South Korea etc. were studied. After unification of land, new Korean Studiea will be established and human geographers should make ready for this. Before unification, research on the land in north Korea should be proceeded in terms of historical geography.

본 연구는 한국의 인문지리학에서 북한과 관련된 학술 성과와 내용을 분야별로 분석하여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기별 연구 동향을 보면 1980년대 이전에는 정치지리 분야에서 지정학과 통일국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 지면서 지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논문이 발표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정치지리 분야에서는 비판지정학을 바탕으로 한 신지정학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경제지리 분야에서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통일 이후의 남 북한 경제 통합을 다룬 논문들이, 사회 문화지리 분야에서는 탈북민, 지명, 금강산 관광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에 대한 접근시각은 지역연구와 통일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이 중첩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통일국토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한반도를 단일 공간으로 보았던 전통적인 지리학의 시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 이후 남 북한 국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북한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연구와, 분단의 상징인 DMZ를 대상으로 과거 생활공간에 대한 문헌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리학은 통일 이후 새로운 한국학의 중심에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원, 2015, "한반도'의 개념과 내재적 문제,"문화역사지리, 27(3), 1-17.
  2. 강창숙, 2008, "학생들의 '북부지방' 이해에 대한 특성과 지역이미지,"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79-96.
  3. 고유환, 2009, "북한연구 방법론의 현황과 과제," 통일과 평화, 1, 29-71.
  4. 고유환, 2015, "분단 70년 북한연구 경향에 관한 고찰," 통일정책연구, 24(1), 29-54
  5. 곽영호, 1999, "북한 민항공노선의 지리학적 고찰," 국토지리학회지, 33(3), 173-183.
  6. 국토지리정보원, 2013, 한국지명유래집-북한편 I.II, 대한지리학회.
  7. 권동희, 1994, "한반도 통일 관광교통 체계구상," 관광지리학, 4, 373-390.
  8. 권혁재, 1991, "국토지리-왜 배워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3-258.
  9. 김기혁, 2013,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4-30.
  10. 김기혁, 2014, "도로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구조 변화 연구," 문화역사지리, 26(3), 33-54.
  11. 김덕현, 1996, "통일을 준비하는 국토 정비 방향,"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2(1), 5-16.
  12. 김덕현, 1997, "북한지리 교재 연구,"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3, 5-16.
  13. 김동성, 2015, "통일경제특구를 넘어 한반도 국제협력지 도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39-39.
  14. 김두일.이형호.한욱, 1993, "GIS기법을 이용한 최적입지 선정 연구 서울-동두천간의 최적 방어지역 선정," 대한지리학회지, 28(2), 137-147.
  15. 김두일.한욱.정상조, 1998,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연구," 지리학연구, 32(4), 135-146.
  16. 김상빈, 2003, "동독지역의 지역지리 최근 연구동향: 라이프찌히 지역지리연구소의 연구활동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37(2), 91-105.
  17. 김상빈, 2004, "통독이후 동독 주택시장 상황의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38(2), 127-142.
  18. 김상빈.이원호, 2004, "접경지역 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연구동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17-136.
  19. 김상태, 2015, "통일 한국의 관광개발 방향,"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4-124.
  20. 김성민.박영규, 2013, "통일학의 정초를 위한 인문적 비판과 성찰," 통일인문학, 56, 85-113
  21. 김재완, 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22. 김재진, 2015, "북방시대 강원도 철도의 역할,"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40-40.
  23. 김재한, 1994,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지향적 개선방향 모색," 지리학논총, 23, 1-11.
  24. 김재한, 1996, "통일후 북한의 대량 난민문제에 대비한 접경지역 개발,"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12(1).
  25. 김재한, 1999, "통독 이후 군용부지의 민수용 전환과 지역 개발," 대한지리학회지, 34(4), 435-448.
  26. 김재한, 2001, "접경지역 지원법 운용과 지원 효과의 한계," 국제문화연구, 19(2), 청주대학교.
  27. 김재한, 2003, "한국 사회정치지리학의 조류변화," 교육과학연구(청주대학교), 16(2), 127-145.
  28. 김재한, 2009, "서해5도의 지정학적 고찰," 청대학술논문집, No 13 S-3, 1-26.
  29. 김재한, 2014, "동북아 국제정치질서와 한반도 북방경계선의 변천," 청대학술논문집, No 24 S-8, 67-86.
  30. 김진영, 1998, "남.북한 자연지리 용어의 비교," 청주지리, 13, 51-60.
  31. 김창환, 2007a,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4), 454-460.
  32. 김창환, 2007b, "북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89-197.
  33. 김창환, 2009a, "DMZ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96-105.
  34. 김창환, 2009b, "DMZ와 그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3), 317-327.
  35. 김창환, 2011, DMZ 지리 이야기, 살림터.
  36. 김창환, 2013, "GIS를 이용한 강원 평화지역 지오파크(Geopark) 거점시설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31-42.
  37. 김창환.김귀곤.최영은.김상식.신중열, 2010, "민통선, 비무장 지대(DMZ)일대의 식생에 관한 연구-동해 북부선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3(6), 63-74.
  38. 김창환.이태희, 2013, "GIS를 활용한 민북마을의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121-140.
  39. 김창환.정성훈.배선학,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과 지리공원-강원도 DMZ 지리공원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발표논문집, 21-23.
  40. 남상준, 1982, "전북 김제지방의 북한 난민 개척촌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지리교육, 12, 43-61.
  41. 남상준, 1993, "북한지리교육의 정향," 사회과교육, 26, 150-160.
  42. 남영우, 2005, "사회주의 도시 평양," 한국도시지리학회 동계학술대회기요.
  43. 남종우, 2014, "북한의 지정학적 담론과 그 변화," 2014 대한지리학회 발표논문집, 127-130.
  44. 데게 에카르트(E. Dege), 1995,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Eye's of a German Geographer: The Comparison of Spatial Structure,"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45. 류우익, 1989, "국토의 재인식-문제와 미래상," 지리학논총, 별호7, 7-18.
  46. 류우익, 1993,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동북아권," 대한지리학회지, 28(4), 312-320.
  47. 류우익, 1995, "통일국토의 공간구조 개편,"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48. 류우익, 1996, "통일 국토의 미래상: 공간구조 개편 구상," 대한지리학회지, 31(2), 44-56.
  49. 류우익, 2010, "지정학적 화해를 위하여," 지리학논총, 55.56합본, 1-8.
  50. 류호상.김상빈, 2004,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57-170.
  51. 문남철, 2004, "북한이탈주민의 이주 요인과 이주 패턴 및 이주 경로," 국토지리학회지, 38(4), 497-511.
  52. 문순철, 1999, "통일 이후 북한의 농촌 주택 문제의 전망과 대책," 한국지리학대회-북한지리분과-발표논문집.
  53. 문순철, 2000, "통일 이후 북한 농촌 주택문제의 전망과 대책," 국토지리학회지, 34(1), 1-12.
  54. 박 경.김창환, 2012, "강원도 양구, 화천 일원의 분지 지형과 지오투어리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9(4), 97-108.
  55. 박삼옥.이원호.이현주.김상빈.정은진, 2005, 사회.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소외성과 낙후성의 형성과 변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56. 박삼옥.허우긍.박기호.박수진, 2007, 북한 산업개발 및 남북 협력방안-지리적 접근, 서울대학교출판부.
  57. 박순호, 2016,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68-179.
  58. 북한연구학회, 2012, 분단 반세기 북한연구사, 2판, 한울.
  59. 사공호상.서기환.한선희, 2007, "북한지역 국토이용 DB구축연구," 한국GIS학회지, 15(3), 323-333.
  6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1989, "한국 사회의 발전과 국토구조의 재편성," 지리학논총 별호 7.
  61. 손용택, 1993, "북한의 조선지리 교과서 내용 분석," 사회과교육, 26, 168-182.
  62. 손용택, 2004, "남북한 지리교과서 내용구성의 체제 탐색과 대북미관," 국토지리학회지, 38(3), 199-214.
  63. 송호열, 2004, "금강산 관광 사업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4(2), 1-35.
  64. 신성희, 2006, 장소의 선택적 조성과 자산화-북한 금강산 관광특구의 개발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5. 신성희, 2016, "'금강산'에서 전승되는 아름다움의 장소신화: 사회적 자연과 명산의 여행지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51-167.
  66. 안영진, 2001, "독일 통일과 구통독지역에 대한 공간정책," 국토지리학회지, 35(3), 261-272.
  67. 안영진, 2012, "독일의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구동독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6(4), 445-456.
  68. 안재섭, 2004, "두만강 하류 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러시아 하산 지역과 녹둔도를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38(2), 155-165.
  69. 안재섭, 2013a, "북한 도시연구를 위한 도시지리학의 주요 연구방법 검토,"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2), 21-33.
  70. 안재섭, 2013b,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북한의 평성시와 함흥시의 도시 공간구조,"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4), 161-176.
  71. 오인혜, 2007, "탈북자의 고향의식과 그 변화," 지리학논총, 49, 1-22.
  72. 오인혜, 2013,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과 행동양식-장소심리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3. 오인혜, 2014,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 유형과 대북 NGO 특성: 장소심리학적 접근," 공간과 사회, 50, 118-157.
  74. 오인혜, 2016, "탈북자의 토포필리아와 사회적 의미," 공간과 사회, 26(2), 264-299.
  75. 유진삼.김추윤.권원기, 1998, "남북통일에 대비한 경기 북부 접경지역의 개발방안," 국토지리학회지, 32(3), 17-44.
  76. 유진삼.김추윤.권원기, 2001, "남북 철도 복원에 따른 중.러.몽골 대륙철도망과의 연계와 효과," 국토지리학회지, 35(3), 283-296.
  77. 윤옥경, 2004, "북한지역에 대한 초.중등 학교 학습자료 개선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27-341.
  78. 윤옥경, 2009, "중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새터민에 대한 고정관념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6), 820-833.
  79. 윤옥경, 2010, "중학교 교사와 학생의 북한에 대한 지식과 통일에 대한 태도의 관계-서울 지역 중학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69-279.
  80. 이간용, 1998, "북한의 지리학 연구 동향," 지리.환경.교육, 6(2), 127-139.
  81. 이간용, 2000, "북한 지역의 인구지리적 고찰," 지리교육논집, 44, 44-53.
  82. 이건영, 1995, "분단 반세기의 남.북한 공간구조," 대한지리학회 창립 50주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83. 이광률, 2005, "북한소설 '대학시절'에 나타나는 지리학 및 지리관,"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59-69.
  84. 이기석, 2003, "외관으로 본 북한 평양 정주 묘향 지역," 지리교육논집, 47, 36-46.
  85. 이기석, 2014, "혼돈기의 지리학자 정갑(1904-1988) 교수의 생애와 활동," 지리교육논집, 58, 47-73.
  86.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02, "나진-선봉 경제 무역지대의 입지특성과 지역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7(4), 293-316.
  87.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영, 2012, 두만강 하구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88. 이기석.이옥희.최한성, 2002, "북한 지리학 연구동향에 대하여," 지리교육논집, 46, 84-90.
  89. 이기석.최한성.강지영, 1999, "금강산의 장전항의 지리," 지리교육논집, 41, 2015-01-14.
  90. 이민부, 2004, "북한의 지리교육,"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3, 119-141.
  91. 이민부, 2005, "북한의 농업,"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85-92.
  92. 이민부, 2015, "통일시대를 대비한 한국의 지리학 연구,"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07-108.
  93. 이민부, 최한성, 김남신, 신근하, 2003, "Landsat 영상을 활용한 지리학습교재 구성방안-고등학교 한국지리 북한 관련 단원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17-28.
  94. 이민부.전종한, 2005, "'추가령'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95. 이민부.김남신.강철성 외, 2003,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373-384.
  96. 이민부.최석주, 2008,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709-717.
  97. 이상준, 2001, "경제적 구조 변화에 따른 북한의 국토개발 전망,"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3-116.
  98. 이상준, 2015a, "통일한반도 국토비전과 과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3-123.
  99. 이상준, 2015b, "북한지역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LHI Journal, 6(2), 101-106.
  100. 이승욱, 2012, "개성공단의 지정학, 예외공간, 보편공간 또는 인질공간," 공간과 사회, 26(2), 132-163.
  101. 이승욱, 2015, "북한의 영역화, 개발구, 분권화,"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60-260.
  102. 이양우, 1993, "북한의 지리교육-남북한 지리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하여-," 사회과교육, 26, 129-149.
  103. 이영택, 1994, "북한의 지명 변혁과 지명의 유형," 아세아연구, 91, 41-54.
  104. 이영희, 2006a,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 문화지명의 유래와 특성," 한국학연구, 24, 237-268.
  105. 이영희, 2006b, "지명속에 나타난 북한 개성시의 자연경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1(3), 283-300.
  106. 이옥희, 2004,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3), 344-359.
  107. 이옥희, 2011, 북.중 접경지역, 푸른길.
  108. 이옥희.남영.이기석, 2001, "최근 나진.선봉의 현황과 지역 특성,"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7.
  109. 이원호, 2005, "개성공단 개발과 월경적 지역 경제 발전 방향의 모색," 지리학논총, 45, 297-314.
  110. 이인희, 1986, "8.15와 6.25를 전후한 북한 출신 피난민의 월남 이동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3, 47-68.
  111. 이장춘, 2000, "통일 한반도 경영을 위한 관광정치지리학적 접근," 관광정책학연구, 6(1), 7-43.
  112. 이재하, 1996, "북한의 국토개발과 지역간 경제 격차," 대한지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113. 이재하, 2000, "북한의 지역격차와 균형개발전략," 대한지리학회지, 35(1), 77-93.
  114. 이 전, 1998, "북한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분석," 민족통일논집(경상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14(1), 123-155.
  115. 이 전, 2005, "북한의 지리교과서에 대한 일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6), 607-619.
  116. 이정훈, 2015, "접경지대의 변화과정과 전망: 북한-중국, 미국-멕시코접경지대의 초국경 생활.경제권 형성사례,"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37-38.
  117. 이 찬, 1984, "백두산의 자연지리 조건과 인문환경," 북한, 1984. 8, 68-75.
  118. 이채문, 2003, "러시아 극동지역의 북한노동력과 러시아인의 인종편견에 관한 연구 중국노동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1), 1-23.
  119. 이희연.홍현철.최재헌, 1997, "통일을 대비한 북한지역의 국토공간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반도 통일론: 전망과 과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377-437.
  120. 임덕순, 1969, "한국의 공간변화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 26-40.
  121. 임덕순, 1972, "한국 휴전선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8, 68-75.
  122. 임덕순, 1990, "양독 통일화 동태의 정치지리학적고찰: 관계열강의 입장과 그 변화(1989. 11-1990. 8)," 대한지리학회지, 25(2), 23-34.
  123. 임덕순, 1996, "한국 정치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일반-50년의 회고와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31(2), 295-308.
  124. 임은진, 2012,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문화역사지리, 24(2), 155-166.
  125. 임현진.정영철, 2005, "21세기 통일 한국을 향한 모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126. 장윤정, 2013, 인천상륙작전 영화속 장소 재현: 제작자 포지셔낼러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7. 장윤정, 2014, "인천상륙작전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 대한지리학회지, 49(1), 77-90.
  128. 정 철.장민청.황희연, 2012, "개성공단 입지결정요인에 대한 전문가와 기업의 인지도 비교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6(1), 67-83.
  129. 정영철, 2007, "북한학 연구의 과거와 현재: 현황과 전망," 통일학연구원,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73-87.
  130. 정은진.김상빈.이현주, 2004, "경기도 접경지역의 실태: 정치적 환경과 경제기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137-156.
  131. 정현주.정희선, 2014, "남북 분단을 소재로 한 영화속 정치적 담론과 장소의 재현," 문화역사지리, 26(2), 83-103.
  132. 조우현.조영주, 2015, "분단연구의 동향과 과제," 북한학연구, 10(2), 35-63.
  133. 지상현.Colin Flint, 2009, "지정학의 재발견과 비판적 재구성," 공간과 사회, 31, 160-199.
  134. 지상현, 2013, "반도의 숙명: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 국토지리학회지, 47(3), 291-301.
  135. 지상현, 2015, "지정학적 담론과 실천으로서의 반통일 담론의 구성: 한국계 중국인을 사례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58-258.
  136.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 '관광객의 신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137. 최병두, 2003a, "북한의 환경문제와 통일을 위한 생태 전략," 사회과학연구(대구대학교), 2(2), 343-396.
  138. 최병두, 2003b, "신제국주의, 미국의 신안보전략, 그리고 동아시아의 미래," 대한지리학회지, 38(6), 887-905.
  139. 최병두, 2004a, "국제환경안보와 동북아 국가들의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39(6), 933-954.
  140. 최병두, 2004b, "미국의 신제국주의와 동아시아의 미래," 마르크스주의 연구(경상대학교), 1(1), 166-206.
  141. 최병두, 2015, "분단 및 통일 담론과 한반도 공간계획: 관계론적 접근,"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121-122.
  142. 최석주, 2003, "북한의 지명-북한지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7, 235-251.
  143. 최석진.남상준.류재명.손용택.이동엽, 2000, "북한 고등 중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연구," 사회과교육, 33, 283-308.
  144. 최정호.박선미, 2013, "북한 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화 영향 요인-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71-85.
  145. 최정호.박선미, 2014,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특성의 거주지 선택에 미친 영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83-98.
  146. 최한성.안재섭, 2001,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자연과 토지이용,"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
  147. 하태기, 1993, "북한 초등 사회과교육의 현황-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과 관련내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26, 297-312.
  148. 하태기, 2000, "남북한 중등학교 지리교육 연구: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9. 한국문제연구원, 1997, 한반도 통일론: 전망과 과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150. 한균형, 1987, "인공위성 사진을 이용한 북한 쌀 생산량 추정," 지리학논총, 14, 311-320.
  151. 한병선, 2004,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리학습 콘텐츠 개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4(2), 99-104.
  152. 한봉희, 1993, "북한의 세계지리교과서 분석," 사회과교육, 26, 161-167.
  153. 한주연, 2005, "(북한) 환경문제 및 농업침체와 인구변화," 통일교육연구(한국교원대학교), 4, 70-84.
  154. 한지은, 2001, "중국 단동시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11.
  155. 허 련, 2011, "개성공단 개발 사업의 성과와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46(4), 518-533.
  156. 허만호, 2014, "산림훼손에 대한 북한정부의 주민통제와 인권협상론의 관점에서,"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 발표논문집, 12-20.
  157. 형기주, 1963, "국토통일-지정학상의 가능성," 20세기 한국(홍이섭.조지훈 편), 박우사, 170-185.
  158. 홍 민, 2007, "급변하는 한반도와 통일학(북한학)의 발전 방향," 통일학연구원,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89-112.
  159. 홍 민, 2011,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분단연구," 동향과 전망, 83, 47-78.
  160. 홍금수, 2009, "역사지리의 파국적 단절과 미완의 회복," 문화역사지리, 21(3), 104-138.
  161. 황만익.이기석, 2005, 북한 산업 지역 재조직 및 개방지역 확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62. 황진태, 2015, "지정학, 안보화(secutitization), 자연: 평화의 댐 건설을 사례로," 2015년 지리학대회 발표논문집, 261-261.
  163. 황희연, 1999, "통일대비 통합국토정비 정책 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 95-105.
  16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홈페이지 http://www.riss.kr
  165. 한국학술정보(주), 홈페이지 http://www.kiss.kstudy.com
  166. 한국연구자정보, 홈페이지 https://www.kri.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