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tud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who are majoring in Medical Records

의무기록 전공학생들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에 관한 연구

  • 정상진 (광주보건대학교 보건행정과/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Received : 2015.07.29
  • Accepted : 2015.10.02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students'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patents medical information, who are majoring in medical records and will be working as medical records technician, letting th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at offering basic data required for development of medical records curriculum and for establishment of medical records protection polic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8th May through 6th June 2015, targeting 340 students enrolled four universities, by t-test, varianc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oint of protection recognition and practice recognition is 3.55 and 3.49, respectively, out of 5. With regard to recognition of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satisfaction for major, experience of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law, while for recognition of practice, in grade, satisfaction for major, educational experience and damage of medical information exposure. Recognition of protection and recognition of practice ha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nd recognition of information exposure, recognition of social issue and recognition of legal syste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gnition of practice. In order to raise the recognition of protection and recognition of practice,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universities to educate the damage of medical information exposure and importance of medical records management, and to raise the students' recognition.

본 연구는 졸업 후 의무기록사로 근무하게 될 의무기록 전공 학생들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하고, 의무기록 교육과정 개발 및 전공교육과 의료정보 보호정책 수립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조사는 4개 대학에 재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8일부터 6월 5일까지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의 점수는 5점 만점에 각각 3.55점과 3.49점이었으며, 의료정보에 대한 보호인식에서는 학년, 전공만족, 의료정보 보호 교육경험, 법률인지, 실천인식에서는 학년, 전공만족, 교육경험, 의료정보 노출피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실천인식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보노출 인식과 사회적 쟁점 인식, 법제도 인식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보호인식과 실천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대학에서부터 의료정보의 유출로 인한 피해와 의무기록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시켜 인식을 향상시켜 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Robinson, I. "Confidentiality for whom," Soc Sci Med, Vol.32, No.3, pp.279-286, 1991.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05-L
  2. E. Berger, "Attitudes to privacy, health records and interconnection implications for healthcare organization," Hosp Q, Vol.5, No.4, pp.40-45, 2002.
  3. 최준영, 병원 정보시스템에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정은영, 정상진,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인식도와 실천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35-45,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4.035
  5.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의료기관 편], 2010.
  6. 정용엽, "보건의료정보의 법적 보호와 열람교부," 의료법학, 제13권, 제1호, pp.359-395, 2012.
  7. G. Kurtz, "EMR confidentiality and information security," J Healthc Inf Manag, Vol.17, No.3, pp.41-48, 2003.
  8. F. Belanger and R. E. Crossler, "Privacy in the digital age : A review of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in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Vol.35, No.4, pp.1017-1041, 2011. https://doi.org/10.2307/41409971
  9. 서계원, "정보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의 보호,"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지, 제11권, pp.195-231, 2005.
  10. M. J. Culnan and C. C. Williams, "How ethics can enhance organizational privacy : Lessons from the choicepoint and TJX data breaches," MIS Quarterly, Vol.33, No.4, pp.673-687, 2009. https://doi.org/10.2307/20650322
  11. 김현희, 김주환, "의료정보의 보안과 사적 비밀보장에 대한 사회 각 군간 인식론 비교연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5권, 제3호, pp.63-76, 1999.
  12. H. Leino-Kilpi, M. Välimäaki, T. Dassen, M. Gasull, C. Lemonidou, and A. Scott, et al. "Privacy: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38, pp.663-671, 2001. https://doi.org/10.1016/S0020-7489(00)00111-5
  13. 김미옥, "산부인과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4호, pp.268-278, 2012. https://doi.org/10.4069/kjwhn.2012.18.4.268
  14. S. Horie, "Privacy of workers and handl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occupational health," J UOEH, Vol.26, No.4, pp.481-505, 2004. https://doi.org/10.7888/juoeh.26.481
  15. 정선영,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위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정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16. 유지원, 진료정보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인과 환자의 인식도 비교,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06.
  17. 안성혁,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2011.
  18. Carolyn, Buppert, "Safeguarding patient. privacy," Nursing Management, Vol.33, No.12, 2002a.
  19. Carolyn, Buppert, "Complying with patient. privacy Requirements," Nursing Management. Vol.27, No.5, 2002b.
  20. 이다음, 환자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인식도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21. 이미영, 박영임, "간호사의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 임상간호연구, 제11권, 제1호, pp.7-20, 2005.
  22. 유미, 김미옥, "신생아를 돌보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간호행정학회지, 제18권, 제4호, pp.424-433, 2012.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24
  23. 김소영, 의료정보의 비밀유지에 대한 법률적 고찰,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97
  24. 김창희, 정선영, 송영선, "환자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과 실천,"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제11권, 제11호, pp.479-49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