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

Study 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fringement the Right to Likeness by the Press

  • 투고 : 2015.10.30
  • 심사 : 2015.11.21
  • 발행 : 2016.01.28

초록

본 연구는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관련 판결의 추이와 승패 여부, 원인 등 초상권 침해를 둘러싼 언론소송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종심 판결이 처음 나오기 시작한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관련 판결 81건을 전부 수집해 판결문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언론을 상대로 제기된 초상권 침해 관련 소송의 최종심 재판 결과가 처음 나온 것은 1990년이다. 1990년대에는 주로 선정적 보도가 많았던 월간잡지를 대상으로 하는 초상권 분쟁이 많았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방송을 대상으로 한 초상권 침해분쟁이 크게 늘어났다. 2000년 이후에는 초상권 관련 언론소송의 71% 가량이 방송에 집중됐다. 방송의 영향력이 커진데다 영상을 필수로 하는 방송의 특성상 초상권 침해 소지가 높았기 때문이다. 특히 2005년 "언론중재법"이 시행된 후 초상권 관련 소송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초상권 관련 언론소송 81건 가운데 언론사가 승소한 사건은 23건으로 언론사 승소비율은 28. 4%에 그쳤다. 이는 법원이 언론매체의 특수성을 고려하기보다는 일반인의 초상권 보호를 우선으로 고려한 결과로 분석된다. 하지만 원고가 공인인 경우 언론사 승소율이 52. 9%에 달해 일반인 경우의 언론 승소율 22%보다 월등히 높아 언론사를 상대한 초상권 소송에서 공인이 일반인에 비해서 불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7년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한 공인 이론의 적용으로 공인에 대한 언론의 감시기능을 법원이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by the Press in Korea. We did an analysis of 81 cases of the court's rulings related to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by the Press from 1990 to 2014.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first court's ruling of portrait rights violations by the press was made in 1990.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e increasing number of disputing cases over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against Broadcasting media in the 2000s compared to monthly magazines in the 1990s, which were regarded as gonzo journalism. Since the 2000s, 71% of lawsuits regarding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has been against the Broadcasting Media due to increasing the influence of the broadcasting and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by visual images. Especially, the number of lawsuits on infringement of rights to likeness has increased rapidly by the Broadcasting Media. Only 23 cases(28.4%) of total 81 cases were decided in favor of the press. the press shows the low success in disputing the rights of likeness. this study shows the korean courts put more weight on the right to likeness and the breaking a balance between freedom of the press and right of person's character. However, 52.9% of the cases was decided in favor of The press against the plaintiff of public figures compared to 22% against the public. It can be difficult for public figures to win lawsuit against the press causing the Infringement of right to likeness. Judging from this fact, it seemed that the court recognized media watchdog for public fig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영진, "초상권에 대한 소고," 언론중재, 제34권, 제4호, pp.44-49, 2014.
  2. 손영준, "언론 조정 중재사례를 통해 본 초상권침해 현황 및 특징," 언론중재, 제32권, 제4호, pp.7-19, 2012.
  3. 박재영 외, 한국 언론의 품격, 파주: 나남, 2013.
  4. 방송기자연합회, 세월호 보도, 저널리즘의 침몰-재난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4.
  5. W. T. DeVries, "Privacy protecting privacy in the digital age," Berkeley Technology Law Journal, Vol.18, No.1, pp.283-312, 2003.
  6. 유의선, "디지털 취재환경에서의 초상권 침해와 구제," 언론과 법, 제7권, 제1호, pp.383-414, 2008.
  7. J. A. Albert, "The liability of the press for trespass and invasion of privacy in gathering the news - A call for the recognition of a news gathering tort privilege," New York Law School Law Review, Vol.45, No.3-4, pp.331-388, 2002.
  8. 장호순, "영상저널리즘 시대의 보도영상과 인격권," 언론중재, 제31권, 제4호, pp.65-80, 2011.
  9. 강형철,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7-46, 2007.
  10. 이재진, 동세호, "방송관련 초상권 침해소송에 나타난 '동의'의 적용법리에 대한 연구," 언론과법, 제14권, 제1호, pp.101-148, 2015.
  11. 김상우, "텔레비전 뉴스의 모자이크 영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3호, pp.1-25, 2014.
  12. 박용상, 언론의 자유, 서울: 박영사, 2013.
  13. 김재협, "기자의 취재현장 방문 주거침입인가 아니면 정당한 취재활동인가?," 언론중재, 제34권, 제2호, pp.32-41, 2014.
  14. 이재진, 한국 언론윤리법제의 현실과 쟁점, 서울:한양대학교 출판부, 2012.
  15. 이승선, 김연식, "범죄보도로 인한 인격권의 침해와 문제점," 사회과학연구, 제19권, 가을호, pp.65-94, 2009.
  16. 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4다 16280 판결.
  17. 유의선, "디지털 취재환경에서의 초상권 침해와 구제," 언론과 법, 제7권, 제1호, pp.383-414, 2008.
  18. 박용상,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 이론과 실제," 언론과 법, 제1권, 제1호, pp.5-31, 2002.
  19. 서울고등법원 1996. 6. 18. 선고 96나282 판결.
  20. 정경석, "초상권의 침해요건과 구제방법," 저스티스, 제98호, pp.122-146, 2007.
  21. 김옥조, 보도하는 자의 권리, 보도되는 자의 권리: 명예훼손, 프라이버시와 초상권 침해 그리고 범죄 보도의 함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2. 임병국, 언론법제와 보도, 서울:나남, 2009.
  23. 서울민사지방법원 1982. 7. 21. 선고 82카 19263 판결.
  24. 김주수, 채권각론, 서울: 삼영사, 1997.
  25. 고명식, "언론에 의한 초상권 침해와 사법적 보호법리," 언론과 정보, 제9호, pp.97-137, 2003.
  26. 한위수, "프라이버시 침해 관련 국내 판결의 동향," 언론중재, 제19권, 제2호, pp.46-61, 1999.
  27. 차형근, "국내 초상권 판결경향에 대한 고찰," 언론중재, 제32권, 제1호, pp.67-89, 2012.
  28. 함석천, "법원판결과 언론환경의 변화-1980년대 이후 변환과정의 역사적 고찰," 언론중재, 제31권, 제2호, pp.49-59, 2011.
  29. 김재형, 언론과 인격권, 서울: 박영사, 2012.
  30. 심석태, "한국에서 초상권은 언제 사생활권에서 분리 되었나-학설과 판례에서의 초상권의 독립적 인격권 인정과정과 그 영향," 언론과 법, 제13권, 제1호, pp.251-282, 2014.
  31. 이재진, 언론자유와 인격권, 서울: 한나래, 2006.
  32. 성낙인, 헌법학, 파주: 법문사, 2015.
  33. 김철수, 헌법학 신론, 서울: 박영사, 2013.
  34. 헌법재판소 1991. 9. 16. 선고 89헌마165 결정.
  35. 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4다16280 판결.
  36. 김경호, "범죄보도로 인한 인격권으로서의 초상권 침해에 관한 연구: 언론과 수사기관의 책임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2권, 제2호, pp.88-120, 2004.
  37. 서울중앙법원 2010. 10. 27. 선고 2009가합81994 판결.
  38. 함석천, "초상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법리 전개," 법조, 제55권, 제12호, pp.191-222, 2006.
  39. 서울고등법원 1990. 5. 4 선고 89나36528 판결.
  40.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 3. 30. 선고93나 31886 판결.
  41. 서울지방법원 2000. 7. 4. 선고 99나83698 판결.
  42. 대법원 1998. 7. 14. 선고 96다17257 판결.
  43. 심석태, "한국에서 초상권은 언제 사생활권에서 분리 되었나-학설과 판례에서의 초상권의 독립적 인격권 인정과정과 그 영향," 언론과 법, 제13권, 제1호, pp.251-282, 2014.
  44. 김시철, "언론출판의 자유와 인격권의 대립과 조화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저스티스, 통권 제47호, pp.53-116,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