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nstruction of Apartment-type Factories in the Public Sectors

공공아파트형 공장 건립방안에 관한 연구

  • 윤정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현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07.19
  • Accepted : 2016.10.26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ays in the construction of Apartment-type factories in the public sector. Recently the markets of Apartment-type factories are driven by the private sector as high quality, high price and supply of in the form of office, these construction trends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im of introduce policy of Apartment-type factories which supply production spaces in the city to small capital enterprises. We analyz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partment-type factories in Korea, the prospect of their future construction trends and the survey results targeted to small enterprises. I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 grope for the direction for construct Apartment-type factories in the public sector. The Apartment-type factories constructed by the public sector are appropriate supply for manufacturing plants and sale rather than lease form to complement the private market. To optimize economically and functionally for manufacturing activities, the design space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is required in order to supply more affordable. Route design, especially considering parking, unloading and warehousing of merchandise, and logistics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Apartment-type Factories constructed by private sector.

본 논문은 영세한 제조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던 아파트형 공장이 민간에 의해 주도되면서 고급화, 오피스화, 고가화됨에 따라 본래 취지와는 달리 영세 제조업체에게 도시 내 생산공간을 제공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문제인식 아래 공공부문에서의 아파트형 공장의 건축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1984년 협동화사업으로 도입된 아파트형 공장에서부터 최근(2000년대 이후) 공급되고 있는 지식산업센터를 대상으로 아파트형 공장의 건축적 특징을 분석하고, 미래 건축트렌드 전망, 기업체 설문결과 등을 바탕으로 공공아파트형 공장의 공급방향 및 건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에서 공급하는 아파트형 공장은 현재 민간에서 공급하는 오피스 위주의 아파트형 공장과는 차별화된 제조형 아파트형 공장의 건축이 적절하며 공급방식도 분양보다는 임대를 위주로 공급하는 것이 민간시장을 보완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저렴한 건축비용과 임대비용을 위해 화려한 외장보다는 경제적인 내외장재를 활용한 설계와 제조활동에 최적화된 내 외부 공간의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 충분한 주차공간 확보 및 하역과 창고, 물류를 고려한 동선설계 등이 지금의 지식산업센터와 차별화될 부분임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범, 이병호(2010), "첨단산업시설 집적지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동산학보, 43: 327-332.
  2. 김진태, 정지석, 최무혁(2003), "아파트형 공장의 기준층규모별 CORE 공간구성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1): 359-362.
  3. 김희중, 심재현(2000),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현황분석을 통한 개발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137-147.
  4. 동정근(1996), "아파트형 공장의 계획기준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6)(통권92): 95-104.
  5. 배천문(2010), 택지개발사업지구의 도시지원시설 용지내 아파트형 공장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6. 왕정한, 송호창(2012), "지식산업센터 관련 제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부동산학보, 50: 236-248.
  7. 이진희, 김대희, 고덕균, 김홍규(2003), "아파트형 공장 개발사례를 통한 개발구상 프로젝트",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62-170.
  8. 이현주, 윤정란, 장혜선(2012), 장기 임대산업용지를 활용한 아파트형 공장 공급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9. 전영성, 박재승(2004), "도심 아파트형 공장 활성화를 위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11): 11-20.
  10. 최영진, 김정섭, 전진숙, 이용호, 임만택(2006), "도시형 아파트 공장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6(1): 397-402.
  11. 황동열, 백민석, 이상엽(2013), "공장용지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52: 3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