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Population Estimates of Administrative Composite City

행정복합도시의 인구수 및 유형별 가구수 추정에 대한 연구: 1단계 사업성과를 기반으로

  • 남영우 (나사렛대학교) ;
  • 권치흥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종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용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08.31
  • Accepted : 2016.10.13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is launched on July 1, 2012, and Phase 1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Project was completed in late 2015. Therefore, it is necessary through the results of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 to check whether Sejong city can achieve the target popul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by 2030 and to use to determine the number and type of housing to be supplied next. Based on the presented results of the Phase 1 project period, this study estimate the popul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in 2030. For forecasting future population the population growth rate seen in the future of Sejong City's population forecast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performance against plans Step 1 were used for forecasting future popu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difficult to attract five hundred thousand people and two hundred thousand houses. In the analysis of households by type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The large proportion of 3-4 person households and high-income earners and Homeowners. But it increased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1-2 people and rent house of the city grows in size and it is likely to change the level of income.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se elements in next housing.

2012년 7월 1일에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게 되고 행정복합도시의 1단계 건설사업이 2015년 말에 완료되었다. 따라서 1단계 사업의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2030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인구 및 가구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 점검하고 향후 공급해야 할 주택의 수 및 유형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단계 사업기간 중에 나타난 결과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의 인구수 및 가구수를 예측하였다. 인구수의 예측은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서 나타난 세종시의 인구증가율과 1단계에서 나타난 계획대비 실적을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행정복합도시가 2030년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인구수 50만명과 가구수를 유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가구수에 대한 분석에서는 현재 행정복합도시는 공공기관의 대규모 이전으로 인해 3-4인 가구의 비중이 크고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주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시의 규모가 커지면서 1-2인 가구와 임차주택의 비중이 높아지고 소득수준이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주택공급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부성, 정재호(2015), "세종시로의 주거이동 및 주거만족도 요인분석", 부동산연구, 25(4).
  2. 김중훈, 박천보(2014), "세종시 개발이 인접도시 도시인프라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4(2).
  3. 김호용, 윤정미(2014), "Accessibility 모델을 활용한 세종시 인접 지역의 인구잠재력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
  4. 세종특별자치시, 연도별 주민등록인구통계.
  5. 세종특별자치시, 2014 세종의 사회지표.
  6. 세종특별자치시, 연도별 통계연보.
  7. 세종특별자치시, 2030 도시기본계획.
  8. 세종특별자치시, 2014 사회조사.
  9. 신재욱(2013), "신도시 건설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주민참여 제고 방안", 도시행정학보, 26(1).
  10. 임병호, 금기반, 이시영(2012), "대전시민의 세종시로 이주의향 및 이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3).
  11. 유영돈, 마정미(2015), "세종시 갈등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한국언론학보, 59(3).
  12. 통계청, 국내인구이동 통계.
  13.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2010-2035.
  14. 황윤원, 임장근, 송용찬(2014), "혁신도시 이전기관 직원의 지역통합방안 연구", 국가정책연구, 28(4).
  15.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청 홈페이지, www.naac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