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eds Analysis Case Using Key Competencie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직군별 요구역량 : 국내 대기업 A사를 중심으로

  • 윤덕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우혜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
  • 강봉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 김윤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센터)
  • Received : 2016.10.12
  • Accepted : 2016.10.21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pict examples of how a company could derive the skillset areas with the highest priority when analyzing the skill set requirements of human resources, based on the skillset requirements that are unique to each work sit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each of the job categories for new employee in A compan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32 out of the 34 areas, the gaps between the current levels and the expected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mployees of company A, the following 7 areas were determined to be the key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priority: document creation skills, diagram creation skills,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time management skills, tech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nd task comprehension skills. The required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prior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for each job catego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riority rankings of skillset requirements for each job category in company A could be determined, along with the implications for HRD/HRM and other companie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업이 인적자원의 요구역량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각 현장의 특성화된 요구를 반영하여 최우선 영역을 도출하는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확산하는 정책강화 시점에 기업이 능동적으로 NCS 영역을 요구분석 도구로 활용하는데 응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A사의 신입사원에 대한 직군별 요구 역량과 현재 수준분석에 NCS 직업기초능력 34개 영역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 후 Borich의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비교하여 최우선순위 영역을 도출하였다. 전체 34개 영역 중 32개 영역에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사 신입사원의 최우선 직업기초능력으로 문서작성능력, 도표작성능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시간관리능력, 기술이해능력, 업무이해능력의 총 7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또한 직군별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A기업의 HRD/HRM 및 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ncs.go.kr.
  2. 한국산업인력공단, NCS기반 능력중심채용 가이드북, 고용노동부, 2015.
  3. 교육부 외, NCS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 라인, 2015.
  4. 김기용,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및 향후 활용 계획, 인적자원개발컨퍼런스 직무능력표준 세미나, 2015.
  5. 박용운, 김경미, 유태완,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모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652-665, 2016.
  6. 양영근, 정원희, "NCS 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개편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35-65, 2015.
  7. 오만덕, 이승희, "NCS를 활용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51-6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651
  8. 함남혁, 김재준, 여옥경,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694-71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694
  9. 김진모, 직업기초능력의 산업현장 활용 확산을 위한 실태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대학교, 2014.
  10. 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사례, 2014.
  11. 나승일 외, 기초직업능력 표준개발(2차년도), 한국산업인력공단, 2004.
  12.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산업체 기초직업능력표준 활용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004.
  13. 나승일, 조정윤, 어수봉, 장현진, 성희진,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4권, 제1호, pp.131-160, 2011.
  14. 박영민, 농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5. 안광식,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및 중요도," 실과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73-94, 2007.
  16.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차이,"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51-67, 2011.
  17. 홍아정,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대학생 교육 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7호, pp.227-246, 2015.
  18. 박주호, 이정표, 박윤희,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83-105, 2013.
  19. 배광민, 직업기초능력 인식수준 및 교육요구 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0. 양승실, 기업의 대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KEDI 연구보고서, 2005.
  21. 이희은, NCS 직업기초능력 요구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제35권, pp.165-187, 2009.
  23. L. M. Spencer and S. M. Spencer, competencies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마크 J. 로젠버그, 유영만 역, 물푸레, 2001.
  24.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분석," 경영교육연구, 제47권, pp.191-213, 2007.
  25. Peter Boxall, John Purcell, and Patrick Wright. The Oxford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6. 구자길, 강순희, 직업능력표준과 자격, 우정디앤피, 2011.
  27. 이종범, 정철영, 김진모, 김재겸, 주인중, 임경범,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28. 이무근, 송해균, 김진순, 김재식,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산업현장 적응능력 평가를 통한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직업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17, 1992.
  29. 이무근, 이용환, 정철영, 배진한, 최애경, 이종성, 정태화, 나승일,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직업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109-130, 1997.
  30.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분류 및 하위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제17권, 제20호, pp.15-38, 1998.
  31. 정철영, 서우석, 나승일, 송병국, 강경종,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교육부 정책과제연구 보고서, 2000.
  32.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직업기초직업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1998.
  33. 정철영, 교육시설(교육부), 직업기초직업능력 강화방안, 서울대학교 부속 농업개발연구소, 2000.
  34. 이동임, 직업능력인증제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35.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기초직업능력 영역설정 및 표준화 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36. 임언, 최동선, 최지희, 오은진,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 : OECD AL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37. 이정표, "주요국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사례 비교 분석: 영국, 미국, 호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171-195, 2005.
  38. 진미석, 이수영, 채창균, 유한구,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39. 우혜정,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0. 조대연, 권대봉, 정홍인, "국내 HRD 담당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ASTD 역량모델 기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기업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55-175, 2012.
  41. 송해덕, 장선영, 김연경, "대학교수의 경력별 직무역량 요구분석과 지원방안,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149-179, 2014.
  42. G.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1, pp.39-42, 1980.
  43. Idowu Oladele, "Borich Needs Model Analysis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Extension Officers in North West Province,"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Information, Vol.16, pp.151-162, 2015. https://doi.org/10.1080/10496505.2015.1013110
  44. 우혜정, 배광민, 윤관식, "특성화고등학교 기계계열 학과 직업기초능력 과정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충남소재 기업규모별 접근,"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3호, pp.77-9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