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인권의식: 우울과 자기인권평가의 매개효과

Victimization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Evaluation on their own Human Rights

  • 투고 : 2016.10.14
  • 심사 : 2016.11.02
  • 발행 : 2016.12.28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폭력피해 경험이 우울정서와 자기인권평가의 매개과정을 통해 어떻게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폭력피해와 인권의식의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설명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한국아동 청소년 인권실태조사'의 중학생 자료 3,662명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폭력피해경험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지만, 자기인권평가의 매개적 과정을 통해 인권의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폭력피해경험은 우울과 자기인권평가의 이중매개 과정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통제변수인 인권교육은 인권의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고, 자기인권평가의 매개과정을 통해서 인권의식에 간접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력피해 청소년들의 인권의식 증진을 위한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 victimization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evaluation on their own human rights among adolescents. A total of 3,662 middle school student data from '2014 Kore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were used for the study. This study analysed a hypothesized research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on structural model are as follows: First, victimization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 mediating role of evaluation on their own human rights. Secondly, victimization were related to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rough double mediating paths of depression and evaluation on their own human right. Finally, human rights education, a control variable, had an indirect effect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through self-evaluation on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victimization and human rights conscious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상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의 청소년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법과인권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147-169, 2013.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IV: 총괄보고서, 2014.
  3. 유문무, "학교폭력과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pp.105-125, 2013.
  4. 홍순혜, 원미순, 박미현, 문정희, "청소년의 인권 감수성과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1권, 제3호, pp.43-63, 2014.
  5. 박병기, 추병완, 윤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1996.
  6. 이지수, "우리나라 청소년의 인권실태 및 인권의 식," 아동권리연구, 제10권, 제3호, pp.461-485, 2006.
  7.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법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57-83, 2011.
  8. 황동진, 송혁, 김사현, "인권교육이 청소년의 인권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77-100.
  9. 김영신,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0. 박봉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정건희, "청소년자치활동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법과인권교육연구, 제3권, 제3호, pp.82-106, 2009.
  12. T. E. Jennings, "Self-in-Connection as a Component of Human Rights Advocacy and Education," Journal of Moral Education, Vol.23, No.3, pp.285-295, 1994. https://doi.org/10.1080/0305724940230306
  13. 박상준, 임태승, "초등학생의 인권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인권판단력의 발달을 중심으로," 법과 인권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39-58, 2010.
  14. 문용린, 문미희, 곽윤정,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15. 유성상, "학생인권 담론과 주요 쟁점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제18권, 제2호, pp.235-257, 2011.
  16. 구정화, "인권교육 연구학교 운영에 나타난 인권 교육의 실천적 특성과 한계," 사회과교육, 제49권, 제3호, pp.1-16, 2010.
  17. 양천수, "인권교육의 의미와 성과 그리고 과제: 인권교육법 제정과 관련하여," 아주법학, 제7권, 제2호, pp.9-44, 2013.
  18. 윤정아, 김춘희,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0권, 제1호, pp.145-163, 2016.
  19. 홍봉선, 아영아, "인권감수성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23권, pp.307-335, 2012.
  20.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4년 전국아동학대 현황조사 보고서, 2015.
  21. H. Gazelle and K. D. Rodolph, "Anxious Solitude and Peer Exclusion: A Diathesis-Stress Model of Internalizing Trajectories in Childhood," Child Development, Vol.74, No.1, pp.257-278, 2004. https://doi.org/10.1111/1467-8624.00534
  22. 김재엽, 이근영,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5호, pp.121-149, 2010.
  23. J. W. Pathch and S. Hinduja,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Bullying among Youth: A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Youth & Society, Vol.43, No.2, pp.727-751, 2010 https://doi.org/10.1177/0044118X10366951
  24.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121-143, 2013.
  25. 김은영,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3호, pp.151-176, 2008.
  26. 도기봉, 장승옥, "청소년이 지각하는 교사의 체벌행동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27권, 제1호, pp.197-220, 2014.
  27. R. L. Matsueda,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27, pp.1577-1611, 1992.
  28.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아동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17, 2008.
  29. K. L. Harkness and M. L. Lumley,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 R. Z. Abela, B. L. Hankin(ed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Guilford Press, pp.466-488, 2008.
  30. 신민정, 최지영, "아동기 학대와 방임이 우울장애 환자의 성격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0권, 제4호, pp.719-738, 2015.
  31. C. K. Danielson, M. A. de Arellano, D. G. Kilpatrick and B. E. Saunders, "Child Maltreatment in Depressed adolescents: Differences in Symptomatology based on History of Abuse," Child Maltreatment, Vol.10, pp.37-48, 2005. https://doi.org/10.1177/1077559504271630
  32. 김은영, "학교폭력피해경험, 우울감, 청소년의 자살에 대한 생각의 관계 검증연구: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1권, 제3호, pp.93-116, 2014.
  33. D. Espelage and S. Swearer, "Research on School Bullying and Victimization: What have we learned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School Psychology Review, Vol.32, No.3, pp.365-383, 2003.
  34. J. Juvonen, S. Graham, and M. A. Schuster, "Bullying among Young Adolescents: The Strong, the Weak, and the Troubled," Pediatrics, Vol.112, pp.1231-1237, 2003. https://doi.org/10.1542/peds.112.6.1231
  35. 김영미, "청소년 폭력피해경험과 심리적 적응 및 비행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470-481, 2016.
  36. 이인선, 최지현,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폭력의 중복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3호, pp.259-281, 2014.
  37. D. Finkelhor, R. Ormrod, and H. A. Turner, "Poly-victimization: A Neglected Component in Child Victimization," Child Abuse & Neglect, Vol.31, pp.7-26, 200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06.008
  38. A. T. Beck, G. Emery, and R. L. Greenberg, Anxiety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Basic Books, 1985.
  39. 남가희, 홍상황, "부정적 양육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또래괴롭힘 피해와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2권, 제2호, pp.111-134, 2015.
  40. G. Downey, A. Lebolt, C. Rincon, and A. I. Freitas,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ren's Interpersonal Difficulties," Child Development, Vol.69, No.4, pp.1074-1091, 19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61.x
  41. B. E. Gibb, "Childhood Maltreatment and Negative Cognitive styl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2, pp.223-246, 2002. https://doi.org/10.1016/S0272-7358(01)00088-5
  42. P. J. Rosen, R. Milich, and M. J. Harris, "Victims of Their own Cognitions: Implicit Social Cognitions, Emotional Distress, and Peer Victimiza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8, pp.211-226, 2007. https://doi.org/10.1016/j.appdev.2007.02.001
  43. 곽한영, 법교육이 청소년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4. 오승호, "폭력의식의 형성과 유형에 대한 연구: 청소년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p.95-132, 2009.
  45. 홍세희,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샆 시리즈 6: 구조 방정식 모형 자료집, S & M 리서치 그룹, 2009.
  4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7.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t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11.
  48. 김은경, "체벌낙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제4권, 제1호, pp.121-1356, 2000.
  49. R. D. Duncan, "Maltreatment by Parents and Pe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ully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Child Maltreatment, Vol.4, No.1, pp.45-55, 1999. https://doi.org/10.1177/1077559599004001005
  50. 천정웅, "청소년 인권의식에 관한 구조분석: 인권존중정도, 인권교육, 차별한 경험, 자존감의 영향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2권, 제4호, pp.1-23, 2015.
  51. 백종림, 정익중, "부부폭력목격경험과 학대경험이 청소년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21-14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