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Father's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Fostering and Children's Vocabulary

여성 결혼 이민자의 다문화 가정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실태와 유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 이민경 (전주기전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6.24
  • Accepted : 2016.10.24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effect of the variables (age,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relating to the multi-cultural family father(MF) on children's vocabulary(CV),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fostering(FPCF) and CV. FPCF in 24 MFs and CV were evaluated using the questionnaire,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ther's education level, average income, occupation, and CV. FPCF score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age and CV.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PCF scores and CV. And some interview examples were illustrat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나이, 교육정도, 평균 월 소득, 직업과 관련된 변인이 유아의 어휘력(CV)에 미치는 영향과 아버지의 유아양육 참여도(FPCF)와 CV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남, 전북에 거주하는 만 3, 4세 다문화 가정 유아 24명의 CV를 평가하였으며, 그들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FPCF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학력, 평균 월 소득, 직업과 CV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나이와 CV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셋째, FPCF와 CV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적절한 면담내용도 일부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006.
  2.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 배소영, 김근영, 정경희, 김효정,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발달지원자 설문을 통해 본 아동의 언어 환경 및 언어발달실태," 언어치료연구, 제18권, 제4호, pp.165-184, 2009.
  4. 김안나,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환경변인과 유아기 자녀들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김지숙, 김선영, 이현정, "책읽기 상황에서 나타난 다문화 가정 영아와 어머니간의 상호작용분석," 언어치료연구, 제20권, 제4호, pp.23-43, 2011.
  6. 오성숙, 이은경,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가정환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174-725, 2013.
  7. 권경숙,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영아 양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29-58, 2011.
  8. 김안나,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환경변인과 유아 자녀들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Y. K. Chang, G. Y. Lee, G. J. Kwak, and H. R. Sung,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lexical development of korean infant," 314 The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Vol.16, No.4, pp.227-241, 2003.
  10. M. S. Kim and S. J.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mother's teaching behavior, and 18 to 24-year-old infant's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SES of families," The journal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Vol.31, No.4, pp.15-27, 2010.
  11. C. E. Snow, "Literacy and language: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53, pp.165-180, 1983. https://doi.org/10.17763/haer.53.2.t6177w39817w2861
  12. K. Y. Lee and M. S. Kim, "Mother-child interaction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g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Vol.13, No.1, pp.39-49, 2006.
  13. Y. S. Lim, Korean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and mothers' verbal behaviors, Unpublished master'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2.
  14. J. Y. Yoo, Relation of home literacy activity and mothers' verbal behavior to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in low-incom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10.
  15. 이현주, 다문화 가정 영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정연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과 유아 언어 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강금화, 황보명, "5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언어, 읽기,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제19권, 제1호, pp.143-158, 2010.
  18. 오소정, 김영태, 김영란,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연구," 특수교육, 제8권, 제1호, pp.137-161, 2009.
  19. 정옥란, "농촌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언어특성 관련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제17권, 제1호, pp.81-102, 2008.
  20. 황상심, "다문화가정아동의 5세 전후 집단 간 언어 발달 특성 비교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 과실천, 제10권, 제3호, pp.265-281, 2009.
  21. 황상심, 정옥란, "경상북도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 특성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2호, pp.174-192, 2008.
  22. 오소정, 김영태, 김영란,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 기초연구," 특수교육, 제8권, 제1호, pp.137-161, 2009.
  23. 김영란,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취학전 아동의 언어 특성 및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4. G. K. Brauch and R. C. Barnett, "Role quality multiple role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women," Journal of persor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578-585, 1986.
  25. 김혜영, 황정미, 서보영, 김동기, "남성의 부성 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 제9권, 2008호, 2008.
  26. 임수경, 김명순, "만 2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 문해 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19, 2013.
  27. M. T. Morman and K. Floyd, "hanging of fatherhood" effects on affectionate communication, closeness, and satisfaction in men's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 and their sons," Western Journal of mmunication, Vol.66, No.4, pp.395-411, 2002.
  28. 이나리, 아버지의 문해발달태도 및 가정문해경과 유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9. 임수경, 김명순, "만 2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 문해 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19, 2013.
  30. 임수경, 김명순, "만 2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 문해 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19, 2013.
  31. M. E. Lamb and C. Tamis-LeMonda, The role of the father; An introduction,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4th ed), pp.1-31, New York: Wiley, 2004.
  32. N. Bernstein-Ratner, "Patterns of parental vocabulary selection in speech to very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Language, Vol.15, pp.481-492, 1988.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12514
  33. N. Pancsofar and L. Vernon-Feagans, "Mother and father language input to young children : Contributions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7, pp.571-587, 2006. https://doi.org/10.1016/j.appdev.2006.08.003
  34. Grief, J. B, Fathers, "children and joint custody," American Journal of Othopsychiatry, Vol.49, pp.311-319, 1979. https://doi.org/10.1111/j.1939-0025.1979.tb02612.x
  35. R. D. Parkd, Father, Mass: Harvard Univ. Press, 1981.
  36. 최경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37. 정승희, 장애아동을 둔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언어유형,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8. K. Y. Lee and M. S. Kim, "Mother-child interaction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g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Vol.13, No.1, pp.39-49, 2006.
  39. N. Pancsofar and L. Vernon-Feagans, "Mother and father language input to young children : Contributions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7, pp.571-587, 2006. https://doi.org/10.1016/j.appdev.2006.08.003
  40. Y. K. Chang, G. Y. Lee, G. J. Kwak, and H. R. Sung, "Relations of maternal linguistic inputs to lexical development of koreaninfant," 314 The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Vol.16, No.4, pp.227-241, 2003.
  41. M. S. Kim and S. J.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mother's teaching behavior, and 18 to 24-year-old infant's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SES of families." The journal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Vol.31, No.4, pp.15-27, 2010.
  42. C. E. Snow, Literacy and language: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53, pp.165-189, 1983. https://doi.org/10.17763/haer.53.2.t6177w39817w2861
  43. K. Y. Lee and M. S. Kim, "Mother-child interaction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g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Vol.13, No.1, pp.39-49, 2006.
  44. Y. S. Lim, Korean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and mothers' verbal behaviors, Unpublished master'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2.
  45. J. Y. Yoo, Relation of home literacy activity and mothers' verbal behavior to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in low-incom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10.
  46. A. E. Duursma, Parental bookreading in low-income families : Differences and mothers in frequency and style of reading and the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2007.
  47. 이수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능력 연구, K-BNT-C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8. M. M. Binger, "Attitudes toward Fathering and father-child activity,"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Vol.6, No.2, pp.98-106, 1977. https://doi.org/10.1177/1077727X7700600201
  49. G. K. Brauch and R. C. Barnett, "Role quality multiple role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women," Journal of persor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578-585, 1986.
  50. 최경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51. 임용순, 한국영아의 어휘발달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2. 유지영, 저소득 가정의 문해활동 및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53. 호수진, 어머니의 문해신념 및 가정문해환경이 만 2세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4. 오성숙,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 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3권, 제2호, pp.522-531, 2013.
  55. J. B. Grief, "Fathers, children and joint custody. American Journal of Othopsychiatry," Vol.49, pp.311-319, 1979. https://doi.org/10.1111/j.1939-0025.1979.tb02612.x
  56. R. D. Parkd, Father, Mass: Harvard Univ. Press, 1981.
  57. 최지희, 아버지의 양육참여정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8. 오민영, 아버지 양육 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9. 최지희, 아버지의 양육참여정도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0. 손재익,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89-109, 2010.
  61. 권미경, 육아정책 Brief 28호, 육아정책연구소, 2014.
  62. 이윤정, "다문화가족 지원 법률과 정책, 제도에 기반한 사업 및 프로그램의 방향성,"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5호, pp.370-378,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5.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