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of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d Schizophrenic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여중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애적 성향과 분열형 성격특성의 매개효과검증

  • Received : 2016.09.19
  • Accepted : 2016.10.15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d schizophrenic personality trai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middle school girls. Data from 378 girls in Kyungki and Chungchoeng areas were analyzed.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schizophrenic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al aggression. Both personality traits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hird, schizophrenic personality trai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for adolescent girls at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이 여중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애적 성향과 분열형 성격특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및 충청지역에서 연구에 참가한 여중생 3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애적 성향, 분열형 성격특성, 관계적 공격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애적 성향과 분열형 성격특성도 관계적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애적 성향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열형 성격특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높은 여학생들을 위한 임상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2015.
  2. 정구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3. 신용민, 이봉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유형에 따른 온-오프라인 대인관계성향," 청소년문화포럼, 제44권, pp.68-95, 2015.
  4.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Washi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4.
  6.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7. 정구철, 문종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146-15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146
  8. 조성현, 서경현, "SNS 중독 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9. 한수정,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2000.
  10. 윤선아, "한국판 분열형 성격장애 척도-단축형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Brief SPQB)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9권, 제2호, pp.491-504, 2010.
  11. A. Raine, "The SPQ: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schizotypal personality based on DSM-III-R criteria," Schizotypal Bulletin, Vol.17, pp.555-564, 1991. https://doi.org/10.1093/schbul/17.4.555
  12. S. K. Lee, H. S. Lee, B. K. Son, H. P. Lee, and S. J. Kwon, "Different personality profiles among Internet game addiction, alcohol use, and smoking behavior in Korean adolescent sample," Journal of Korean Addiction Psychiatry, Vol.9, No.1, pp.3-8, 2005.
  13. 전경자, 손신영, 소애영, 이꽃매, 박선희,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흡연,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6호, pp.872-882, 2007.
  14. 조수연, NEO 청소년 성격 특성과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취약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매개 변인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5. J. R. Meloy, 'The Psychopathic Mind: Origins, Dynamics, and Treatment, Northvale:Jason Aronson, 1988.
  16. A. Rain, K. A. Dodge, R. Loeber, L. Gatzke-Kopp, D. Lynam, and C. Reynolds, "The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Differential correlates of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adolescent boys," Aggressive Behavior, Vol.32, pp.159-171, 2006. https://doi.org/10.1002/ab.20115
  17. 박성복, 황하성,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대학생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4호, pp.289-311, 2014.
  18. 신광우, 김동일, 정여주,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9. 이정기, "청소년의 성향적 휴대폰 이용동기와 중독: 언어폭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365-401, 2011.
  20. C. L. Lasch, The culture of marcissism, New York: Norton, 1976.
  21. 정남운,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2호, pp.221-237, 2001.
  22. R. F. Baumeister, B. J. Bushman, and W. K. Campbell, "Self-esteem, marcissism, and aggression: Does violence result from low self-esteem or from threatened egoitism?,"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9, No.1, pp.26-30, 2000. https://doi.org/10.1111/1467-8721.00053
  23. H. O. Moon, I. H. Yang, H. P. Lee, M. E. Kim, and W. Ham,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Validation of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Korean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137, pp.329-343, 1997.
  24. L. Berkowitz, "The Concept of Aggression. In P.F.Brain & D. Benton (Eds.),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Aggression Research (pp.143-161)," Amsterdam: Elsevier/North Holland Biomedical Press, 1981.
  25. M. A. Marsee, C. T. Barry, P. J. Frick, E. R. Kimonis, L. C. Munoz, and K. J. Aucoin, "Assessing Aggression in at-risk youth using the Peer Conflict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Southea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
  26. A. Loukas, S. K. Paulos, and S. Robinson, "Early adolescent social and overt aggression: Examining the roles of social anxiety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4, No.4, pp.335-345, 2005. https://doi.org/10.1007/s10964-005-5757-2
  27. 신성철, 백석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11호, pp.345-362, 2013.
  28. 박은민, 박기희,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09-224, 2014.
  29. 선혁규, 백종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중학생의 우울,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07-123, 2015.
  30. 김현정,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사이버폭력과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1.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32. A. M. Manago, M. B. Graham, P. M. Greenfield, and G. Salimkhanm, "Self-presentation and gender on My Spa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9, pp.446-458, 2008. https://doi.org/10.1016/j.appdev.2008.07.001
  33. S. Mehdizadeh, "Self Presentation: Narcissisn and Self Esteem on Facebook," Cyber Psychology, Behavior, & Social Networking, Vol.13, No.4, pp.357-364, 2010. https://doi.org/10.1089/cyber.2009.0257
  34. D. J. Kuss and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8, No.9, pp.3528-3552, 2011.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35. 서수균, 권석만,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1권, 제4호, pp.809-826, 2002.
  36. 홍명숙, 어주경,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911-3928, 2013.
  37. 길주현, 오경자, "자기애의 세부특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4호, pp.911-924, 2008.
  38. 이은진, 김영윤, 김범준,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이 정신병질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3호, pp.447-468, 2011.
  39. N. R. Crick and K. A. Dodge,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Vol.67, pp.993-1002, 1996. https://doi.org/10.2307/1131875
  40. A. Raine, C. Reynolds, T. Lencz, A. Scerbo, N. Triphon, and D. Kim, "Cognitive-perceptual, interpersonal, and disorganized features of schizotypal personality," Schizophrenia Bulletin, Vol.20, pp.191-201, 1994. https://doi.org/10.1093/schbul/20.1.191
  41. A. Raine, K. Dodge, R. Loeber, L. Gatzke-Kopp, D. Lynam, C. Reynolds, M. Stouthamer-Loeber, and J. Liu, "The Reactive-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Differential Correlates of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in Adolescent Boys," Aggressive Behavior, Vol.32, pp.159-171, 2006. https://doi.org/10.1002/ab.20115
  42. Y. Xu and Z. Zhang, "Distinguishing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in Chinese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6, pp.539-552, 2008. https://doi.org/10.1007/s10802-007-9198-0
  4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2012.
  44. 황순택, 전형성 평정에 의한 성격장애 진단준거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45. 한수정, 자기애 성격성향자의 외현젹, 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46. 강진옥, 청소년의 내,외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7. A. Raine and D. Benishay, "The SPQ-B: a brief screening instrument fo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 Vol.9, pp.346-355, 1995. https://doi.org/10.1521/pedi.1995.9.4.346
  48.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a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pp.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49. 홍세희, "구조 방정식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50.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51. 백현기, 하태현, "마음의 창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4호, pp.239-249,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4.239
  52.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2014.
  53. G. F. Barrett-Lennard, "The empathy sscale: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9, pp.91-100,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