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pensation of Land according to the Spatial Properties -In case Compensation of Public Housing District-

공간정보 속성에 따른 토지보상액 결정에 관한 연구 -공공주택지구 보상사례를 중심으로-

  • 문재혁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Received : 2016.09.20
  • Accepted : 2016.10.18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In order to supply the residential land for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it must take a land of city suburb. That land have the difference in thinking is large for the determination of land prices to a variety of development pressure and land use regulations. In the process of executing a public project, the difference of these ideas has become a cause of conflict. Therefore, through objective study for the determination of land prices, to reduce the difference of ideas is going to be a clue of conflict resolution. This study selected the case area that is typical public district of many conflict, and then fix a compensation unit price like fair price as dependent variable. The selected variabl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pert consultation w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land prices in the hedonic price model.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distinguishing the group on the basis of the zoning and using, whether or not the site of the building in part that there is influence variable, the aspects of accessibility and regulation in part degree of influence variable came out different results for each group. It is analyzed that it reasonable results. Add selected site assimilation of the building that have not been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s a variable and which was applied at a rate to a variable of road have improved in more expliction of the influence of variables.

주거복지 증진을 위해 필요한 택지공급을 위해서는 많은 토지를 취득해야 한다. 토지는 다양한 개발압력과 토지이용규제로 지가 결정에 대한 이견이 크며, 이러한 견해의 차는 공익사업 시행에 있어 갈등의 단초가 되고 있다. 지가 결정에 대한 객관적 연구를 통해 견해의 차이를 좁히는 것은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공익사업의 하나인 공공주택지구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보상단가를 종속변수로, 선행연구 및 전문가 집중인터뷰를 통해 선정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헤도닉모형을 적용하여 지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그 정도를 분석하였다. 용도지역 및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구분한 그룹별 분석결과 영향요인의 유의성 여부에서는 건물부지여부가, 영향력의 크기에서는 접근성측면과 공법상 제한측면이 그룹별로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합리적인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건물부지 여부를 변수로 추가 선정한 것과 도로접면 변수에 대한 비율척도 적용으로 보상액 영향 분석에 있어서 설명력이 높아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우, 토지시장의 가격결정구조와 대규모 택지 개발사업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변국일, 개발제한구역 조정에 따른 존치지역 지가 변화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 정희남, 김승종, 안영아, "보상갈등의 유형화와 유형별 보상갈등 완화과제," 부동산․도시연구, 제3권, 제1호, pp.61-80, 2010.
  4. 이범웅, 정석, 지가형성의 지역요인 및 개별요인, 한국부동산연구원, 2007.
  5. 김선주, 김효곤, 김재태, "토지 실거래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충남 당진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제10권, 제2호, pp.33-47, 2012.
  6. Adams, F. Gerard, G. Milgram, E. W. Green, and C. Mansfield, "Undeveloped land Pricing During Urbanization: A Micro-empirical Study over Tim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stics, Vol.3, No.2, pp.248-258, 1968.
  7. Richard B. Preiser, "The Determinants of Nonresidential Urban Value,"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22, pp.340-360, 1987. https://doi.org/10.1016/0094-1190(87)90032-5
  8. Guidry, Krinsandra, J. D. Shilling, and C. F. Sirmans, "Land-Use Controls, Natual Restrictions, and Urban Residential Land Prices," The Review of Regional Studies, Vol.29, No.2, pp.105-112, 1999.
  9. 남궁철, GIS 활용에 의한 공시지가 산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 민웅기, "공시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특성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제4권, 제1호, pp.99-113, 2006.
  11. 이성근, 이관률, 권대동, "대구광역시 달구벌대로 이근 상업용토지의 지가결정요인,"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8권, 제3호, pp.65-80, 2006.
  12. 김종수, 이성근, "헤도닉가격모형과 서포트 벡터 회귀분석모형을 이용한 공업용 부동산의 가격추정," 한국감정평가학논집, 제11권, 제1호, pp.71-89, 2012.
  13. 장충용, 노태욱, "서울시 단독주택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실거래 사례를 기반으로," 감정평가학논집, 제14권, 제1호, pp.55-71, 2015.
  14. 박성민,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토지가격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5. 이건학, 김김영, "개별공시지가와 주택실거래가의 공간적 불일치에 관한 연구-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MAUP)의 스케일 효과 탐색,"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6호, pp.879-896, 2013.
  16. 배영환, 지역요인을 고려한 공시지가 산정 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7. 김봉준, 최진호, 이가영, 부동산 공시제도 선진화 방안 연구(I) 유사가격권 구분방법 연구, KAB부동산연구원, 2015.
  18. 이대식, 이찬호, 김종한, "공용수용에서 보상가격과 시장가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남권역의 보상가격 적정성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제30권, 제4호, pp.23-42, 2012.
  19. 김유동, 실거래가 검증체계의 실태 분석을 통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유완, 조응래, "지가평가모형의 개발," 국토계획, 제25권, 제1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9-20, 1990.
  21. 이용만, "헤도닉 가격모형에 대한 소고," 부동산학연구, 제14집, 제1호, pp.81-87, 2009.
  22. 김선주, 권기욱, "개별공시지가 현실화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49-162, 2013.
  23. 건설교통부, 시가수준추정모형 개발 및 표준지재설계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2007.
  24. 이학식, 임지훈,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011.
  25. 박상규, 김창석,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토지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61권, pp.61-80, 2009.
  26. 김선주, 권기욱, "완주 혁신도시 지역의 지가 결정요인," 주거환경, 제31권, 제2호, pp.17-27, 2015.
  27. 하한종, 단독주택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구로구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8. 양영준, "제주특별자치도 토지 실거래가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최소자승법과 분위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학보, 제61권, pp.151-16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