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d isotope ratios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bronzes from Korea peninsula

출토 지역과 시대에 따른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 특성

  • Kim, So-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Woo-Rim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Jin-Ju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eong, Youn-Joong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
  • Han, Min-s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정연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paper confirms characteristics of lead isotopes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Korea peninsula using 673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Age, type and region. Lead isotopes data in Early iron ages are distribu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but data in Joseon ages are concentrated in zone 3. Also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sang are manufactured using raw materials of the entire Korea peninsula, but bronzes excavated from North Korea aren't produced using raw materials of Gyeonsang provinces. Lead isotopes data will be able to find moving routes of raw materials and to separate the period of mixing and recycling of lead.

한반도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 673건을 이용하여 시대별,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납동위원소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기철기시대는 한반도 남부의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는 반면, 조선시대의 납동위원소비는 대부분 zone 3로 대변되는 충청남 북도와 전라남 북도에 분포되었다. 또한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도에서 출토된 청동기는 한반도 전역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나, 북한의 경우 경상남 북도의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시대가 명확한 출토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를 추가적으로 확보한다면 청동기 원료의 이동 경로 뿐만 아니라, 납이 혼합되고 재활용되는 시기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