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articipation in Regular Leisure Sports 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in Adolescents

청소년의 규칙적인 여가스포츠 참여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7.02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regular leisure sports 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in adolescents. To achieve this purpose, 650 stud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and survey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611 survey sample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and 39 survey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of untrustworthy response. Statistical program AMOS 18.0 was used to conduc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goodness of fit test, and SPSS 21.0 Window program was used to conduct analysis of frequency, t-test, and ANOVA. Through the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regular leisure sports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compared to non-participation group. Second,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of parental participation group in regular leisure sport was high the most followed by lonely participation group and non-participation group. Finally, authors describe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규칙적인 여가스포츠 참가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중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3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61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프로그램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가스포츠에 참가하지 않는 청소년 집단보다 여가스포츠에 규칙적으로 참여하는 청소년 집단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규칙적으로 여가스포츠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경우 부모가 청소년의 여가스포츠 활동에 동참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가스포츠 비참가 청소년, 청소년 자신만 참여하는 집단,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집단 간의 가족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가족친밀성을 제외하고는 여가스포츠 비참가 집단보다 청소년 자신만 여가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이, 청소년 자신만 참여하는 집단보다는 부모가 함께 참가 하는 집단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미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자아 탄력성, 희망, 또래관계기술 및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2014.
  2. 김성봉, 문제행동 청소년의 가족경험에 대한 통합적 접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2012.
  3. 박경원,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및 사회적지지,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3.
  4. 통계청, 2013 청소년 통계, 2013.
  5. 오세연, "가출팸 청소년의 범죄조직화 현상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12권, 제3호, pp.147-172, 2013.
  6. 김양희, 가족관계학, 수학사, 2000.
  7. 한혜숙, 남녀중학생의 가족영역 가정과 교육에 대한 필요도, 흥미도, 실생활 적용도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2.
  8. 박수원,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3.
  9. 유영주, "한국도시가족의 가족생활주기에 대한 연구," 한국 가정관리 학회, 제2권, 제1호, pp.111-129, 1984.
  10. 이승원, 김동배, 이주연,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07-125, 2008.
  11. 한경혜, 송지은,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문화, 제13권, 제1호, pp.51-74, 2001.
  12. 정성경, "가족관계 증진 집단상담 참가자의 변화과정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 제10권, 제1호, pp.122-155, 2005.
  13. 김선미, 가족관계와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5.
  14. 노성호, 한국의 청소년 비행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1992.
  15. 노길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비행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98.
  16. 조미숙, 오선주,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관계 변인과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4권, 제1호, pp.67-89, 1999.
  17. 김종민, "여가스포츠에 대한 이해와 활성화 방안," 스포츠과학논문집, 제22권, 제1호, pp.1-13, 2010.
  18. 김홍백, 여가스포츠 총론, 서울: 형설스포츠, 2008.
  19. 김지은,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을 통한 가족유대감 얻기: 근거이론적 접근, 국민대학교 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2006.
  20. 김태완, 중학생들의 여가스포츠 활동 실태조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3.
  21. 소재희,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가가 교우 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3.
  22. 안진혁, 중고등학생과 부모의 스포츠 참가가의사소통 및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체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0.
  23. 염두승, "청소년의 여가 스포츠 활동 참가와 사회적 관계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권, 제1호, pp.75-80, 2003.
  24. 오명석,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시민성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7.
  25. S. Verma and R. Larson(Eds), Examining adolescent leisure time across culture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No.99, San Francisco: Jossey-Bass, 2003.
  26. 문화체육관광부, 2013 여가백서, 2013.
  27. 오유자,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적용한 컴퓨터 게임중독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가족관계 향상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4.
  28. 박건주, 경기지역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진로 성숙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9.
  29. 홍승연, 고등학생이 인지한 부모 양육태도와 부모 역할 인지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3.
  30.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p.238-24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31. L. T. Hu and P.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s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Vol.6, pp.1-55, 1999.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32.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s with unobservable variable and measurement," J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3. J. F. Hair, J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98.
  34. 강경애, 부모교육 참가가 자녀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10.
  35. 김미정, 종교활동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