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ystematic Review on Intervention to Improve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 집행 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Ko, Seok-Beo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ROI Hospital) ;
  • Kim, Moo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Oh, Yun-Tae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verance Rehabilitation Hospital)
  • 고석범 (로이병원 작업치료실) ;
  • 김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오윤택 (세브란스 재활병원 작업치료실)
  • Received : 2015.07.30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various interven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covery and cognitive processes in order to improve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e literature search focused on Level I-IV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1996 and April 2015 for 20 years in electronic databases(e.g. MEDLINE, SCOPUS, RISS). The keyword search terms were 'Stroke', 'Executive function', 'Executive function deficit', 'Occupational therapy', 'Rehabilitation', 'Remedial', 'Compensatory' and 'Education'. Result : A total of 13 articles were appraised using the hierarchy of levels of evidence-based practice and 6 Level I evidence articles, 1 Level II articles, 2 Level III articles and 4 Level IV articles. Each intervention improved executive function but was different in degree of generalization. Conclusion :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found that there are a variety of applied interventions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nd are different in effect depending on methods of interventions. This study provided evidences to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clinical practice of interventions to improve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집행 기능 향상을 위해 회복기 및 인지 과정에 따른 중재법을 알아보고, 이를 집행기능 장애의 사례별 특성에 따라 정리하여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에게 시행방법과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주요검색 용어'Stroke', 'Executive function', 'Executive function deficit', 'Occupational therapy', 'Rehabilitation', 'Remedial', 'Compensatory' and 'Education'를 사용하여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 20년 간의 문헌을 검색하였다. 전자 테이터 베이스인 MEDLINE, SCOPUS, RISS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이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선정된 13편의 연구는 질적 수준(level of evidence)에 따라 전체 연구 중 수준I에 포함하는 무작위 할당 실험설계는 6개(46.2%)이었고, 수준II가 1개(7.7%), 수준III이 2개(15.4%), 수준IV가 4개(30.8%)이었다. 각 중재 방법에 따른 결과로 실행 기능의 향상을 보이나 일상생활의 일반화는 각 실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뇌졸중 환자의 집행 기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중재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중재 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집행 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 방법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 방법의 적용과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