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FTAs on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우리나라 조선 산업에 FTA가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안태건 (중앙대학교 대학원 무역물류학과) ;
  • 김성룡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Received : 2015.08.30
  • Accepted : 2015.09.21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and the effects of free trade agreements (FTAs) in this field. This paper uses empirical research models including a panel gravity model based on trade, gross domestic product, purchasing power parity, population, distance, and implementation of F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TA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work positively in order to sign FTAs and provide support for the industry and related businesses to grow.

본 연구의 목적은 FTA 발효효과가 제89류 교역량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조선 산업에 FTA가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HS 89류 교역량 자료를 패널중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제89류 교역량은 FTA 발효효과와 정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FTA 발효 효과 그 자체는 조선 산업의 수출과 수입을 늘리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조선 산업은 2012년 이후 약화된 경쟁력으로 인하여 선박 수출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조선 산업은 국가경제에 큰 이바지를 하는 기간산업이자 우리의 주력 수출산업이다. 이러한 조선 산업의 침체를 막고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조선 산업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강석.김기승(2012), "한국과 중국 일본의 조선산업 국제경쟁력 비교분석", 무역보험연구, 제13권 제1 호, 125-140.
  2. 강다연.전영서(2014), "중국의 FTA교역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국제지역연구, 제18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141-171.
  3. 구종순.가월위(2013), "중국 조선산업의 비교우위에 관한 실증분석", 무역보험연구, 제14권 제3호, 169-191.
  4. 구종순.황정현.가이어동(2013), "우리나라 조선산업에서 특허가 국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9권 제3호, 497- 521.
  5. 김무형.임대봉(2008), "환율과 철강가격의 변화가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8권 제2호, 107-128.
  6. 김미아(2012), "국제금융위기가 한국 조선 산업의대 EU 교역에 미치는 효과", 유럽연구, 제30권 제2호, 155-181.
  7. 박석호.김호남(2012), "조선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8집 제2호, 155-177.
  8. 배재한(2015), "조선3사의 위기탈출 역주행", <국제신문>, 8월 19일자, 30면.
  9. 안태건(2015), "한국 FTA의 교역 증대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철(2006), "중력모형을 적용한 한국무역(1996-2000)의 실증적 분석", 무역학회지, 제31권 제1호, 43-73.
  11. 이홍재.박재석.송동진.임경원(2005), EViews를 이용한 금융경제 시계열 분석, 경문사.
  12. 이희진(2015), "한중FTA 가서명...주요 농산물 대부분은 개방 대상 제외", , 2월 25일자.
  13. 정영근.임응순(2011),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129-143.
  14. 심재희.정분도(2011), "한중 간 조선산업 선종별 경합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155-183.
  15. Anderson, J.(1979),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Gravity Equ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69 No.1, 106-116.
  16. Frankel, Stein, and Wei(1997), Regional Trading Blocs in the World Economic System, Peterson Institute.
  17. Krugman, P. and Obstfeld, M.(2006), International Economics: Theory&Policy 7th, Addison Wesley, 39.
  18. Tinbergen, J.(1962), Shaping the World Economy: Suggestions for a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New York Twentieth Century Fund.
  19. Winter and Soloaga(2001), "Regionalism in the Nineties: What Effect on Trade," North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Vol.12 No.1, 1-29. https://doi.org/10.1016/S1062-9408(01)00042-0
  20. Wooldridge(2002), Econometric Analysis on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The MIT Press, 130-132.
  21. KITA 무역통계
  22. UN COMTRADE
  23. World Bank Database
  24. CEPII Database
  25. UNCTAD T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