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한 부산항의 수출경쟁력 분석

Export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 투고 : 2015.08.15
  • 심사 : 2015.09.21
  • 발행 : 2015.09.30

초록

부산항의 수출이 우리나라 항만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항만의 위상변화는 해당 항만의 주요 수출시장과 수출품목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본고는 중국에 대한 부산항의 주요 10개 수출품목의 경쟁력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장비교우위(Market Comparative Advantage: MCA)지수를 도출하여 변화하는 행태를 분석함과 동시에 MCA지수를 대 중국 수출비중과 중국의 수입비중으로 분해한다. 부산항의 수출경쟁력은 MCA지수가 하락한 HS8703 품목을 제외한 9개 품목에서 상승하나, 이 중 7개 품목에서 중국의 수입비중이 감소함을 보인다. 그런데 중국의 수입비중이 줄어든다는 것은 시장비교우위지수가 상승하여도 수출증가를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의 수입비중이 감소하는 7개 품목에서 5개 품목은 대중 수출비중이 상승하나 2개 품목에서는 대중 수출비중도 함께 하락하여 MCA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출전망이 어둡다는 것을 보인다. 결국 HS3920, HS8708, HS8703과 같은 3개 품목에서만 수출경쟁력 향상이 수출전망을 밝게 한다는 것을 밝힌다. HS8708 품목이 부산항의 대중 수출에서 1위를 차지하는 품목이라는 점은 부산항의 대중 수출에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나, 10개 품목 중 3개 품목에서만 수출전망이 밝다는 것은 부산항의 대중 수출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인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Busan Port to China. For this, we use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which is a version of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he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MCA) uses trade patterns to identify the sectors in which a region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this case by comparing Busan Port's trade profile with the world average (China). The indices are calculated at the commodity level of the HS four-digit classification. The export data used in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Exports to China accounted for almost one third of Korean exports in 2014. There are, however, structural differences among the main export items of Busan Port. This paper, therefore, employs MCA indices to reveal the behaviors of the ten main export items, which are "HS3920-other plates/sheets/film/foil of plastics," "HS7606-aluminum plates/sheets/strip," "HS8479-unspecified machines/medical appliances," "HS8486-machines for semiconductor devices or wafers," "HS8529-parts for transmission apparatus for television," "HS8703-motor vehicles for the transport of persons," "HS8708-parts of motor vehicles," "HS9001-optical fibers," and "HS9013-liquid crystal devices." The study shows that export competitiveness of nine items increases, the exception being HS8703. However, China's import ratios of seven of the nine items for which the MCA indices go up are on the decrease, which means that it would be hard to expand the export market for these seven items, despite the higher MCA indices. Since the shares of the port's total exports to China of HS3907, HS8486, HS8529, HS9001, and HS9013 in total exports to China increase together with China's import ratio decreasing, these items may have promising export markets. MCA increases of HS7606 and HS8479 are attributable to China's lower import ratio, rather than a higher export share, so higher MCA indices do not guarantee higher export competitiveness for these item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수(2000), "부산항의 항만경쟁력 비교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6권, 251-280.
  2. 김지용(2014), "일본 소재산업의 대한국시장 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4호, 439-455.
  3. 김창범(2013), "한.중 FTA와 전남의대 중국 농수산업 무역경쟁력 비교우위와 산업내무역", 통상정보연구, 제15권 제3호, 333-352.
  4. 박환재.기석도(2014), "한.중 제조업의 산업간 및 산업내 무역구조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1호, 121-140.
  5. 이승택(2015), "중국 철강재의 대한국무역 경쟁력 변화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40권 제2호, 93-114.
  6. 이승택.김성국(2015), "한.중 FTA의 대 중국 자동차무 역 영향 고찰", 통상정보연구, 제17권 제1호, 265-285.
  7. 이충배.만준빈.김정환(2012), "중국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1호, 289-312.
  8. 초서량.황우.박형래(2014), "한.중 자동차 부품교역의 경쟁구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세학회지, 제15권 제3호, 195-216.
  9. Basu, S. R. (2009), "Comparing China and India: Is the Dividend of Economic Reforms Polarized?," European Journal of Comparative Economics, Vol.6 No.1, 57-99.
  10. Bojnec, S., & I. Ferto (2010), "Southeastern European Agrofood Trade Specialization," Eastern European Economics, Vol.48 No.3, 22-51.
  11. Shohibul, A. (2013),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Measure: ASEAN-China Trade Flows," Journal of Economic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Vol.4 No.7, 136-145.
  12. Taneja, K. & Nassir Ul Haq Wani (2014), "Economic Performance of Indo-China Merchandise Trade: An Analysis of RCA and RID Approaches,"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5 No.1, 88-104.
  13. Vixathep, S.(2013), "Cambodia's Comparative Advantage Patterns and Trade Structure from 1985 to 2010," Journal of Southeast Asian Economics, Vol.30 No.3, 278-293. https://doi.org/10.1355/ae30-3d
  14. Yu, S., J. Cai, and P. Leung, (2009), "The Normalize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43 No.1, 267-82. https://doi.org/10.1007/s00168-008-0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