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사용후기에 대한 법적책임의식에 관한

Consumers' Perception on Legal Liability of the Online Reviews

  • Kim, Soyea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5.08.22
  • 심사 : 2015.09.16
  • 발행 : 2015.09.27

초록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사용후기 중에는 과격한 표현이 포함되거나 사업자에게 불리한 내용이 포함된 것들이 많아서, 후기 작성자와 사업자 간에 마찰이 빚어지거나 심지어 법률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부정적이고 과격한 표현이 담긴 사용후기관련 사례를 분석한 후, 사례에 나타난 사용후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윤리적, 법률적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 따르면, 대법원 판례는 행위자의 주요한 동기나 목적이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부수적으로 다른 사익적 목적이나 동기가 내포되어 있더라도, 후기 작성이 상대를 비방할 목적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한 바 있다. 사례 요지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업자에게 불리한 내용의 사용후기일지라도, 응답자들은 대체로 작성자의 법률적 책임수준보다는 이러한 행위에 대한 지지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사용후기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정보제공에 더 큰 의미가 있으며, 특히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허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해서, 연구대상 사례에 대한 대법원 판결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후기에 대한 윤리의식과 함께 법률적 책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으나, 표현의 자유가 과도하게 침해되지 않도록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As hostile online review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a company's reputation, it is not surprising that online reviewers and business owners often get involved in conflicts which sometimes evolve into legal disput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legal dispute case in which the business owner charges an online reviewer for a defamation. Further, this research compares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ith general public's view on this defamation case, using a survey method. From the legal point of view, an online reviewer's primary motive determines whether the online reviews are defamatory statements or not. Specifically, if an online reviewer's primary motive is to increase the overall benefits for the public society, the online review does not bear any legal liability. According to our survey, consumers' view aligns with the final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They believe that online reviews should bear a minimum level of legal liability as online reviews often contain useful and valuable information which can enhance overall public benefi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