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atyana Tolstaya's Rendezvous with Bird

따찌야나 똘스따야의 단편 「새와의 만남」에 나타난 절망과 죽음의 모티프 - 조이스, 욘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5.12.09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Through the comparison of "Rendezvous with a Bird" with "Araby", there were found to be well-explained psychological causes of the boy's (Petya) behavior that closely discloses the concrete object of desperation and definitely confirmed the internal causes of heroes (vanity of the boys in "Araby" and "Rendezvous with bird"). Through the comparison of "Rendezvous with a Bird" with "A man in a boat" we also knew that Petya's indefinite fear of death was to some extent a sense of guilt. This study contains a full-scale review of Russian contemporary writer Tatyana Tolstaya's short story "Rendezvous with a Bird", which is one of the her earliest works. As many critics indicate, the works of Tatyana Tolstaya resonate with metaphor. "Rendezvous with a bird"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is metaphoric tendenc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taphoric tendency of her works we need our own reading strategy, and so we inquired into the grasp of the main motifs. Analysis of the main motifs can start from the understanding of meanings of the very figurative title 'Rendezvous with a Bird'.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title, we first of all analyzed the incidents of actual or figurative meetings with birds in this work, and through this we deduced two main motifs. We confirmed one main motif of 'desperation', which centers on the love of a young boy and woman. We confirmed the other motif as 'death', which developed into the rendezvous of the grandfather with inevitable death. Thus, the 'desperation' and 'death' with which we meet in childhood becomes a subject matter for the writer. To understand the deeper meanings of these main motifs, we compared "Rendezvous with Bird" with the short story "Araby" by James Joyce and with the short story "A man in a boat" by Eyvind Johnson, which very successfully deal with the motifs: 'desperation' and 'death'.

이 연구는 현대 러시아 작가인 따찌야나 똘스따야의 초기 단편 가운데 하나인 "새와의 만남"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을 담고 있다. 많은 비평가들이 지적하였듯이 똘스따야의 작품은 비유로 가득하다. "새와의 만남"은 그녀의 작품이 갖는 비유적 경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비유적 경향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독서전략이 필요하며, 그런 이유로 본 논문은 주도적인 모티프의 파악에 천착하였다. 모티프 분석은 우선 새와의 만남이라는 심히 비유적인 제목의 의미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였다. 제목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우선 작품 속에 드러난 새와의 만남에 해당할 수 있는 사건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작품을 이끌어가고 있는 두 개의 주도적인 모티프를 분석하였다. 소년과 여자의 만남이라는 소년의 사랑이야기는 절망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전개되었으며 전체 작품의 한 중심축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할아버지와 인간의 피할 수 없는 운명과의 만남의 이야기는 죽음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전개되었으며 작품의 또 다른 중심축을 구성하고 있음을 또한 확인하였다. 이렇게 볼 때 유년에 만나는 절망과 죽음은 이 작품을 통해 작가가 견지한 일종의 문제의식이 될 것이다. 절망과 죽음이라는 주도적인 모티프가 갖는 보다 심층적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유년에 조우한 절망과 죽음을 매우 성공적으로 다룬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제임스 조이스의 "애러비"와 에이비트 욘손의 "보트 속의 남자"를 각 작품의 주도적 모티프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애러비"와의 비교를 통해 "새와의 만남"의 소년의 행위의 심리적 원인이 더 자세히 설명되고, 절망의 구체적 대상이 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며, 절망의 주인공 내적 원인(예를 들어 "애러비" 소년의 허영심과 페차의 허영심)이 더 명확히 입증된 것은 비교 연구의 작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보트 속의 남자"와의 비교를 통해 죽음에 대한 페차의 막연한 공포를 일종의 죄의식으로 설명한 것 역시 두 작품과의 비교가 주는 유의미한 결과가 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