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lented Labor Attraction in Korea - Focused on Talent Magnet Potential Index(TMPI) -

인재유인력의 지역분포와 특성분석 - 인재유인잠재력지수(TMPI) 산출을 중심으로 -

  • 허문구 (산업연구원, 지역발전연구센터)
  • Received : 2015.09.15
  • Accepted : 2015.11.1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with the Talent Magnet Potential Index(TMPI), which is calculated through the extra-regional talent attracting environment(Magnet factors) and intra-regional talent cultivating environment(Incubator factors) of each region. As a result, Seoul, Daejeon, Gyeonggi, Ulsan etc. ranked highest, and regions developed in knowledge-based services, R&D capability, and manufacturing turned out to have a higher TMPI. The region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and the regional type analysis showed that the cumulative effects of Type I(Talent comparative advantage type) and Type III(Talent absolute shortage type) contribute to widening the economic gap among these regions. In addition, although the metropolitan based Type IV(intra-regional talent dependant type) had excellent talent training capability, there seemed to be an outflow of talent into Type I or Type II(extra-regional talent dependant type). This paper has done a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MPI. As a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alent by type and TMPI turned out to be very hi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2T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showing that tolerance contributes a much greater deal to talent attracting and training than expected. Finally, based on the main analytical results, implications for talent attraction & training policy projects and 7 improvement plans have been proposed.

본고에서는 각 지역의 역외 인재 유인환경(Magnet요소) 및 역내 인재 양성환경(Incubator요소)을 통해 인재유인잠재력지수(Talent Magnet Potential Index, TMPI)를 산출함으로써 지역분포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 대전, 경기, 울산 등이 1~4위의 상위권을 차지하여 지식기반서비스업 및 R&D역량, 그리고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TMPI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개로 분류한 인재유인력 지역유형에서는 유형I(인재비교우위형)과 유형III(인재절대부족형)의 누적적 효과로 인해 향후 이들 지역 간의 경제격차 확대가 예상된다. 더불어 광역시 중심의 유형IV(역내 인재의존형)의 경우는 인재양성역량은 우수하나 유형I 또는 유형II(역외인재의존형)으로의 인재 유출이 우려된다. 본고는 TMPI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16개 시도 대상의 유형별 인재와 TMPI 간 상관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T와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간 상대적으로 경시된 관용성 부문이 인재의 유인 및 양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새로이 확인하였다. 그러나 인재가 집중하는 서울을 제외한 15개 시도 대상의 상관관계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주요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의 인재 확보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