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oes City Function Depend on City Size?

도시의 기능은 규모에 의존하는가? - 네트워크 도시이론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 남기찬 (국토연구원) ;
  • 김홍석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4.11.26
  • Accepted : 2015.01.2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urban network theory. The degree of network and city size of 163 Si-Guns in Korea are used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for 2005 and 2010.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city size (based on central place theory) is still larger than the network effect (based on urban network theory). However, the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ustrial types. The size-based effectis more efficient in manufacturing sector, whereas the network-based effect is more efficient in service industry. The trend from 2005 to 2010 indicates that there is an increasing pattern in network-based effect and decreasing patternin size-based effec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continual benefit of the sized-based effect,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distinguis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form by the size and network. The feasibility of the urban network theory is tested in this study with the empirical analysis and recommends the importance of policy implication with recogni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size and network-based effects.

본 연구는 도시의 특정 기능이 도시규모에 의존하는지 혹은 도시 네트워크도에 의존하는지를 파악함으로서 네트워크 도시이론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및 2010년 전국 163개 시 군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규모기반은 제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기반은 주로 서비스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기의 흐름에 따라, 규모기반이 미치는 영향은 과거에 비해 점차 감소하는 반면, 네트워크기반이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점차 증대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담론으로서의 네트워크 도시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