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s negotiating tactics an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ased on the agreement concluded by inter-Korean high-level contacts-

북한의 협상전술과 대응방향 -남북 고위급접촉 및 공동합의문 타결을 중심으로-

  • 김규남 (신성대학교 군사학과) ;
  • 이현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학)
  • Received : 2015.09.04
  • Accepted : 2015.09.23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North Korea invaded South Korea on June 25, 1950 and the armistice agreement was reached on July 27, 1953. After that, there have been about 5,000 provocations large and small. In particular, North Korea attacked a naval vessel called "Cheonanham" on March 26, 2010. After the attack,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o called "May 24 sanctions". North Korea bombarded Yeonpyeong provocation on November 23, 2010 and they planted wood box mines in the DMZ on August 4, 2015. The explosion of them resulted in injuring two Korean soldiers. In response to this accident, Korean government resumed loudspeaker broadcasting against North Korea in 11 years which had developed as the psychological warfare. After this, North Korea declared "being a state of war" and intensified tension. Suddenly North Korea suggested talks and two countries reached an agreement through inter-Korean high-level contacts. But we should review whether the agreement was reached with ease and in haste. This paper focuses on the North Korea's negotiating tactics and suggests our correspond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우리와 대치하고 있는 적 북한은 1950년 6월 25일 불법 기습남침을 하였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 이후에도 약 5,000여 회에 이르는 크고 작은 도발을 자행하였다. 특히, 북한은 2010년 3월 26일 천안함을 폭침하여 동년 5월 24일 단행된 5.24대북 재제조치 상태에서도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도발을 감행하였으며 지난 2015년 8월 4일 또다시 DMZ 목함 지뢰 도발을 하였다. 우리군은 그에 대한 대응으로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여 대북 심리전을 재개하자 북한은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며 파국으로 가던 중, 남북한은 협상을 시도하여 고위급접촉 과정과 그 결과 공동합의문을 타결하였다. 이러한 고위급접촉을 보며 우리는 너무나 안이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며 향후 계속될 북한과의 협상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할 것인가에 대하여 북한의 협상전술과 우리의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태, 차재훈. "북한의 협상전술 특성 연구", 1995. 12, 민족통일연구원
  2. 김용호. "북한의 대외협상 행태분석", 국제정치논총. 제40집 4호. 2000.
  3. 송종환. "북한 협상행태 연구의 문화적 접근", 협상 연구 8권2호(2002).
  4. 임동원. "남북 고위급회담과 북한의 협상전략", 곽태환 외,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 관계 (서울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5. 제성호, "북한 NPT 탈퇴에 대한 유엔제재와 그 효용성", 한국자유총연맹, 자유공론 314, 1993.
  6. 최대석, 정영철, 장인숙. "북한의 대남 협상전술과 주요 협상가". 統一問題硏究2007년 하반기호(통권 제48호)
  7. 허만호. "북한의 협상행위의 특징", 국제정치논총 36집 2호(1996).
  8. 스콧스나이더, 안진환역. 벼랑 끝 협상(서울 : 청년정신, 2003).
  9. 척 다운스, 송승종역. 북한의 협상전략(서울 : 한울 아카데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