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문장 분석

An Analysis on Contents Sentences for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 강완 (서울교육대학교)
  • Kang, Wa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5.07.17
  • 심사 : 2015.08.04
  • 발행 : 2015.08.31

초록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문서 구조의 핵심은 내용 영역이다. 제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과 내용 영역을 진술하는 문장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은 대체로 200개 정도의 문장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내용 문장의 종결 어미는 "~ㄹ 수 있다"와 같은 가능형 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은 내용 문장의 구조화를 통해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종결 어미를 가능형 어미에서 현재형 어미로 대체하면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기술할 수 있다.

As a main body of a curriculum, a set of sentences stating mathematical cont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The contents sentences in the $7^{th}$ version, the 2007 version, and the 2009 vers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were analysed.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200 contents sentences. The final endings of those sentences are the type of ability such as "to be able to ~".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w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y disassembling and restructuring those contents sentences. We should state students' activities more concretely by varying the final endings in the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별책 8].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별책 8].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별책 8].
  4.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공청회 (2014.09.12.)
  5.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 [별책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