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der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dults: A Meta Analysis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 김여진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임연옥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 Received : 2015.06.10
  • Accepted : 2015.08.23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studies between the year 2000 and 2013 on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subjective-welling of Korean older adults. 74 research studies that meet the criteria are analyzed with SPSS and Meta-analysis macros.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elder men are better off in terms of subjective well-being (es = .1157, CI95% .0528-.1787) than women. No moderating effects are found. Few studies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ender difference effect and main factors such as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의 국내 연구를 분석하여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를 밝히고자 노인 대상의 연구가 활발하게 시작된 2000년 이후부터 2013년까지의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다.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성에 따른 차이에 대해 아직까지 일관된 결과를 제시해 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4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성별차이의 효과크기와 가중평균을 계산하고, 논문특성에 따른 분석을 위해 SPSS에서 메타분석 macro를 활용한 메타분석과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여성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의 효과크기(es = .1157)는 95%의 신뢰구간 .0528에서 .178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으로서의 논문의 특성에 따라 성별효과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다수의 연구가 건강과 사회적 관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나 성별차이와의 상호작용을 검증한 논문은 극히 일부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통계청, 2010.
  2. J. Rowe and R. Kahn,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Vol.38, No.2, pp.433-440, 1998.
  3. 최은영, 김정석, "최근 사회노년학희 연구동향: 한국노년학회지 게재논문의 '노인'의 개념과 주제분석", 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1호, pp.165-185, 2012.
  4.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T. M. Cooney,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4권, 제3호, pp.35-53, 2011.
  5. 한형수,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347-371, 2008.
  6. 장명숙, 박경숙,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232-266, 2012.
  7. E. Diener, S. Oishi, and R. E.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pp.403-425,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6
  8. M. Luhman, W. Hofmann, M. Eid, and R. E. Lucas, "Subjective well-being and adaptation to life events: A meta-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02, No.3, pp.592-615, 2012. https://doi.org/10.1037/a0025948
  9. E. Die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No.2,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10. M. Pinquart and S. Sorenson, "Gender differences in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 age: A meta-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56B, No.4, pp.195-213, 2001.
  11. 백지은, "노인의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지각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제20호, pp.137-173, 2010.
  12. 김동배, 손의성, "한국노인의 우울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25권, 제5호, pp.167-187, 2005.
  13. 임낭연, 이화령, 서은국,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29권, 제1호, pp.21-47, 2010.
  14. L. K. George, "Still happy after all these years: Research fronties on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5B, No.3, pp.331-339, 2010. https://doi.org/10.1093/geronb/gbq006
  15. 박주언, 심수진, 이희길, 주관적 웰빙 측정 방안, 통계개발원, 2012.
  16.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제37권, pp.249-273, 2007.
  17. B. F. L. Ulloa, V. Muller, and A. Sousa-Poza, "How does subjective well-being evolve with age? A literature reveiw", Population Ageing, Vol.6, pp.227-249, 2013. https://doi.org/10.1007/s12062-013-9085-0
  18. 정명숙, "연령과 삶에 대한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18권, 제4호, pp.87-108, 2005.
  19. S. Jivraj, J. Nazroo, B. Vanhoutte, and T. Chandola,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69, No.9, pp.930-941, 2014. https://doi.org/10.1093/geronb/gbu006
  20.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제49집, pp233-258, 1986.
  21. 윤진, "노인 생활 만족 척도 제작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 pp.26-30, 1982.
  22. B. L. Neugarten, "Age groups in American society and the rise of the young old",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415, No.1, pp.187-198, 1974. https://doi.org/10.1177/000271627441500114
  23. 정혜정, 김태현, 이동숙, "독거 여성노인의 생활 만족도: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0권, 제2호, pp.49-70, 2000.
  24.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5. M. P. Lawton, "Environment and other determinants of well-being in older people," Gerontologist, Vol.4, pp.349-357, 1983.
  26. C. D. Ryff and C. L. M.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No.4, pp.719-727,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27. D. Watson and A. Tellegen,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219-235,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219
  28. 석소현,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64-574, 2008.
  29. 김철수, 유성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사회과학연구, 제25집, 제4호, pp.51-73, 2009.
  30.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0, No.4, pp.27-36, 2002.
  31. A. C. Plagnol, and R. A. Easterlin, "Aspirations, attainments, and satisfaction: Life cycle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women and m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9, pp.601-619, 2008. https://doi.org/10.1007/s10902-008-9106-5
  32. T. Li and H. H. Fung, "How avoidant attachment influences subjective well-being: An investigation about the age and gender differences", Aging & Mental Health, Vol.18, No.1, pp.4-10, 2014. https://doi.org/10.1080/13607863.2013.775639
  33. H. Okabayashi and G. W. Hougham, "Gender differences of social interaction and their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Japanese elders", Aging & Mental Health, Vol.18, No.1, pp.59-71, 2014. https://doi.org/10.1080/13607863.2013.788997
  34. 박영란, 박경순,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노인복지연구, 제60호, pp.323-352, 2013.
  35. 황성동, 알기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36. 정경희, "백세시대의 노인의 연령기준 관련 논점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제180호, pp.16-27, 2011.
  37. 최혜지, 이영분,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노인 생활 만족도 척도'의 재발견: 최성재의 '노인생활 만족도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27-49, 2006.
  38. M. W. Lipsey and D. B. Wilson, Practical Meta-Analysis. Sage, 2001.
  39. J. P. T. Higgins and S. G. Thompson, "Quantifying heterogeneity in a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Vol.21, pp.1539-1558, 2002. https://doi.org/10.1002/sim.1186
  40. B. T. Johnson, T. B. Huedo-Medina, and J. M. LaCroix, Converting Q to I2: A spreadsheet, Storrs, 2010.
  41. T. B. Huedo-Medina, J. Sanchez-Meca, F. Marin-Martinez, and J. Botella, "Assessing heterogenity in meta-analysis: I2 or Q statistic?", Psychological Methods, Vol.11, pp.193-206, 2006. https://doi.org/10.1037/1082-989X.11.2.193
  42. 이인정,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35-50, 1999.
  43. 김춘길, 박혜자, "복지관 이용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2-19권, 제4호, pp.535-546, 2007.
  44. 오혜경, 이수경, 석소현, 김귀분,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3권, pp.48-56, 2007.
  45. 권미애, 김태현,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 집단의 비교",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089-1111, 2008.
  46. 나동석, 김영대, "노인의 성생활과 성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185-203, 2011.
  47. 석소현, 김귀분, 한국 재가노인의 사상체질별 수면상태, 수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비교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41-350, 2009.
  48. 이봉진, 홍상욱,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제8권, 제2호, pp.139-156, 2012.
  49. 강창욱, 이준우, "청각장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언어치료연구, 제15권, 제2호, pp.75-91, 2006.
  50. 윤현숙, 원성원,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077-1093, 2010.
  51. 소광섭, "도농복합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8권, pp.7-30, 2007.
  52. 이갑석,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91
  53. 김미순, 하춘광, 김효순, "내세관과 죽음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1호, pp.111-136, 2011.
  54. 석소현,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64-574, 2008.
  55. 임창희, "무배우자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1권, 2호, pp.43-65, 2007.
  56. 서순이, "저소득 재가노인의 생활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우울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근관절 건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62-172, 2010.
  57. 서지혜, 류현숙, "노인의 우울, 생활만족도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69-177, 2010.
  58. 김소향, 이신숙,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09-327, 2009.
  59. 이신숙, 김성희,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지역발전연구, 제11권, 제1호, pp.23-60, 2011.
  60. 신수태, 빈성오, "대구지역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7권, 제2호, pp.23-52, 2011.
  61.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3호, pp.123-138, 2005.
  62. 이인숙, "농촌지역 노인의 성생활과 삶의 만족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25-233, 2004.
  63. 박장근, 임란희, 김종도, "노인 복지관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585-598, 2002.
  64. 최연희, 백경신, "재가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9-48, 2002.
  65. 이성은,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여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234-262, 2012.
  66. 이인숙, 김향숙, "어촌지역 노인들의 성생활과 삶의 만족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58-170, 2007.
  67. 김소남, 이상복,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96-204, 2013.
  68. 성명숙, 송병선, "일 지역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89-91, 2004.
  69. 황은희, 신수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성생활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2호, pp.183-190,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2.183
  70.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78-28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71. 김은혜, 정진오, "리듬운동 복지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연령정체감과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리듬운동학회지, 제6권, 제1호, pp.1-12, 2013.
  72. 윤명숙,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397-413, 2012.
  73. 서남숙, 정영해, "일 농촌지역 노인의 성별, 운동 변화단계별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 및 생활만족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69-178, 2009.
  74.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6권, pp.159-179, 2007.
  75. 강희숙, 이진헌, "농촌노인의 건강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제21권, pp.51-64, 2007.
  76. 김봉임,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가간호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15-423, 2005.
  77. 오선영,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노인의 가족 기능과 외로움", 노인복지연구, 제42권, pp.267-290, 2008.
  78. 이금룡, 박상욱, 유은경, "노년기 생성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3권, 제2호, pp.365-379, 2013.
  79. 정규형, 윤지희, 김종성, "노인의 인터넷활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2호, pp.357-382, 2013.
  80. 조혜숙, 최수일,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13-328, 2011.
  81. 박영숙,"노인 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1권, pp.99-121, 2003.
  82. 전혜원, "재가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생활만족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18권, 제6호, pp.656-666, 2011.
  83. 강이주, 이영애,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6호, pp.1031-1044, 2010. https://doi.org/10.5934/KJHE.2010.19.6.1031
  84. 박성희, 이지현, "노인의 무력감,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5-73, 2006.
  85. 신원우, "노인의 신체 및 정신 건강 문제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135-163, 2011.
  86. 조영권, 정영만,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 참여와 생활만족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3권, 제1호, pp.695-704, 2008.
  87. 이종운, 허만세, "청각장애노인의 사회적 고립감, 가족기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4호, pp.133-158, 2012.
  88. 양옥남, "빈곤층의 재가복지서비스 만족수준에 따른 생활만족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22권, pp.5-32, 2005.
  89. 정재훈,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소",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5권, 제6호, pp.93-100, 2013.
  90. 최은영, 김지영, 김혜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7-16, 2003.
  91. 강선경, 김헌진, "A Study of Impact of Social Activities and Religion/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한국인구학, 제34권, 제2호, pp.163-190, 2011.
  92.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제15권, 제4호, pp.43-61, 2012.
  93. 장숙희, "노인의 건강 상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36-46, 2006.
  94. 이인숙, "노인의 재활보조기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33권, pp.477-499, 2008.
  95. 김춘미, 이홍자, "일개 지역 노인들의 성인식, 성생활 및 생활만족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82-292, 2010.
  96.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97. 권철 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제32권, 제1호, pp.66-74, 2006.
  98. 최혜지, 이영분, "충주지역 고령인구의 사회.심리적 복지현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17집, pp.77-98, 2005.
  99. 권은비, 이정화, "마을주민과의 관계가 농촌 단독가구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2집, pp.89-113, 2012.
  100. 조계화, 김영경,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76-187,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176
  101. 이신숙, 이경주,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20, 2002.
  102. 송미영,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한국노년학, 제31권, 제1호, 143-155, 2011.
  103. 이신숙,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2호, pp.35-58, 2011.
  104. 조광희, 정용준, 조영채,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에 관련된 요인", 농촌의학지역보건, 제28권, 제2호, pp.71-85, 2003.
  105. 김철진, "종교생활의 효과가 노인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회, 제25권, 제1호, pp.281-301, 2011.
  106. 조공민, 김용섭, "농촌지역 후기노인의 경제활동 및 여가활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20권, 제3호, pp.139-153, 2012.
  107. 김영범, 박준식, 이기원, "자녀와의 지원교환과 노인의 부양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8권, pp.47-65, 2008.
  108. 이가언, 배두이, "유료시설 노인의 입소동기 및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제24권, 제2호, pp.181-192, 2004.
  109. 서희숙, 송경애, 조명숙, "노인의 음주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115-124, 2004.
  110. 천의영, "일상생활수행능력,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시력저하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95-204, 2005.
  111. 정종현, 최수일, "노인의 성격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8호, pp.47-61,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8.047
  112. 김영길, "노인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1호, pp.44-55, 2008.
  113. 김경동, 이온죽, 김여진, 사회조사연구방법: 사회연구의 논리와 기법, 박영사, 2009.
  114. 장민선, "젠더 평등 실현을 위한 여성복지법제 개선방안", 법학논집, 제18권, 제1호, pp.95-126, 2013.
  115. 석재은, "한국의 노령여성은 왜 특별히 가난한가?:OECD 국가들의 비교분석에 근거하여 노령 효과인가 젠더효과인가",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6권, pp.61-10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