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on STEAM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형태 분석

  • Received : 2015.02.03
  • Accepted : 2015.03.31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IC) on STEAM of the 2009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o implicate the assessment of STEAM.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IC component checklist of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CBAM). The total number of 126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ime management(33.3%) was the most ideal IC. On the other hand, curriculum planning(34.1%) was the most unacceptable IC. Second,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I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career in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p<.05). Third, to explore the teacher's epistemic beliefs on STEAM, one in-service elementary teacher who studied in a doctoral course of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applic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C.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상의 의도에 맞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각 요소별로 교사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요소별 체크리스트(IC Component Checklist)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2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전반적인 실행 형태를 살펴보면 이상적인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인 항목은 시간 운영 형태(33.3%)였으며, 실행 계획의 설정(34.1%) 항목은 수용할 수 없는 실행 형태를 가장 많이 보였다. 또한 교사의 개인 변인별 실행 형태 분석 결과 직책, 교직 경력, 연수 경험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심층 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적 믿음을 확인하고 명료화하기 위한 심층 면담 결과 평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분석하고, 융합인재교육의 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구자옥, 김미영, 손정우, 노동규(2013).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23.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적 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
  3. 김문경, 최선영(2013). 초등과학에서 융합인재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3), 562-572.
  4.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124-139.
  5. 박홍희(2009).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교육연구논총(충남대학교), 30(2), 1-25.
  6. 양승지, 권난주(2014). 국내외 과학과 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동향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2), 376-400.
  7. 여상인, 최남구(2014). 초등영재 담당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10), 15-28.
  8.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RRC 2012-4.
  9. 이정민, 신영준(2014).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3), 588-596.
  10.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4), 514-523.
  11. 심재호(2014).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과학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평가연구, 17(1), 53-76.
  12.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13. 채희인, 노석구(2014).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4), 634-645.
  14.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2012).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Retrieved Jan 25, 2015, http://acec2012.acce.edu.au.
  15. Barzilai, S., & Zohar, A. (2014). Reconsidering Personal Epistemology as Metacognition: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pistemic Think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9(1), 13-35. https://doi.org/10.1080/00461520.2013.863265
  16. Bybee, R. W. (2013). The Case for STEAM Education. Arlington, VA: NSTA press.
  17. Eros, J. (2011). The Career Cycle and the Second Stage of Teaching: Implication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rts Educational Policy Review, 112, 65-70. https://doi.org/10.1080/10632913.2011.546683
  18. Fullan, M. (200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Y & Lond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 (1979).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 Hall, G. E., Loucks, S. F., Rutherford, W. L., & Newlove, B. W. (1975). Levels of Use of the Innovation: A Framework for Analyzing Innovation Ado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6(1), 52-56. https://doi.org/10.1177/002248717502600114
  21.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h, NJ: Erlbaum.
  22. Heck, S., Stiegelbauer, S. M., Hall, G. E. and Loucks, S. F. (1981). Measuring Innovation Configurations: Procedures and Applications.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3. Hord, S. M., & Loucks, S. F. (1980). A Concerns-Based Model for the Delivery of Inservice. Austin, TX: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4. Hord, S. M., Rutherford, W. L., Huling-Austin, L. L., & Hall, G. E.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lexandria, VA: ASCD.
  25. Marsh, C. J., & Willis, G. (2003).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NJ: Merrill Prentice Hall.
  26.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7. OECD(2005).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Press.
  28. Parke, H. M., & Coble, C. R. (1997). Teachers Designing Curriculum as Professional Development: A Model for Transformationa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8), 773-78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0)34:8<773::AID-TEA2>3.0.CO;2-S
  29.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2009). P21 Framework Definitions. Retrieved Jan 25, 2015, http://www.21stcenturyskill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