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 분석

  • Received : 2015.01.28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age of concern(SoC) and their level of use(LoU)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CBAM(Concern-Based Adoption Model). Additionally,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tudents' SoC and their LoU according to the their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4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ly, since the students' SoC and LoU about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are low(Stage0 : awareness and Level II : preparation), we should draw students' immediate concern by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that would enable them to actual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Secondly, the students' SoC and LoU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vary depending on their residence, gender, and grade.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to develop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on self-directed learning that suits their background. Thirdly, it shows that students, who have higher concern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implement it better than those who are not concerned with it at all. It implies that we need a training program that considers both the students' concern and implement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 및 실행수준을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학생 개인의 관심수준에 맞는 자료를 제공하고 보다 높은 실행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제시하고자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집단(지역, 학년, 성별)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학생의 관심수준은 단계0 무관심이 가장 많았고, 실행수준은 수준 II 준비 단계가 가장 많았다.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관심수준은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수준을 보였고, 실행수준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이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실행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관심수준과 실행수준의 상관성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흥석 (1998). 초.중.고등학생의 성별 및 인지양식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특성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 강지연 (2014).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 곽형석, 신영준 (2014). 모바일을 활용한 형성평가가 과학수업의 흥미성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85-294
  4. 교육부 (1997). 초.중등학교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5. 교육인적자원부 (2007). 초.중등학교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9-41호.
  7. 교육과학기술부 (2010). 자기주도 학습전형 도입.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8. 김태기 (2014).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마트러닝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9. 박영태, 현정숙 (2002).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10. 박주연 (2005).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1. 박주연 (2008).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개발 및 효과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2. 변영계, 김석우, 박한숙 (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도구와 훈련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평가연구, 14(1), 103-125.
  13. 송슬 (2012). 학습자 중심 현대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자기 주도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4. 송준미 (2012) 창의성과 책임지향성이 성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5. 오선아 (2014) 동료튜터링과 개별학습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4) 791-816
  16. 오현정 (2003). 재량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7. 이동섭 (2013). 자기주도적학습력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8. 이미경, 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4(2), 233-407.
  19. 이성은, 오은순, 성기옥 (2002). 초.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서울: 교육과학사.
  20. 이용운, 이영미, 윤수정(2010). 학교중심 블렌디드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방법연구, 22(4), 195-217.
  21. 이지은(2012). CBAM에 기초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교사교육연구, 51(1), 137-151.
  22. 장수미 (2002). 교사의 관심도에 기초한 초등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227-240.
  23. 전유진 (2014). 자기주도학습 지각도와 영어성적간의 상관관계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종철 (2014). 중학생의 자아탄성력과 자기통제력이 자기 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5. 최지혜 (2011). 중학교 3학년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영어성적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6. 최희정 (2014). 자기 주도적 구성학습과 인터넷 활용 수업에 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7. 황매향, 선혜연, 정애경 (2012).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발달 추이. 교육과정평가연구, 15(1), 51-80.
  28. Armstrong A. M. (1989).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skills through the modeling and structuring of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37(2), 69-76. https://doi.org/10.1007/BF02298291
  29. Bloom, B. S. (1964).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NY: John Wiley and Sons, Inc.
  30. Brookfield, S. D. (1985). Self-direct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new direc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2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7-90.
  31. Candy, P. (1991).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2. Chemers, M. M., Hu, L., & Garcia, B. F. (2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55-64 https://doi.org/10.1037/0022-0663.93.1.55
  33. Cotterall, S., & Murray, G. (2009). Enhancing metacognitive knowledge: Structure, affordances and self. System, 37(1), 34-45. https://doi.org/10.1016/j.system.2008.08.003
  34. FRANCOM, G. M. (2010). Teach me how to learn: principles for foster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ternational Journal of Self-Directed Learning, 7(1): 29-44.
  35. Gibbons, M. (2002). The self-directed learning handbook: Challenging adolescent student to excel.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6. Glaser, C., & Brunstein, J. C. (2007). Improving fourth-grade students' composition skills: Effects of strategy instruction and self-regulation procedu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2), 297-310. https://doi.org/10.1037/0022-0663.99.2.297
  37. Grow, G. (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 stage approach.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25-149. https://doi.org/10.1177/0001848191041003001
  38. Guglielmino, L. M. (1978).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6467A.
  39. Oddi, L. F. (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36(2), 97-107 https://doi.org/10.1177/0001848186036002004
  40. Hall, G. E., George, A., & Rutherford, W. L. (1979).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Report No. 3032). Aust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Teacher Educ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147 342).
  41. Hall, G. E. & Hord, S. M. (2011). 학교 변화와 혁신: 패턴, 원리, 당면과제. (양성관, 손희권, 박종필, 이용운, 이경호, 전상훈, 윤수정 공역). 학지사. (원전은 2006에 출판)
  42.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Cambridge.
  43. Long, H. B. (1987). Item analysis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6(4), Dec. 331-336 https://doi.org/10.1080/0260137870060406
  44. Paris, S. G., & Newman, R. S. (1990). Development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87-10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7
  45. Tough, A. (1979). The adult's learning project: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Toronto, Ontario: The Ontario Institute fo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