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s of Elastic-Band and Short Foot Exercise on Plantar Foot Pressure, Toe Angle and Balance for Pati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탄력밴드와 단축발 운동이 중등도 이하 무지외반증환자의 발가락 휨 각도와 족저압, 균형에 미치는 영향

  • Lee, Hyoungs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Kim, Eunju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Park, Inse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Bae, Minsi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Shin, Jaewo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Lee, Ji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Jang, Yoy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Jo, Honj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Choi, Kuno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Choi, Harim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wangju Health University) ;
  • Kim, Jangsun (Gwangju Oriental Medical Hospital, Wonkwang University)
  • 이형수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은주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박인서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배민식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신재원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이지운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장요윤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조호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최근옥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최하림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 김장선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 Received : 2015.09.18
  • Accepted : 2015.09.3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ther the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exercis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urgery for treating pati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Method: A total of 20 students with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ix weeks. Participa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foot-print. All participants exercised using a combination of Elastic-band and Short Foot Exercises twice a week for thirty minutes each time. Measurements were taken at week 0 and week 6 for plantar foot pressure, toe angle and balance.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a pair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measurements for balanc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s differences in plantar foot pressure and toe angle. Conclusion: Although our study did not support the effect of exercises on plantar foot pressure and toe angle, we did show evidence that exercise was effective for bal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is exercise program, patients need to be more aware of the footwear they use in their daily lives so as to contribute to the contribute to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reating low to moderate hallux valgus and offer an alternative to surgery.

Keywords

References

  1. 구영미(2011). Short foot운동과 toe spread 운동 시 여러 자세에 따른 엄지벌림근의 근전도변화.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순자, 이광재(2012). 토구 운동이 자세균형과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9(1), 9-15.
  3. 김연희(2009). 하지복합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호, 박시복, 양길태 등(1997). 엄지발가락 외반증 환자의 발바닥 압력분포 특성. 의공학회지, 18(4), 439-446.
  5. 김용재, 지진구, 김정태(2004). 20세 여성의 신발종류에 따른 족저압 영역별 비교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4(3), 83-98. https://doi.org/10.5103/KJSB.2004.14.3.083
  6. 김은호(2012). 복지관 이용 노인의 발 건강 상태와 발관리 수행 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정태, 박성현(2005). 성인 여성의 체중별 족저압 중심 이동분석.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10(3), 59-65.
  8. 김현정(2003). 소아 편평족 환자에서 구두 보조기의 족부 골격 배열과 족저압력에 대한 효과. 을지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1), 쪽57-166..
  9. 박진현(2010). 몸통과 발 강화 운동이 유연성 편평발과 엄지발가락 가쪽휨증을 가진 성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학위 논문.
  10. 문재호, 이한수, 정광익 등(1996). 정상군과 무지외반증 및 편평족 환자군의 족저압 분포. Annals of Rehabil Med, 20(3), 778-786.
  11. 배지용(2014). 인체 하지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생체 역학적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서동현(2013). 8주간 슬링운동과 요부안정화운동이 중년 여성의 척추형태와 요부근력 및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서지선(2005). Thera-Band 운동이 발목 염좌 환자의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성우(2002). 군집분석을 통한 발의 유형별 특성. 경북과학대학 논문집, 9(1), 69-80.
  15. 신혁수, 옥정석, 노미현(2013).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적성과의 관계. 운동학학술지, 15(4), 117-127.
  16. 오봉석(2012). 발 교정구를 착용한 걷기 운동이 무지외반증 노년기 여성의 TNF-a, Anti-CCP 및 체형 균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2), 945-956.
  17. 윤형덕(2006). 등척성 운동과 탄성밴드를 이용한 등장성 운동이 만성 슬골 관절염 환자의 근력,관절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경섭, 조효구(2011).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에 미치는영향.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8, 13-38.
  19. 이동수, 문재호, 이한수 등(1996). 정상군과 무지외반증 및 편평족 환자군의 족저압 분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재활의학교실, 20(3), 778-786.
  20. 이상용(2002). 기립자세에서 발의 변화가 슬개대퇴골각과 종경골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영숙(2004). 세라밴드를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건강 관련 체력 및 균형감각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진환(2011). 발목관절의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근육 신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이진환, 이재홍, 권원안 등(2012). 발목관절의 근력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3(3), 1153-1160.
  24. 이창욱(2007). 발 보조기와 요부 안정화 운동이 편평족을 가진 척추 부정렬 환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청무, 이주희(2014). 고등학교 발레 전공생의 해부학적 족부 변형에 따른 족관절 가동범위, 기능수행능력, 거골경사각 및 족부 상해 비교. Korean J Health Promot, 14(2), 74-81. https://doi.org/10.15384/kjhp.2014.14.2.74
  26. 이형수, 신영일, 안승헌(2004). 탄력밴드 훈련이 척수손상인의 이동기능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6(3), 321-328.
  27. 임성태(2001). 무지 외반증 환자의 hard insole 착용에 의한 중족지절관절 각도의 변화.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임하얀(2013). 무용전공 여대생의 자기 주도적 기초체력 운동 및 준비.정리운동이 무용 상해 예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정도영, 고은경(2009). 발가락 감기 운동 시 지절관절 자세에 따른 무지외전근의 근 활성도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2), 9-15.
  30. 전미양, 정현철, 정미숙 등(2004). 테이핑 요법이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 변형 각도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5), 690-691.
  31. 정명균(2007). 신장과 근력운동에 따른 무지외반증 여성의 발 변형 각도 변화.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정영준(2006). 치료면의 질이 편마비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정임숙(2004). 인솔형 국부 전단력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정지추(2005). 30-40대 여성 직업군의 발 변형 비교와 신발 착용 실태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조세진(2002). 무용 상해에 관한 조사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채서일(1996).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 비앤엠북스.
  37. 최홍택(2014). 족저압 지수와 동적 불균형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한상민(2014). 족궁 형성 운동이 유연성 편평족 농구선수의 하지 정렬과 체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한진태, 류태범, 이해정(2008). 정상성인의 보행중 방향 전환에 따른 족저압 분석. 한국운동생리학회지, 17(4), 515-523.
  40. 황명중(2008). 4주간의 근력 운동과 평형 운동이 발목 불안정성 지표와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황병연(1986). 관절낭외 V형절골술 및 연부조직 교정을 병용한 무지 외반증의 치료 경험.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99-102.
  42. 황성재(2005). 다체절 발 모델 개발을 통한 보행 시 정상인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의 세부 운동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황수진, 우영근, 전혜선(2008). 바로 선 자세에서 발목과 무릎관절의 고정이 자세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5(1), 30-37.
  44. 형인혁, 김형수, 이건철(2008). 회내발에 대한 관절가동술과 능동운동이 근 활성도와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2), 1023-1032.
  45. Arinci IN, Genc H, Erdem HR, et al(2003). Muscle imbalance in hallux valgus: an electromyographic study. Am J Phys Rehabil, 82(5), 345-349.
  46. Chun SY, Choi OJ(2009). The ankle joint position sense, strength and Functional ability of the soccer player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Korean J Sports Sci, 18(3), 1119-1130.
  47. Coughlin MJ, Jones CP(2007). Hallux valgus: Demographics, etiology, and radiographic assessment. Foot Ankle Int, 28(4), 448-455. https://doi.org/10.3113/FAI.2007.0448
  48. David JM(2008).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London, Saunders Elsevier.
  49. Donatelli R(1996). The biomechanics of the foot and ankle. Philadelphia, F.A. Davice company.
  50. Edwards WT(2007). Effect of joint stiffness on standing stability. Gait Posture, 25(3), 432-439.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6.05.009
  51. Fiolkowski P, Brunt D, Bishop M, et al(2003). Intrinsic pedal musculature support of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an electromyography study. J Foot Ankle Surg, 42(6), 327-333. https://doi.org/10.1053/j.jfas.2003.10.003
  52. Franco AH(1987). Pes cavus and pes planus. Analyses and treatment. Phys Ther, 67(5), 688-694. https://doi.org/10.1093/ptj/67.5.688
  53. Geissele AE, Stanton RP(1990). Surgical treatment of adolescent hallux valgus. J Pediat Orthop, 10(5), 642-648. https://doi.org/10.1097/01241398-199009000-00014
  54. Headlee DL, Leonard JL, Hart JM, et al(2008). Fatigue of the plantar intrinsic footmuscles increases navicular drop. J Electromyographic Kinesiol, 18(3), 420-425. https://doi.org/10.1016/j.jelekin.2006.11.004
  55. Helal B(1981). Surgery for adolescent hallux valgus. Clin Orthop, 157, 50-63.
  56. Inman VT(1974). Hallux valgus: a review of etiologic factors. Orthop Clin North Am, 5(1), 59-66.
  57. Karen P, Michael E, Bruce M, et al(2005). Effect of pronated and supinated foot posture on static and dynamic posture stability. J Athletic Train, 40(1), 40-46.
  58. Kim CH(2006). The effect of strengthening leg muscular power in 8 weeks on middle-aged women's body composition, peak torque and peak torque per body weight in leg. Korean Sport Res, 17(5), 783-790.
  59. Krisen KH, Berfer C, Stelzig S, et al(2002). The SCARE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hallux valgus deformities. Foot Ankle Int, 23(3), 221-229. https://doi.org/10.1177/107110070202300306
  60. Laluya JP, Nicola T, McDade S(2000). Sports medicine: Conservative approach benefits athletes with hallux valgus. BioMechanics.
  61. Lee WC(2000). Surgery of the foot. Seoul, Koonja.
  62. Lowell SW Jr, Wendy BW(1998). Postoperative hallux valgus exercises. J Foot & Ankle Surg, 37(4), 355. https://doi.org/10.1016/S1067-2516(98)80075-6
  63. Lynn SK, Padilla RA, Tsang KK(2012). Differences in static and dynamic-balance task performance after 4 weeks of intrinsic-foot-muscle training: the short-foot exercise versus the towel-curl exercise. J Sport Rehabil, 21(4), 327-333. https://doi.org/10.1123/jsr.21.4.327
  64. Mann RA, Coughlin MJ(1981). Hallux valgus-etiology, anatomy, treatment, and surgical consideration. Clin Orthop, 157, 31-41.
  65. Menz HB, Lord SR(2005). Gait instability in older people with hallux valgus. Musculoskeletal Res Centre, L Trobe University, 26(5), 483-489.
  66. Moon DC, Kim K, Lee SK(2014). Immediate effect of short-foot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subjects with excessively pronated feet. J Phys Ther Sci, 26(1), 117-119. https://doi.org/10.1589/jpts.26.117
  67. O' Connor KM, Hamill J(2004). The role of selected extrinsic foot muscles during running. Clin Biomech, 19(1), 71-77.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03.09.001
  68. Page P(2006). Developing resistive exercise programs using thera-band elastic bands & tubing. Akron, Thera-Band Academy-The Hygenic Corporation.
  69. Page P, Frank C, Lardner R(2010).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70. Ryu JY(2011). A study on physical strength and foot deformation of professional dancers and ordinary peopl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71. Shaw AH(1974). The biomechanics of hallux valgus in pronatedfeet. J Am Podiatry Assoc, 64(4), 193-201. https://doi.org/10.7547/87507315-64-4-193
  72. Shumway-Cook A, Woolloacott MH(2006).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3. Sarah J, Helen B, Roozbeh N, et al(2012).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toe props on plantar pressure and patient comfort. J Foot Ankle Res, 5(1), 1-22. https://doi.org/10.1186/1757-1146-5-1
  74. Tanaka Y, Takamura Y, Fujii T, et al(1999). Hindfoot alignment of hallux valgus evaluated by a weightbearing subtalar X-ray view. Foot Ankle Int, 20(10), 640-645. https://doi.org/10.1177/107110079902001005

Cited by

  1. Acute Response of Toe-Spread-Out Exercise on Medial Longitudinal Arch Height and Balance vol.23, pp.1, 2015, https://doi.org/10.15758/ajk.2021.2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