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the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OIDP)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상생활구강영향지수(OID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5.06.16
  • Accepted : 2015.08.17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man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ing to oral health using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OIDP) i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Methods: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who agree to participate in research Cheonan, Daegu, Ulsan. 314 college students were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mselves.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f SPSS program ver. 21.0. Results: Oral impact on daily performances(OIDP) of influence Factors is as follows: The male is nicotine dependence, toothache and female i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grade. Mal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relating to oral health when lower the nicotine dependence. Meanwhile, femal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relating to oral health when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lower the grade. Both male and femal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relating to oral health when no more toothache.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ing to oral health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oral health care measures should be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ale's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non-smoking education. For female, the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국민건강보험공단. 일반건강검진 연령별성별 구강검진 종합소견 현황. 2013.
  2. 보건복지부. 국민구강건강관련 실태조사 자료 심층 분석. 2011.
  3. 김은경. 남성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모형 구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2;8(1):61-71.
  4. 김지화, 강선희, 정미애.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0;11(12): 4873-4880. https://doi.org/10.5762/KAIS.2010.11.12.4873
  5. 김혜란, 김동열, 문덕환. 부산지역 일부 치과의원 내원환자의 구강건강 지식 및 인식과 실천 수준 비교. 한국치위생학회지 2012;12(4):647-654.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647
  6. 남용태. 일상활동구강영향(OIDP)설문지를 이용한 치아교정치료 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석사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7. 류재인, 정세환. 강릉시 노인의 일상생활구강영 향지수(OIDP) 분포양상.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 31(2):205-213.
  8. 문보애, 정선락, 장정유, 김건엽. 중장년층의 구강보건 행동과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2015;15(2):197-204.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2.197
  9. 문재우. 대학생의 음주가 대인관계, 스트레스,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2014;40(1):65-79.
  10. 박준범, 한경도, 박용규, 고영경. 2008-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용 남성음주와 치주질환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Periodontology 2014; 85(11):1521-1528. https://doi.org/10.1902/jop.2014.130782
  11. 박홍련, 문선정.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지식도 및 예방행태에 관한 조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09;9(5):485-490.
  12. 박희정, 이준협. 일부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3;14(3):1-14.
  13. 배수명, 정세환, 신보미, 신선정. 강릉시 아동의 일상생활구강영향지수(C-OIDP)의 분포 및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특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2;36(4):315-322.
  14. 안용순, 이영수, 류다영. 초등학교 구강보건사업을 위한 아동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06;6(2):79-84.
  15. 윤성욱, 오나래, 정미애. 교정환자의 교정치료 특징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3(3):250-258.
  16. 이미라, 한경순, 한수진, 최준선.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문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1;10(1):39-57.
  17. 이미숙. 농촌지역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련 요인-신체기능, 인지기능, 만성 질환 유병율 및 영양진단.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17(6):772-781. https://doi.org/10.5720/kjcn.2012.17.6.772
  18. 이병욱.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 (AUDIT)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한국중독정신의학회지 2000;4(2):83-92.
  19. 이신화, 최영현. 염증-치주질환과 암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Journal of Life Science 2013;23(4)602-608. https://doi.org/10.5352/JLS.2013.23.4.602
  20. 이정희, 전은숙.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유무 및 계열에 따른 구강관리 행태 및 관심도에 관한 조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1;5(3):169-177. https://doi.org/10.12811/kshsm.2011.5.3.169
  21. 이주열. 흡연대학생의 음주수준과 니코틴의존도 간의 관련성. 한국알코올과학회지 2013;14(2): 21-31.
  22. 이지영, 김계표, 유병철. 치주질환자의 구강보건 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 13(5):835-84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5.835
  23. 이현석, 김미은. 흡연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구강위생이 양호한 집단의 장기적 연구를 위한 예비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11;36(4): 225-234.
  24. 장선주, 김혜진. 일부 성인의 구강건강상태 및 일상생활구강영향지수(OIDP)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2;6(4):27-36.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027
  25. 정원철.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06;58(1): 347-372.
  26. 정정옥, 전주연, 이경희. 한국 성인의 흡연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2010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13(3):481-489.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3.481
  27. 조민정. 구강영향지수-14를 이용한 일부 지역 치위생 계열과 비치위생계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삶의 질 비교.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14; 14(3):302-310.
  28. 차정단, 장경애.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경남지역 남성 성인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10): 4604-4611.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604
  29. 한예슬, 이근유, 이주열, 김혜영. 대학생의 구강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14;15(2):51-61.
  30. 황지민. 흡연원인의 구강질환 관점에서 추계한 사회경제적손실비용[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2011.
  31. Giddon DB. The mouth and quality of life. NY J Dent 1978;48(1):3-10.
  32. Sudaduang Gherunpong, Georgios Tsakos and Aubrey Sheiham. Developing and evaluating a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dex for children; The CHILD-OIDP. Community Dental Health 2004;21:161-169.
  33. Todd F. Heatherton, Lynn T. Kozlowski, Richard C. Frecker&Karl-Olov Fagerstrom.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1991;86(9):1119-1127.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1.tb0187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