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psychological behavioral control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8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were 3 to 5years old and attending to 3 private kindergartens and 2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Chunkbuk.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rima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self control partially mediated when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ffected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young children's self control partially mediated wh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ed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rd, young children's self control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havioral control and young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young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 well as affectionate parenting have its effect on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 및 유아의 자기통제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368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및 상관,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행동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자기통제는 어머니의 행동통제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을 애정 및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로 구분하여 유아의 자기통제라는 내면화과정을 통해 문제행동을 설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숙 (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인지양식 및 자기통제 행동발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기정 (2010).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5(2), 51-66.
  3. 김선희, 김경연 (1999). 아동의 행동문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55-166.
  4. 김송아 (2008).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순옥 (2002). 유치원.초등학교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유진 (2010).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외향성, 자아탄력성과 자기결정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인숙, 김유진, 김영희 (2010). 유아의 애착, 어머니의 양육방식,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75-202.
  8. 김현주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공격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원 (2007). 어머니의 정서 조절능력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희화 (2003).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인터넷 비행에 대한 모 감독과 심리적 통제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133-153.
  11. 마송희 (1991). 아동의 사회적 수용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민수홍 (1998). 초등학교 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비행. 한국청소년연구, 27, 91-124.
  13. 박혜미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남녀 유아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배인주 (201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통제력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성영혜 (1992). 부모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아동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송민정, 한세영 (2011).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9(5), 117-127. https://doi.org/10.6115/khea.2011.49.5.117
  17. 안미경 (1996).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동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 이경님 (2000). 아동의 자기통제력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7(1), 99-120.
  20. 이경님 (2001). 학령기아동의 자기통제에 대한 내외통제 소재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인과모형. 대한가정학회지, 39(12), 37-50.
  21. 이경임 (1996).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훈련이 아동의 자기 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간 문제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미라 (1999). 아동의 인지 양식 및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욕구충족 지연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미자 (2000). 유아의 문제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미정 (2010). 부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수연 (1985).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욕구충족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원영 (1984).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유아교육연구, 5, 101-140.
  27.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임성실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5(6), 102-110.
  30. 조성덕, 한세영 (2013). 어머니의 자존감과 심리통제 및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3), 99-117.
  31. 조윤미 (2013). 주의집중성 기질,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지지가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정우희 (2013).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불안,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윤주 (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아동의 성과 또래수용도의 중재효과에 대한 탐색. 아동학회지, 25(6), 205-223.
  34. 정혜인 (2003). 어머니의 양육 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진순옥 (200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훈육방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최미나, 신나나 (2015).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83-31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83
  37. 최선주 (2005).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황혜정, 윤명희, 강성빈, 낙운, 황혜신 (2002). 유아용 문제행동 진단검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2(1), 72-88.
  39.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40.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40.x-i1
  41.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https://doi.org/10.2307/1131780
  42. Barber, B. K ., & H armon, E . (20 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4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4. Cortina, J. M. (1993). What is coefficient alpha? An examin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1), 98-104. https://doi.org/10.1037/0021-9010.78.1.98
  45. George, D ., & M allery, P. ( 2003).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11.0 update (4th ed.). Boston: Allyn & Bacon.
  46. Judith, H. S., & Christopher, P. R. (2002).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interpersonal conditions, clinical effectiveness, and speech effectiveness within. New York: Harbinger Publication, Inc.
  47. Kline, P. (2000). The handbook of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New York: Routledge.
  48. Kochanska, G., & Aksan, N. (1995). Mother-child mutually positive affect, the quality of child compliance to requests and prohibitions, and maternal control as correlates of early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6(1), 236-254. https://doi.org/10.2307/1131203
  49. Kopp, C. B. (1982). The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09-214.
  50. Lee, J., & Randolph, K. A. (2015).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on aggressive behavior among youth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 cross-national stud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55, 1-9.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5.05.008
  51. Luria, A. (1961). The role of speech in the regulation of normal and abnormal behavior. New York: Liveright.
  52. Maccoby, E. E., &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P. H. Mussen & E. M. Hetheringt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4th ed, pp.1-101). New York: Wiley.
  53. Olsen, S., Bates, J., & Bales, K. (1990). Early antecedent of childhood impulsivity: The role of parent-child interaction, cognitive competence, and tempera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3), 317-334. https://doi.org/10.1007/BF00916568
  54. Olsen, S. L., Schilling, E. M., & Bates, J. E. (1999). Measurement of impulsivity: construct coherenc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lationship with externalizing problem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7(2), 151-165. https://doi.org/10.1023/A:1021915615677
  55. Oosterlaan. J., & Sergeant. J. A. (1996). Inhibition in ADHA. aggressive, and anxious children: A biologically based model of child psycholog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4(1), 19-36. https://doi.org/10.1007/BF01448371
  56.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 B ates, J . E., Michael, M.,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8. https://doi.org/10.1111/1467-8624.00298
  57. Ramsden, S. R., & Hubbard, J. A. (2002). Family expressiveness and parental emotion coaching: Their rol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30(6), 657-667.
  58. Rothbart, M. K., Posner, M. I., & Hershey, K. L. (1995). Temperament, atten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1. Theory and methods (pp.315-340). New york: Wiley.
  59.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84. https://doi.org/10.1037/h0041114
  60. Sethi, A., Mischel, W., Aber, J. L., Shoda, Y., & Rodriguez, M. L. (2000). The role of strategic attention deployment in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Predicting preschoolers' delay of gratification from mother-toddler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6(6), 767-777. https://doi.org/10.1037/0012-1649.36.6.767
  61. Shaffer, D. R. (1993).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3rd Ed..). California Brooks/cole.
  62. Silverman, I. W. & Ragusa, D. M. (1990). Child and maternal correlates of impulse control in 24-month-old children. Genet Soc Gen Psychol Monogr., 116(4), 435-473.
  63. Slater, M. A., & Power, T. G. (1987).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parenting in single-parent families. In JP Vincent (Ed.), Advances in family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heory (pp. 197-228). Greenwich, CT: JAI Press.
  64. Steinberg, L. (1990 ). A 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pp. 255-276).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5. Tremblay, R. E. (2000).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during childhood: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4(2), 129-141. https://doi.org/10.1080/016502500383232
  66. Tu, Y., Lee, H., Chen, H., & Kao, T.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cial control, adolescent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in Taiwa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22(19), 335-343.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1.1349
  67.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ress.

Cited by

  1.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015
  2.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Todd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Compliance vol.40, pp.2,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9.4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