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능경봉(평창군, 강릉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Neunggyeong-bong (Pyeongchang-gun, Gangneung-si) in Korea

  • 김현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주민정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지성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소순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정수영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장계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최경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양종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Kim, Hyun-J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oo, Minjung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i, Seong-Ji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So, Soonku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ung, Su Young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Chang, Kae S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Choi, Kyung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Yang, Jong Cheol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투고 : 2014.12.09
  • 심사 : 2015.03.16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는 능경봉(평창군, 강릉시)지역에 대하여 2008년 8월과 2013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된 분류군은 75과 261속 383종 4아종 48변종 5품종으로 총 440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한국특산식물이 15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중 약관심종이 11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4등급이 11분류군, 3등급이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29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6.6%, 도시화지수 9.0%로 나타났다. 그밖에 대한약전 및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에 수재된 약용식물은 6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plants of Neunggyeong-bong, Gangwond-do,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that were collected 7 times from 2008 and 2013 consisted a total of 440 taxa; 75 families, 261 genera, 383 species, 4 subspecies, 48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m, 15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11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clude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1 taxa of grade IV, 22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9 taxa that made up 6.6%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Medicinal plant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distributed in this area consisted of 60 taxa.

키워드

서 언

능경봉(1,123 m)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와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북위 37° 39' 19" ~ 37° 40' 56", 동경 128° 44' 39" ~ 128° 47' 58"에 자리잡고 있다. 본 조사지역을 중심으로 북쪽은 대관령 선자령, 곤신봉, 매봉, 남쪽은 고루포기산, 닭목재, 옥녀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구간이며, 동쪽으로는 제왕산과 접해 있다(Fig. 1). 이 지역의 최근 5년간(2008~2012년) 기후특성을 살펴보면 월평균기온이 7.0℃이고, 6~10월의 월평균기온이 20℃를 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월평균 강수량은 1.345.7 ㎜로 여름철에 편중되었으며, 월평균습도는 73.0%로 안개 발생이 잦은 편이다(Pyeongchang country office, 2014).

Fig. 1.Map of investigated area in the study.

본 조사지역은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구분된 8개의 식물구계 중 중부아구에 속하며,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한 5개 삼림대 중 온대 중부 삼림대에 속한다. 이 삼림대의 특징수종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등이다(Lee and Yim, 1978, 2002; Yim and Kira, 1975).

능경봉 일대에 대한 종합적인 관식속물상은 현재까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인근지역의 식물상 연구로는 병두산(Kim et al., 2010), 계방산(Hwang et al. 2013), 발왕산(Chung and Sun, 1988), 오대산(Kim et al., 1996)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옥녀봉, 칠성대, 망덕봉을 중심으로 한 식생조사가 이루어졌으며(Hong and Hong, 2010), 최근 대관령 목장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Noh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능경봉 일대의 식물상 조사를 통해 주요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약용식물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가능성 제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능경봉 지역의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2008년 8월과 2013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정확한 동정을 위해 원칙적으로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들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고, 각 표본마다 채집번호와 좌표를 부여하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80, 2003), Park (1995, 2001), Lee (199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2011) 및 Lee (2006)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다.

Table 1.Dates and routes of the investigations

동정된 식물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배열하였고, 과 내에서는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학명과 국명은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을 따라 표기하였다. 주요 자원식물인 특산식물,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등은 Oh et al. (200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등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귀화식물 현황은 Lee et al. (2011), Jung (2014)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또한 조사 된 식물 중 약용식물은 대한약전(The Korean Pharmacopoeia, KP) 제10개정과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KHP) 제4개정에 수재되어 있는 품목의 식물로 구분하였다(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2a, 2012b).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본 연구에서 밝혀진 능경봉의 관속식물은 75과 261속 383종 4아종 48변종 5품종의 총 440분류군으로 양치식물 6과 13속 21종 1변종(5.0%), 나자식물 1과 2속 3종(0.7%),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61과 191속 276종 4아종 34변종 4품종(72.3%), 단자엽 식물 7과 55속 83종 13변종 1품종(22.0%)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는 증거표본을 기준으로 한 강원도 관속식물 1,465분류군(Oh et al., 2009)의 30.0%를 차지하였다. 과별로 구분하면 국화과 52분류군, 벼과 41분류군, 장미과 28분류군, 사초과 27분류군, 백합과 20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 20분류군, 콩과 19분류군, 면마과 17분류군, 꿀풀과 14분류군, 마디풀과, 범의귀과, 산형과, 제비꽃과 각각 12분류군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Neunggyeng-bong area

능경봉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교목층의 낙엽활엽수로 주로 굴참나무, 물오리나무, 층층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넓게 분포하였다. 그 하층부를 이루는 아교목 및 관목층에는 당단풍나무, 회나무, 신나무, 붉나무, 고추나무, 참회나무, 참싸리, 진달래, 소영도리나무, 조록싸리, 쉬땅나무, 노린재나무, 지렁쿠나무, 까치밥나무, 철쭉 등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층으로 미역취, 뱀고사리, 실청사초, 마타리, 족도리풀, 큰까치수염, 금강애기나리, 두메고들빼기, 피나물, 연영초, 모시대 등이 비교적 흔하게 넓은 지역에 걸쳐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으로는 북쪽 사면 산불감시초소에서 정상을 향하는 지역과 북동쪽 임도에서 곰자리 계곡으로 가는 지역으로, 이곳에는 얼레지, 금강애기나리,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범꼬리, 눈빛승마 등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야생식물 불법채취로 인하여 일부 지역의 산림식생이 훼손되어 집중 관리 및 보호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산식물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440분류군 중 특산식물(Oh et al., 2005)은 홀아비바람꽃, 한라사초, 갈퀴현호색, 병꽃나무, 흰괭이눈, 키버들, 요강나물, 참좁쌀풀, 오동나무, 각시서덜취, 진범, 할미밀망, 벌개미취, 고려엉겅퀴, 금꿩의다리 15분류군으로 특산식물(Oh et al., 2005) 328분류군의 4.57%에 해당된다(Table 3). 이중 홀아비바람꽃은 북사면 저지대부터 고지대까지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생육하였으며, 갈퀴현호색과 한라사초는 인풍비약수터에서 능경봉 정상을 향하는 북사면에서 불연속적인 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요강나물은 강원도 이북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0)로 이번 조사에서는 북서쪽 사면부 고도 800~900 m에서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특산식물은 등산객의 이동이 많은 북사면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보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able 3.List of Korean endemic and rare plants in Neunggyeng-bong

희귀식물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은 약관심종(LC)에 해당되는 도깨비부채, 금강애기나리,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제비꽃, 연영초, 미치광이풀, 너도바람꽃, 금마타리, 홀아비바람꽃, 참좁쌀풀 총 1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이 중 도깨비부채는 중부 이북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조사지역인 능경봉 남사면 곰자리, 임내골 계곡부에 드물게 발견되었다. 참좁쌀풀은 강원도에 주로 분포하나 자생지가 제한되어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은 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으로 본 조사에서 능선일대의 산림하에서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2)은 Table 4와 같다. IV등급으로 애기앉은부채, 가지괭이눈, 도깨비부채, 회리바람꽃, 생열귀나무, 황철나무 등 총 11분류군, III등급으로는 시닥나무, 연복초, 광릉용수염, 긴잎여로, 선괭이눈, 왜천궁, 참당귀 등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가지괭이눈과 선괭이눈은 북사면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인 개체군을 확인하였고, 생열귀나무는 북사면 임도주변에서 분포를 확인하였다.

Table 4.List of IV to III degree taxa of Korean floristic regional plants in Neunggyeng-bong

귀화식물

조사지역내 분포가 확인된 귀화식물은 흰명아주, 돼지풀, 개망초, 오리새, 족제비싸리 등 총 2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Table 5), 귀화율(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 식물의 총 종수 × 100)은 6.6%, 도시화지수(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의 수/한반도에 유입된 귀화식물의 수 × 100 = 29/321 × 100)는 9.0%로 조사되었다. 능경봉 일대의 귀화식물은 주로 임도와 등산로주변으로 분포가 확인되어, 향후 다른 귀화식물도 확산 할 수 있는 교란지역으로 판단된다. 최근 Jung (2014)은 이입시기에 따라 1기(1500∼1931년), 2기(1932∼1960년), 3기(1962∼현재)로 구분하였으며, 분포범위를 고려한 침입등급을 광분포종(WS), 심각한 확산종(SS), 확산 위험종(SR), 확산 우려종(SC), 확산 진행종(CS)등 총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근거로 능경봉의 귀화식물을 살펴보면, 이입시기별로 1기 5분류군, 2기 11분류군, 3기 13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침입등급별로 광분포종 14분류군, 심각한 확산종 4분류군, 확산 위험종 4분류군, 확산 우려종 3분류군, 확산 진행종 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 및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분포종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북쪽에 위치한 대관령 목초지, 조림지 및 탐방객으로 인한 유입이라 판단된다. 그 중에서도 생태계교란종인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은 임도와 등산로 지역에 빈번히 나타났다. 또한 목초지에서 일출되어 확산된 것으로 판단되는 큰뚝새풀, 오리새, 큰조아재비도 계속적인 출현이 예상된다. 따라서 임도, 등산로 및 목초지 중심으로 집중적인 관리가 없이는 귀화식물이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관리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Table 5.Introduced period: 1st (1500-1931), 2nd (1932-1960), 3rd (1962-2014), Invasion degree: WS (Widespread species), SS (Serious spread species), SR (Spread risk species), SC (Spread concern species), CS (Continue spreading species)

약용식물

조사지역의 식물 중 대한약전(KP) 및 대한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KHP)에 수재되어 있는 품목의 식물은 붉나무, 독활, 오갈피나무, 모시대, 도라지, 삽주, 향유, 오이풀, 마타리 등 60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6). 이는 조사된 관속식물 440분류군의 13.6%에 해당된다. 과별로 구분하면 국화과 9분류군, 백합과, 꿀풀과 각각 5분류군, 장미과 3분류군, 가지과, 산형과, 소나무과, 두릅나무과, 장미과, 마타리과, 콩과 각각 2분류군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용부위별 특성[식물명(생약명)]에 따라 구분하면, 뿌리나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이용하는 종류는 족도리풀(세신), 모시대(제니), 도라지(길경), 고삼(고삼), 오이풀(지유) 등 22분류군, 전초를 이용하는 종류는 엉겅퀴(대계), 향유(향유), 노루발(녹제초), 짚신나물(용아초) 등 13분류군, 지상부를 이용하는 종류는 배초향(곽향), 익모초(익모초), 애기똥풀(백굴채) 등 8분류군, 종자를 이용하는 종류는 다닥냉이(정력자), 익모초(충위자), 질경이(차전자) 등 5분류군, 수피를 이용하는 종류는 자작나무(화피), 물푸레나무(진피), 오갈피나무(오가피), 화분을 이용하는 종류는 소나무(송화분), 잣나무(송화분), 벌레집을 이용하는 종류는 붉나무(오배자), 줄기의 수를 이용하는 종류는 골풀(등심초) 등으로 나타났다.

Table 6.List of medicinal plants in Neunggyeng-bong

최근 약용식물 유래의 의약품 및 건강기능 제품이 개발 되는 등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약용식물에 대한 사회적·경제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환으로 약용식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Lee et al., 2011; Yang et al., 2011; Kim et al., 2013; Lee et al. 2013). 따라서 본 조사를 통해 밝혀진 능경봉일대에 분포하는 약용식물자원이 유용성탐색의 소재식물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참고문헌

  1. Chung, Y.H and B.Y. Sun. 1988. Flora on the mountaun area of Mt. Balwang. Kor. J. Environ. Biol. 5(1):19-31 (in Korean).
  2. Hong, M.P. and B.R. Hong. 2010. Vegetation of Oknyeobong, Chilseongdae and Mangdeokbong.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15 (in Korean).
  3. Hwang H.S., J.C. Yang, Y.M. Lee, S.H. Oh, S.J. Ji, S.Y. Jung and H.J. Lee. 2013. Floristic study of Mt. Gyebang Pyeongchang-gun, Gangwon-do in Korea. Symposium and Conference on Forest Recreation Welfare 4:438-441.
  4.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Korea. p. 82 (in Korean).
  5. Kim, E.Y., D.Y. Shin and K. Heo. 2010. Flora of Mt. Byoungdo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4(2):96-106 (in Korean).
  6. Kim, H.J., D.J. Lee, J.J. Ku, K. Choi, K.W. Park, S.H. Kang, C. Moon and P.J. Lee.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n J. Plant Res. 26(2):169-177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3.26.2.169
  7. Kim, Y.S., S.H. Chon, K.H. Kang. 1996. Floristic study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77-98 (in Korean).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2a. The Korean Pharmacopoeia. The KFDA Notification No. 2012-129 (in Korean).
  9.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2b.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The KFDA Notification No. 2012-135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47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12. ________.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492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00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15. Lee, S.E., J.H. Lee, J.K. Kim, G.S. Kim, Y.O. Kim, J.S. Soe, J.H. Choi, E.S. Lee, H.J. Noh and S.Y. Kim.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4):217-226 (in Korean). https://doi.org/10.7783/KJMCS.2011.19.4.217
  16. Lee, S.E, J. Choi, J.H. Lee, H.J. Noh, G.S. Kim, J. Kim, H.Y. Chung and S.Y. Kim. 2013. Screening of useful plant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Plant Res. 26(4):441-449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3.26.4.441
  17.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990 (in Korean).
  1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p. 914, p. 910 (in Korean).
  19. Lee, W.C. 1996.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20. Lee, W.C.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1-33 (in Korean).
  21.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ti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2.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23.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sa, Seoul, Korea. p. 974, p. 885 (in Korean).
  24.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73-220 (in Korean).
  26. Noh, T.H., B.H. Han, J.Y. Kim, M.Y. Lee and K.J. Yoo. 2013.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Daegwallyeong ranch, Gangwon-do (Province)1a. Korean J. Environ Ecol. 27(5):579-591 (in Korean). https://doi.org/10.13047/KJEE.2013.27.5.579
  27.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28.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V. Central Province(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Daejeon & Pocheon, Korea. p. 793 (in Korean).
  29.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372 (in Korean).
  30.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p. 178 (in Korean).
  31. Pyeongchang country office. 2014. Pyeongchang country offices homepage, (http://stat.happy700.or.kr).
  32. Yang, Y.J., H.J. Kim, S.H. Kang and S.C. Kang. 2011. Screening of natural herb resources for anti-oxidative effec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4(1):1-9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1.24.1.001
  33.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77-88 (in Korean).

피인용 문헌

  1. The Flora of Limestone Area, Mt. Seokbyeong vol.29, pp.2,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2.241
  2. Floristic Study of Mt. Baegam (Hongcheon-gun, Gangwon-do) vol.29, pp.2,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2.171
  3. 노추산(정선군, 강릉시)의 관속식물상 및 약용식물 분포 특성 vol.30, pp.1,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6.30.1.058
  4. 불명산(완주군)의 관속식물상 vol.31, pp.1, 2015, https://doi.org/10.7732/kjpr.2018.31.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