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rticulator-distance and Tense in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The case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한국어 음운인식에서의 조음거리와 긴장성 자질의 특성 연구: 영·유아를 중심으로

  • 김충명 (광주대학교 언어.심리치료학부)
  • Received : 2014.10.20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auditory preferences for a discrimination study of minimal pairs with the different onset and the same nucleus of a syllable on the basis of articulator-distance in case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As a result we found a main effect for articulator-distance and age but not an effect according to the types of phonation especially in terms of tense. Former results are line with the previous studies having reported the order of consonants acquisition based on the places of articulation suggesting that more sensitive responses for the contiguous and different phonemes may lead earlier acquisition for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speech sounds. Specifically, bilabial soudns are followed by alveolar and palatal sounds in order. The latter results also showed that tense consonants got a high rate of recognition beside lax consonant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본 연구는 조음거리와 발성유형에 따른 영유아의 자음 음운인식 능력에서의 차이를 규명해 보기 위해 한국어 장애음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집단 내 변인인으로서의 조음거리는, 연음과 경음의 자질을 갖는 1음절 초성의 조음 위치에 의해 구분된 조음점 간 거리로서 음운인식 수행도의 차이에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음운차이 인식 수행력에서 조음거리를 변인으로 한 주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그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행력이 점강하였다. 이는 동일위치나 근접거리 조음점 조건의 음운인식 수행도가 조음점 간 거리가 먼 조건에서의 수행도에 비해 민감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당해 조음점에 인접한 말소리들을 인식하는 능력이 우선 발달하는 결과를 시사함은 물론, 조음 유사성이 조기 음운습득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하겠다. 아울러 집단 간 요인에서도 연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조음거리에 영향을 덜 받는 경향이 있었으며 인접거리 조건에서는 남아대비, 여아의 수행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발성유형 중 긴장성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설정한 조건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령상승에 따른 긴장음의 인식률의 유의한 상승을 관찰하였고, 긴장음 내에서는 여아의 변별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 Byrne and R. Fielding-Barnsley, "Evaluation of a program to teach phonemic awareness to young children: A 1-year follow-up,"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45, No.1, pp.104-111, 1993.
  2. S. Stahl and B. Murray, "Defin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it's relationship to early read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6, No.2, pp.221-234, 1994.
  3. S. Wilson, "Phonemic awareness: a review of literatur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6 462. 1998.
  4. W. Clare and T. Collins, "Pre-school phonological awareness and subsequent literacy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Vol.18 No.3, pp.253-275, 1998. https://doi.org/10.1080/0144341980180301
  5.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Phonemic awareness and the teaching of reading. a position statement from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35 086) 1998.
  6. Rigby, ELIC Unit 1A: Phonemic awareness and phonics instruction, Crystal Lake, IL:Rigby, 1997.
  7. R. Kent, "Anatomical and neuromuscular maturation of the speech mechanism: Evidence from acoustic studi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19, pp.421-447, 1976. https://doi.org/10.1044/jshr.1903.421
  8. R. Kent, "The biologyof phonological development," in C.A. Ferguson, L. Menn, & C. Stoel-Gammon(Eds.)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Timonium, Maryland, York Press, pp.65-90, 1992.
  9. 김민정, 배소영, "'아동용 조음검사'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연령", 음성과학, Vol.12, No.2, pp.139-149, 2005.
  10. 엄정희, 3, 4, 5세 아동의 말소리 발달에 관한 연구: 자음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86.
  11. 배소영, 정상 말소리의 발달(1): 1;4-3;11세의 아동,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1987.
  12. 김영태, "그림자음검사를 이용한 취학전 아동의 자음정확도 연구", 말-언어장애 연구, Vol.1, pp.7-33, 1996.
  13. 홍경훈, 심현섭, "유아의 말소리 발달 특성: 18-24개월 종단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pp.105-124, 2002.
  14.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서울:한국문화사, 2000.
  15. 조명한, 이정모, 김정오, 신현정, 이광오, 도경수, 이양, 이현진, 김영진, 김소영, 고성룡, 정혜선, 언어심리학, 서울:학지사, 2004.
  16. 김유경, 석동일, "언어병리학적 측면에서 음운인식의 본질적 특성 고찰", 언어치료연구, 제15권, 제2호, pp.17-44, 2006.
  17. 안성우, 이창환, 김유, 신영주, 박원경,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들의 음운 인식수행 능력 비교 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8권, 제3호, pp.533-550, 2007.
  18. 신영주, 서유경, 안성우, "아동의 언어능력 수준에 따른 음운인식 특성 비교연구", 언어치료연구, 제15권, 제4호, pp.91-113, 2006.
  19. 김미인,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재인 능력, 음운 인식 능력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연구, 제8권, 제2호, pp.183-205, 2006.
  20. P. W. Jusczyk, K. Hirsh-Pasek, D. G. Kemler-Nelson, L. Kennedy, A. Woodward, and J. Piwoz, "Perception of acoustic correlates of major phrasal units by young infants," Cognitive Psychology, Vol.24, pp.252-293, 1992. https://doi.org/10.1016/0010-0285(92)90009-Q
  21. 김미경, 서경희, "읽기장애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특성연구",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4권, 제4호, pp.241-258, 2003.
  22. 서경희, "읽기장애아의 음운처리 고찰", 정서학습장애연구, 제17권, 제2호, pp.43-70, 2001a.
  23. 김민정, "조음음운능력의 평가", 한국언어병리학회(편), 2005 언어장애 겨울연수회, 서울대학교, 서울, 2005b.
  24. 강진경, 취학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5. 서유경, 안성우, 김유, "단순언어장애유아와 일반 유아의 작업 기억 및 음운 인식 특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217-236, 2005.
  26. 신지현, 김기주, 안성우, 최상배, 김자경, "조음 및 음운 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간의 음운 인식 능력 비교", 한국음성과학회 춘계학술대회. 2005.
  27. 초미희, "한국 유아의 자음발달: 단일 피실험자 연구방법을 채택한 사례연구", 우리어문연구, 제30권, pp.407-433, 2008.
  28. 김민정,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