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Goodwill's Road shop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재현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
  • 정승영 (김포대학교 물류부동산과)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5.11.17
  • Published : 2015.12.10

Abstract

There has been few researches o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goodwill of the st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ed variables which affect goodwill of the store in seoul empirically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goodwill and risk sharing in the commercial lease contract. We have analyzed 1,463 retail unite of goodwill over August, 2015. A regression analysis model is constr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on the goodwill per $m^2$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rent to total start-up cost of ratio and retail property characteristics variables explai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variability of goodwill. The results suggest that retail rents is comparatively more important than size of store. The study suggests that monthly rents to total start-up cost of ratio is the key variable affecting the goodwill of the store.

이 연구는 서울시 상가권리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상가거래에 발생하는 상가권리금, 상가월세, 보증금을 사용하여 상가권리금과 상가임대료와의 인과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2$당 상가권리금과 $m^2$당 상가월세의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상가권리금과 상가월세와의 관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특히, 상가월세의 비중은 상가권리금을 추정할 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가 거래에서 발생하는 상가권리금의 산정을 상가의 특성과 상가임대료를 사용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둘째, 상가월세와 상가보증금이 상가권리금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아울러, 상가매출이 높으면 상가임대료가 높게 형성되며 나아가 업종 및 상권의 특성, 상가임대료의 구성 비율에 따라 상가매매가격의 관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요약하면, 이 연구는 총임대료 대비 월세 비중은 $m^2$당 상가권리금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전명식 공역(1998), 예제를 통한 회귀분석, 서울 : 자유아카데미.
  2. 김정욱.이세환 (2011),권리금에 관한 실증 분석, 부동산학보, 제48집, 한국부동산학회, pp.45-60.
  3. 김태범.최종범.신광식(2012),상가권리금 가격 형성 영향요인 분석,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8권, 제1호, 한국전자통신학회, pp.127-133.
  4. 박성현(1995), 회귀분석, 서울 : 민영사, 1995.
  5. 윤갑석.박태원.고진수(2014),상가권리금 가격형성 영향요인 분석, 부동산학연구, 제20권, 제2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pp.111-124.
  6. 임재현.정승영(2014), 커피전문점 권리금의 결정변수에 관한 연구, 지적과 국토정보, 제44권, 제1호, 대한지적공사, pp.213-226. https://doi.org/10.22640/LXSIRI.2014.44.1.213
  7. 조주현(2010), 부동산학원론, 건국대학교출판부.
  8. 정승영 외 3(2015), 부동산입지론, 서울: 부연사.
  9. 정승영(2009), 부동산자산관리통계학, 서울 : 부연사.
  10. 정승영 외 1(2015), 사업체의 집적이 상가권리금에 미치는 효과, 집합건물법학, 제15권, 한국집합건물법학회, pp.131-152.
  11. 정승영(2015), 보행자통랭량이 상가권리금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지적과 국토정보, 제45권, 제1호, 한국국토정보공사, pp.225-240. https://doi.org/10.22640/LXSIRI.2015.45.1.225
  12. 정승영 외1 (2014), 프랜차이즈 상가권리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집합건물법학, 제13권, 한국집합건물법학회, pp.153-176.
  13. 정승영.도희섭 (2010),상가권리금의 군집분석을 이용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8권, 제2호, 대한부동산학회, pp.291-309.
  14. 허명회(2003), 탐사적 자료 분석, 자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