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tension of Cadastral Registration Objects - Focused on the Registration of Obligations and Restrictions -

지적공부 등록사항 확장 방향성에 관한 연구 - 의무 및 제한사항 등록을 중심으로 -

  • 김영학 (청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적학과) ;
  • 박종철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정보교육원) ;
  • 오부환 (한국국토정보공사 감사실)
  • Received : 2015.10.21
  • Accepted : 2015.11.17
  • Published : 2015.12.10

Abstract

Since the creation of modern cadastral system in 1910's the cadastral system has been modified to comply with a new technical development and diverse requirements.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s for extension of cadastral records has been rarely addressed.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the direction of extension cadastral records from the current a right focused perspective to an obligation and restrictions perspective based on the FIG Commission 7's Cadastre 2014 which is a future vision of cadastral system development. As the extension directions, a legal and technical perspective and functional extension for a role for land information publicity platform has been presented. Considering the extension directions an environment and disaster management field has been reviewed for an applicable fields.

1910년대 근대적 지적제도가 창설된 이후 100여 년간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사회발전에 따른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적 보완은 이루어졌지만 지적공부에서 등록 관리하고 있는 등록사항을 확장하기 위한 방향성 설정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측량사 연명(FIG) 7분과위원회에서 미래 지적제도 발전방향으로 제시한 지적 2014(Cadastre 2014)의 내용 중 첫번째 선언문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의 권리 관점의 지적공부 등록사항을 의무 및 제한사항으로 확대하여 등록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지적공부 등록사항 확장 방향성으로 법률적 확장성과 지하 및 지상 공간 객체로의 확장에 관한 기술적 확장성, 마지막으로 토지와 관련된 정보 공시를 위한 플랫폼 역할을 기능적 확장성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확장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적공부 등록사항 확대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로 환경 분야와 안전관리 분야에 대한 적용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12), 재난관리 총론(Fundamentals of Emergency Management).
  2. 김영학(2008), 지적공부의 형식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0집 1호.
  3. 김영학(2006), 지적행정론, 서울 : 성림출판사.
  4. 류병찬(2002), 지적법, 서울, 건웅출판사.
  5. 박종호(2013), 토지등록형식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종철.김영학(2014), 지적 2014에 기반 한 한국 지적제도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30권 제2호.
  7. 송명수(2014), 지하공간의 3차원 지적정보 관리를 위한 객체 표준화 및 DB 구축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오화련(2010), 우리나라 지적공부 개선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전병성(2003), 환경법상 규제의 실효성 확보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한국국토정보공사(2014), 지적제도의 환경변화에 따른 기회와 도전, 제9회 국제지적심포지엄 논문집.
  11. 한국국토정보공사(1998), 지적2014-미래 지적 제도를 위한 비전.
  12. Daniel Steduler & Abbas Rajabifard(2012), Spatially Enabled Society, FIG Publication No. 58.
  13. Groot, R.K,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National Mapping Agencies development of National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NGDI) (1999), Proceedings of the first meeting of the Committee on Development Information(CODI) of the United Nations, Addis Ababa, Ethiopia.
  14. Kaufmann Jurg & Steudler Daniel, Cadastre 2014-A Vision for a Future Cadastral System, FIG
  15. Paul Van der Molen(2003), Need for change - Some experience of mapping organizations, GIS development.
  16. Steven Ramage(2014), Strengthening the authority of mapping organizations to maximize benefits from spatial data, presented paper in 2014 World Bank conference on Land and Poverty.
  17. Van Oosterom, P.aL., C.H.J.(2012), Geo-ICT technology push vs. cadastral market pull : Overview and Analysis of the Impact of Geo-ICT Development, GIM International.
  18. Williamson I. P., Enemark Stig, Wallace J., Rajabifard Abbas(2009), Land administ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RI Press.
  19. 지적 템플릿(http://www.cadastraltemplate.org)
  20. 환경공간정보서비스 홈페이지(http://egis.me.go.kr)
  21. 국가재난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safekorea.go.kr/dmtd/Index.jsp)
  22.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http://www.safema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