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of Standard Model for 3D Cadastre System Development

3D 지적시스템 개발을 위한 표준모델 설계

  • 정영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공학과) ;
  • 곽병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공학과) ;
  • 고준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5.04.16
  • Accepted : 2015.05.2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existing 2D cadastre as the core engine of land administration systems met with the difficulty of managing and representing the real 3D world. As a result, a 3D cadastre system has emerged as a solution oriented towards managing, representing and providing 3D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physical status, land rights, restric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3D cadastre information system.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aims not only to set up the data range of the 3D cadastre, but also to design a conceptual model based on an LADM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legal restrictions and land uses relating to spaces in 3D.

입체공간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면서 기존의 2차원 지적으로는 입체공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입체공간의 물리적 현황 및 사용권에 대한 정보를 등록 관리할 수 있는 3D 지적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입체공간의 이용 현황 분석을 통해 3D 지적에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하고, 국제표준인 토지행정도메인모델(LADM)을 기반으로 3D 지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모델을 설계함으로써 3D 지적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교통위원회(1994), 도시철도법중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2. 김도환 (2013), 고속도로 터널 건설과 지하보상제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pp. 97-98.
  3. 김영수 (2013), 입체지적을 위한 지목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pp. 6-9.
  4. 서울시 (2011), 입체지적 시범단지 구축사업 완료보고서, pp. 215-231.
  5. 정보통신단체표준(2013), 지하공간입체지적데이터모델(TTAK.KO-10.0668),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p. 19-24.
  6. KS표준 (2014), 토지행정도메인모델(KS X ISO 19152). 국가기술표준원, pp. 5-14.
  7. 위키백과(http://ko.wikipedia.org/wiki/%EB%8C%80%EC%A0%84%ED%84%B0%EB%84%90, 2014.10.20. 검색)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