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which Goon office buildings were reused from existing buildings and to identify remodeling and extension ways of the reused to match Goon's administration work.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 i.e., analysing the digital images, the annotation, and the official documents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o(道), and articles of newspapers and journals. The reused were governmental offices of Joseon(朝鮮) dynasty, existing Goon office buildings of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old buildings with unknown purposes. They were remodelled and extended to match Goon's administration work. Common remodelling was making large space with desks for civil petitions and projecting an small entrance from the center of main building's facade. Common extension was constructing accessory buildings with simple wooden structure, locating them to back or side of the reused, and connecting them through external corridor. As many as 30% of 218 Goon office buildings were reused. About 57% of them were replaced as new office buildings, however the number of the new was rapidly decreased after mid 1930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건물을 전용하는 군청사는 어느 정도 차지하는지, 전용한 군청사의 건축적 특성은 무엇인지, 군청사 기능에 맞게 증개축하는 경우 그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군청사 관련 디지털 도면자료, 해제와 더불어 조선총독부와 각 도 사이에 오고간 문서와 신문 잡지의 기사 도면 사진 등을 발굴 분석하는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한다. 군청사로 전용된 건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지방관립시설, 대한제국기 군청사, 용도를 알 수 없는 건물로 나뉜다. 전용 건물을 군청사의 위상과 기능에 적합하게 개축할 때는 방을 구획하는 벽을 털어내 큰 방을 만들고 접수대를 놓아 직원의 업무공간과 민원인의 대기공간으로 구분했고, 증축은 전면 중앙에 작은 돌출현관을 내달고 간단한 양식 목조의 부속가를 본가의 뒤나 옆에 신축하고 외부연결복도로 이었다. 전용 군청사가 전체 군의 약 30%로 많고 전국에 걸쳐 있었는데, 그 57%가 나중에 신축되는데 절반은 1930년대 전반기 신축되고 이후 급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