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xemption of liability of air carriers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면제에 관한 법적 고찰

  • So, Jae-Seon (Kyung Hee University Law School, Institute of Leg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 Lee, Chang-Kyu (Kyung Hee Institute of Legal, Korea Aerospace University)
  • 소재선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경희법학연구소) ;
  • 이창규 (경희법학연구소, 한국항공대학교)
  • Received : 2015.06.12
  • Accepted : 2015.06.26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ir transport agreement can be divided into air passenger contract of carriage and aviation also of the contract of carriage. And air carriers for damages greater (1) cause reason, of (2) limit reason, (3) exemption reason. Exemption reason for the extinction of the liability for damages in our Commercial Code, the Convention and domestic law are mixed. Convention on the Commercial Code and air transport, air transport people, if it is proved and that it has taken all the measures that ar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damage to overdue damage of passengers, liability is waived. So what was to achieve the requirements of all the actions that are reasonably necessary in any case is a problem. Amendment has the feature that the treaty for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reflect in accordance with the domestic situation, while being struck by international standards encompassing land, sea and air transport, even on the system. However, Commercial Code while mainly reflect the Montreal Convention governing air carrier's liability issues on the contract of carriage, a problem which the Convention had also began to occur together. So the problem due to accept the treaty to fit the domestic situation occurs. There is a need for analysis of all of the actions that are "reasonably necessary, which is defined in the Commercial Code. If there is no claim within Value Date rotor two years to air carriers on the court for the damage caused by air transport, the responsibility of air carriers disappear, sued the period of such two years, what kind of meaning on domestic law extension and stop to be whether it is interpreted, it should be determined to do their aggressive measures for the reasonable care and accident prevention.

항공운송계약은 객체에 따라 항공여객운송계약과 항공물건운송계약으로 분별된다. 항공운송 사고는 인적 물적 피해를 수반하기 때문에 피해의 분석을 다각도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논의는 크게 (1) 원인 사유, (2) 제한 사유, (3) 면제 사유로 나눠볼 수 있다. 우리 상법에서 손해배상책임의 소멸을 위한 면제사유는 조약과 국내법이 혼재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가늠이 필요하다. 상법과 항공운송 관련 조약은 항공운송인은 여객의 연착으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항공운송인측이 손해를 방지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모든 조치를 취하였다는 것 또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는 점을 증명한 경우에는 책임이 면제된다. 그래서 어떠한 경우에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모든 조치의 요건을 달성하였는지가 문제이다. 개정 상법 항공운송편은 국제항공운송에서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조약들의 내용을 우리 실정에 맞게 반영하여 국제적 기준에 맞으면서 체계상으로도 육상 해상 항공운송을 포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법은 운송계약상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문제를 규율하는 몬트리올 협약을 주로 반영하면서 동 협약이 가지고 있던 문제들도 그대로 안게 되었으므로 국내 상황에 맞게 변형 및 생략을 통해 동 협약의 규정을 수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도 생겨나게 되었다. "상법" 제907조 제1항 제909조 제914조에서의 '합리적으로 요구되는 모든 조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항공운송으로 인한 손해에 관하여 항공운송인에게 기산일로터 2년 내에 재판상 청구가 없으면 항공운송인의 책임은 소멸하는데 이와 같은 2년의 제소기간은 국내법상 어떤 의미로 해석되는지 여부와 연장이나 중단은 합리적인 주의와 사고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다하는 것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법제사법위원회, "상법 일부개정법률안(항공운송편) 에 관한 공청회", 2010년 11월 22일.
  2. 김 현, "항공운송인의 책임제한 배제사유(대법원 2006. 10. 13. 선고 2005다 3724 판결)", 법률신문, 2007년 5월 7일자.
  3. 김영주, "국제해상운송과 항해과실면책", 한국해법학회지 제33권 제1호, 2011.
  4. 김종복,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제11집 제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5. 김종복, 신국제항공법, 한국학술정보, 2009.
  6. 대한법무사협회, 법무사, 6월호, 2014.
  7. 법무부, "상법 항공운송편 조문별 해설자료",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55호, 법무부, 2011. 7.
  8. 법무부, 상법 항공운송 편 해설, 2012.
  9. 석광현, "국제항공운송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국제사법적 사고의 빈곤", 법률신문, 2010년 3월 10일자.
  10. 소재선.이창규, "항공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 원인에 관한 법적 고찰",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8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
  11. 양석완, "몬트리올 협약상 항공운송인의 유한책임적용 한계", 통상법률 제87호, 법무처, 2009.
  12. 이강빈, "상법 항공운송편의 항공운송인책임과 개정방향에 관한 고찰", Aviation 시사&논단, 항공정보포탈시스템, 2010.
  13. 이정원, "여객의 인적손해에 대한 해상여객운송인의 배상책임에 관한 검토", 인권과 정의 제446호, 대한변호사협회, 2014.
  14. 이창재,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에 관한 최신 국제협약의 비교", 한국해법학회지 제33권 제2호, 한국해법학회, 2011.
  15. 최세련, "해상운송에서의 제척기간에 대한 검토", 상사법연구 제29권 제3호, 2010.
  16. 최재선, "해상여객운송법제(아테네 협약) 수용방안 연구", 한국해법학회지 제25권 제2호, 2003. 11.
  17. 최준선, "국제항공운송조약의 제소기간", 법률신문 제1601호, 1985년 8월 19일자.
  18. 현덕규, "몬트리올 협약에 의한 국제항공운송계약의 규율", 법률신문 2007년 10월 25일자.
  19. 홍순길 외, 항공운송 및 우주개발 관련 국제조약 및 외국 입법례 분석과 우리나라 법제의 개선과제, 법무부, 2007.
  20. Andrea L. Buff, Reforming the Liability Provisions of the Warsaw Convention: Does the IATA Intercarrier Agreement Eliminate the Need to Amend the Convention?, Fordham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20, 1996.
  21. Karin Paulsson, Passenger Liability, according to the Montreal Convention,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Lund,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