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adolescent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최경숙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 Received : 2015.01.16
  • Accepted : 2015.03.15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s of ethical consumptions and related variables on ethics of adolescents as consumers. This subjects were 55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cores to measure ethical consumptions level of the adolescents was ranged from 2.87 to 3.08, which were relatively low. 2. The ethical consumptions(fair-trade product consumption, donation and giving, local consumption and eco-friendly consumption) in demographic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religion, perceived social class, father's education and mother's education. 3.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the eco-friendly values, materialism, saving, experiencing mass media on affecting the fair-trade product consumption.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ethical consumptions in the donation and giving were materialism,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ing mass media and the eco-friendly values.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local consumption were the eco-friendly values, consumer education experience, materialism, experiencing mass media and saving.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eco-friendly consumption were the eco-friendly values materialism.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을 정착시키기 위해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5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행동에 대한 일반적 경향의 평균값이 2.61(SD=0.81)에서 3.08(SD=0.7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의 경우,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이, 기부와 나눔은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대학이상 집단이, 환경친화적 소비에서도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상층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전문대졸이상 집단이 상대적으로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계층인식, 부와 모의 학력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는 윤리적 소비자교육,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절약성, 대중매체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기부와 나눔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물질주의, 윤리적 소비자교육, 대중매체와 환경친화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로컬소비는 환경친화적 가치, 소비자교육, 물질주의, 대중매체, 절약성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환경친화적 소비의 상대적 영향력은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정착과 함양을 위하여 가치 지향적 윤리적 소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