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n Startup Application Study in the Healthcare Industrial point of View : The Case of Humedix Corporation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주)휴메딕스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4.05
  • Accepted : 2015.06.2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investment in healthcare industry has recently increased not only for global ventures but also for the domestic ventures. However, there has been hardship of founding and investment caused by healthcare startups characteristics that are costly and time consuming.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Lean Startup' theory to healthcare ventures was explored through the case of a domestic startup which accomplished funding from VC and KOSDAQ after establishing based on its technology in healthcare industry. There have been numerous case studies that applied 'Lean Startup' to IT industry. However, this case study that applied 'Lean Startup' to healthcare industry have some implications as follow: First, it is critical to conduct a hypothesis testing at initial research stage through R&D of 'MVP' (Minimum Viable Product) as the prototype testing is strictly prohibited in healthcare industry. Second, healthcare R&D teams ought to be well organized as startup teams and all resear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entrepreneurship as the licensing process in healthcare industry is time-consuming and costly due to issues like clinical studies. Lastly, management skills as smart and light as 'Lean Startup' are required in order to encourage young engineers' technology startups.

최근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헬스케어 산업의 특성은 창업 활성화 및 투자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IT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에 적용되어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린스타트업 방법론이 헬스케어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산업분야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업하여 벤처캐피탈 투자유치 및 코스닥 상장까지 이룬 기업의 사례를 통해서 IT 산업분야 초기 창업기업에 적용되어 왔던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이론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헬스케어 산업분야의 특성 및 린스타트업 관점의 접근을 통한 사례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제품의 테스트가 법으로 엄격히 규제되어 있는 헬스케어 산업분야의 기술창업일수록 린스타트업 이론에 의한 최소요건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 개발을 통한 가설검증이 중요하다. 둘째, 헬스케어 산업과 같이 전임상(pre-clinical study), 임상 시험 등 인허가 과정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산업일수록 연구조직을 스타트업(Startup) 조직으로 구성하고 연구원의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함양해야 된다. 셋째, 젊은 엔지니어의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 함양과 같은 응용인문학 교육과 더불어 린 스타트업과 같은 스타트업을 위한 차별화된 경영기법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