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cows using BSC founder for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business consulting

BSC를 이용한 소상공인 창업자를 위한 자영업컨설팅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안성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 조윤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
  • 조인석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영상창업대학원)
  • Received : 2015.05.04
  • Accepted : 2015.06.1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us this study looked into existing literature focusing on generalities, and after literature studies, hypothesis was set up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study. According to literature examination, self employed consulting was found to be comprised of four areas: awareness,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while consulting could be divided into four customer perspectives: customer, financial, internal processing, and learning and growth.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causes, and we describe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pursuant to self employed business consulting as follows: In this study, we examine an overall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measurement by adopting the four variables of self employed business consulting, and enhance the chance of success by having systematic access to business establish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he small business start-up, it is important to choose such items that fit the founder's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zone, and a successful founding of a business will be accomplished only when sufficient funding is combined with successful running, therefore, most importantly, striking a balance between the factors should start with the founder as the center, and there must be professional business knowledge and technical assistance by the business start-up support agency.

본 연구는 소상공인기업들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대상에게 균형성과표(BSC)를 이용한 자영업컨설팅에 어떤 요소가 자영업컨설팅의 네 가지 영역(인지도 영역, 신뢰성 영역, 만족도 영역, 활용도 영역)중 어떤 요인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체계적인 방향으로 컨설팅을 실천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 소상공인기업과 종업원들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영업컨설팅과 컨설팅 성과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 초점을 두어,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일반적 사항을 고찰하였고,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문헌연구에 따르면 자영업컨설팅은 인지도 영역, 신뢰성 영역, 만족도 영역, 활용도 영역의 네 가지 영역과 컨설팅 성과는 고객성과, 재무성과, 내부프로세스성과, 학습 및 성장성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들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자영업컨설팅의 네 가지 변수를 채택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으로 성공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상공인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인의 경험과 상권 내 특색에 맞는 사업아이템을 선정하고,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충분한 자금조달과 창업 후 경영관리가 잘 조합 될 때 성공적인 창업이 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조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창업자인 자신이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하며,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지원기관의 전문적이고 경영적인 지식과 기술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