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산업용 머니퓰레이터는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정밀한 제어성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 하는 머니퓰레이터의 속도 제어기 설계 문제를 다룬다. 부하 변동에 따른 파라미터 불확실성과 중력에 의한 정현파 외란은 속도 제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구적으로 중력 보상기나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ler(FLC)를 통한 비선형 항의 소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2]. 하지만 중력 보상기를 통한 방법은 제작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고, 소거를 통한 방법은 파라미터 불확실성에 대한 추가적인 고급 제어 기법들의 구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현이 복잡한 강인 제어 기법 대신 외란 관측기에 기반한 제어기를 설계한다[3-6]. 파라미터 불확실성 및 정현파 외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내부 모델의 원리를 적용한 외란 관측기를 도입한다[7]. 간단한 제어기 구현을 위해 1차 공칭 시스템을 사용하고 주 제어기로 PI 제어기를 설계한다. 제어에 필요한 속도 정보는 불확실성 및 외란에 강인한 PI 관측기로 추정한다[2].
제안하는 제어기의 성능 확인을 위해 FLC와 기존의 일반적인 외란 관측기(QDOB) 기반 제어기를 모의실험으로 비교한다. 등가 외란 전달함수 보드선도를 이용해 개선된 제어 성능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Q-필터를 사용한 외란 관측기를 QDOB라 부르고, 내부 모델의 원리를 적용한 Q-필터 기반 외란 관측기를 IM_QDOB라 지칭한다.
2. 시스템 모델과 외란 관측기
2.1 시스템 모델
본 논문에서는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하는 1축 머니퓰레이터의 속도 제어 문제를 다룬다. 구동부는 DC 모터, 입력 u는 인가 전압이며, 측정 가능한 출력은 모터 각도(θ)이다.
위 식에서 Jt = Jm + JL 이고, Jm 과 JL = ML2/n2 은 각각 모터와 기어 및 부하에 의한 관성 질량이다(M : 질량, L : 링크 길이, n : 기어 비). Bm은 마찰 계수, La과 Ra는 모터의 인덕턴스와 저항, Kt는 토크 상수, Kb는 역기전력 상수이고, △는 느리게 변하는 미지의 외란이다[3-5].
2.2 외란 관측기
외란 관측기는 외란과 파라미터 불확실성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3-5]. 그림 1에서 P는 실제 시스템, Pn은 공칭시스템, C는 공칭 시스템에 대해 설계된 주 제어기, Q는 저주파 통과 필터인 Q-필터이다[4]. 일반적으로 다음 절에서와 같이 상대차수가 1인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간단한 Q-필터를 생각할 수 있다(시정수: τ1 ).
그림 1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기 구조 Fig. 1 Structure of disturbance observer based controller
외란이 존재하는 저주파 영역에서 Q(s) ≅1이므로 출력에서 외란의 영향이 제거되고 아래 식과 같이 주 제어기와 공칭 시스템에 의한 폐루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3. 제안하는 제어기
3.1 PI 속도 제어기 설계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주 제어기는 1차로 근사한 공칭 시스템에 대한 PI 제어기이다. 근사를 위해 전기 시스템의 동특성을 무시하고 마찰 항을 외란에 포함시켜 생각한다[6]. 식 (1)에서 회전부하로 인한 비선형 항 (MgL/n) sin (θ/n)과 외란 △를 하나의 외란으로 처리하면 입력에서 속도까지 공칭 전달함수는 아래 식과 같다 (Jn은 Jt의 공칭 값).
PI 제어기의 이득 Kp = (ωs Jn Ra ) / Kt와 Ki = ωs Kb라면 속도 폐루프 식은 아래와 같다(ωs : 폐루프 대역폭).
실제 시스템과 공칭 시스템의 차이 및 추가적인 불확실성과 정현파 외란은 내부 모델 기반 외란 관측기로 보상한다.
3.2 내부 모델 기반 외란 관측기(IM_QDOB) 설계
IM_QDOB는 일반적인 외란 관측 기능에 더하여 내부 모델 원리에 따라 추가적인 시변 외란을 보상한다[7]. 본 논문에서 외란은 느리게 변하는 외란 △ 및 정현파 외란을 포함하고, 정현파 외란의 각주파수(ωd)는 링크의 각속도(ω)이다. 공칭 시스템의 상대차수가 1이므로 Q-필터의 분모항을 3차, 분자항을 2차로 설계한다.
식 (6)의 분모 계수는 Q-필터가 안정하게 설계한다 (τ2 : 시정수). 분자의 계수를 c0 = a0로 설계하면, 외란에서 출력 전달함수의 분자에 외란 주파수(ωd)를 포함한 항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 출력에서 정현파 외란의 영향이 점근적으로 사라진다.
3.3 속도 PI 관측기 설계
주 제어기와 IM_QDOB에 필요한 속도를 추정하기 위해 불확실성에 강인한 PI 관측기를 설계한다[2].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시스템 식을 고려한다.
단, 이다.
외란 ζ 가 관측기 수렴 속도에 비해 느리다고 가정하고 관측기 를 설계하면 식 (8)과 같고, 관측오차 시스템 (9)가 안정하도록 관측기 이득 L1 과 L2를 설계한다. 이 때, 추정된 상태 중 속도 추정치 만 제어기 설계에 사용된다. 관측기의 입력 u는 IM_QDOB가 추정한 외란을 보상하기 전의 PI 제어기 출력을 사용한다.
4. 모 의 실 험
제안하는 제어기(PI+IM_QDOB)의 성능 확인을 위해 FLC 및 PI+QDOB의 모의실험 결과와 비교한다. 시스템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부하 질량 M의 공칭 값은 2.5[kg], 외란 △ = 0.02 + 0.03sin(3t)이고, 제어 주기는 0.1ms이다. PI 제어기는 ωs = 100, 속도 관측기 극점은 -600(중근), Q-필터 시정수 τ1 = τ2 = 5ms, a2 = a1 = 3, a0 = 1, ωd = 10으로 설계하였다.
표 1대상 시스템 파라미터 Table 1 System Parameters
그림 2는 FLC 제어식 (10)을 적용한 시스템 출력과 일반적인 PI+QDOB를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2FLC와 PI+QDOB 제어기의 적용결과 Fig. 2 Results with FLC and PI+QDOB
FLC의 경우 파라미터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스템 출력에 진동이 발생한다. PI+QDOB 적용 결과는 개선된 성능을 보이지만 확대한 그림에서 진동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림 3은 제안하는 제어기의 결과이다. PI+IM_QDOB 적용 시 시스템의 출력이 속도 지령을 잘 추종함을 알 수 있고, 확대 그림에서도 강인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란 주파수 변동에 대한 강인성 실험으로 속도 지령의 ±20%변동에도 기준 입력을 충실히 추종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3PI+IM_QDOB 제어기의 적용결과 Fig. 3 Results with PI+IM_QDOB
그림 4는 QDOB와 IM_QDOB를 사용할 때 등가 외란(de )에서 추정 외란까지 전달함수 보드선도를 비교한 것이다. 등가 외란은 외란 관측기의 추정 외란을 보상하는 위치에서 유입되는 외란으로 생각한다.
이 때, 이다.
그림 4등가 외란 전달함수 보드선도 Fig. 4 Bode plot of equivalent disturbance transfer function
일반적인 QDOB 적용 시 입력 외란 주파수(ωd = 10)에서 크기와 위상이 각각 음의 값을 가지므로 크기가 작고 위상이 지연된 추정치로 외란 보상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IM_QDOB의 경우 크기와 위상의 왜곡이 거의 없어 정확한 외란 보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QDOB에 비해 대역폭이 넓어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지면에 수직으로 회전 운동하는 1축 머니퓰레이터의 속도 제어 문제를 다루었다. 간단한 제어기 설계를 위해 1차 시스템으로 근사한 공칭 모델에 대한 PI 속도 제어기를 사용하고, 실제 시스템과의 차이와 파라미터 불확실성 및 정현파 외란에 대처하기 위해 IM_QDOB를 설계하여 제어 목표를 달성하였다. 이 때, 속도 정보는 위치 정보로부터 PI 관측기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비선형항의 소거를 통한 FLC 및 일반적인 QDOB를 적용한 제어기와 비교 모의실험하고 보드선도 해석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향후 실험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 분석이 진행될 계획이다.
References
- J.G. Park, J.Y. Lee, S.H. Kim, S.R Kim, “Optimal Design of Passive Gravity Compensation System for Articulated Robots”, Trans. Korean Soc. Mech. Eng. A, vol. 36, pp.103-108, 2012.
- S.E. Talole, J.P. Kolhe and S.B. Phadke, “Extended State Observer Based Control of Flexible Joint System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7, pp.1411-1419, 2010. https://doi.org/10.1109/TIE.2009.2029528
- N.S. Kang, Nam H. Jo, “A Study on the Controller Design for EMS System Using Disturbance Observer”, Trans. of KIEE, vol. 62, pp.1264-1269, 2013.
- Y. Choi, K. Yang, W.K. Chung, H.R. Kim, and I.H.S uh, “On the Robustness and Performance of Disturbance Observers for Second-Order Systems”, IEEE Trans. Autom. Control, vol. 48, pp.315-320, 2003. https://doi.org/10.1109/TAC.2002.808491
- J. Back and H. Shim, “Adding Robustness to Nominal Output Feedback Controllers for Uncertain Nonlinear Systems: A Nonlinear Version of Disturbance Observer”, Automatica, vol. 44, pp.2528-2537, 2008. https://doi.org/10.1016/j.automatica.2008.02.024
- G.J. Jeong, I.H. Kim, Young I. Son, “Design of a Robust Controller for Position Control of a Small One-Link Robot Arm with Input Time_Delay”, Trans. of KIEE, vol. 59, pp.1179-1185, 2010.
- G. Park, Y. Joo, H. Shim, “Asymptotic Rejection of Sinusoidal Disturbances with Recovered Nominal Transient Performance for Uncertain Linear Systems”, Proc. of 53rd IEEE Conf. Decision and Control, Los Angeles, CA, pp.4404-440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