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Differentiation of the Startups Jobs and Their Qualities in Local Labour Market Areas in Korea

  • 안은경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An, Eunkyu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 Y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5.05.02
  • 심사 : 2015.05.29
  • 발행 : 2015.06.30

초록

세계 금융위기 이후 일자리 창출은 여러 국가들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이 수행되고 있다. 최근에 들어 창출되는 일자리들이 고임금, 상용 일자리보다는 저임금, 임시직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권별 일자리 창출 격차를 일자리 양과 질적 측면에서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노동 수급률과 최소 고용규모를 기준으로 설정된 121 지역노동시장권(LLMAs)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고용 규모의 차이를 반영하여 121개 지역노동시장권을 3그룹(광역-중소-농어촌)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자리 창출 특성이 지역노동시장권별로 차별화되고 있다. 고부가가치 일자리와 고임금 일자리들은 광역 지역노동시장권에서 주로 창출되는 반면에 상용 일자리는 농어촌 지역노동시장권에서 창출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일자리 창출은 지역경제 수준과 어느 정도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 지역노동시장권의 경우 일자리의 질이 지역경제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인 반면에 농어촌 지역노동시장권의 경우 일자리 양이 지역경제 수준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성장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노동시장권별 일자리 창출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job creation has been the most pressing issue after financial crisi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Various policies for creating job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revitalize regional economy in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the jobs have been created more in low-wage and part-time work than high-wage and full-tim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of startups job in local labor market areas(LLMAs) in terms of job quantity as well as job quality. As the spatial unit, 121 local labor market areas which were delineated based on self-containment rate(demand and supply side of labor market) and numbers of resident workers are used. Also due to difference of the size of employment, LLMAs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large, Medium, small LLMA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creation are varied among 3 groups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Highly waged and highly value-added jobs have been created more in large LLMAs, but full-time jobs created more in small LLMAs. Secondly, the job creation of LLMAs is somewhat weakly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While the quality of jobs is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Medium LLMAs, the quantity of job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small LLM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som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effective policy to create jobs related to regional economy, indicating that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3 groups of LLMAs is critically importa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