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Process-based Mathematics Children's Verse Writing Activities on Mathematics Achievements and Attitudes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가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2.08
  • Accepted : 2015.06.2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process-based writing poem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For this study, we chose 1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ir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when using process-centered writing poem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Process-based mathematics and writing programs developed mainly on the geometry units were composed of four levels, idea generation, idea selection, use and idea organization grouped into similar sections in order to separate into two sections. The results of the practice of this study's probl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based mathematics and writing activity of geometry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lthoug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urth and fifth grad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were found. Second, in regards to attitudes in mathematics, process-based mathematics and writ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impact.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ttitudes was evident in all grades. It confirmed the effective facilitation of interest and enjoyment towards learning mathematics by 4th, 5th and 6th graders who had undertaken these mathematics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수업에 동시를 도입하여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노원구의 Y초등학교 4, 5, 6학년 각각에 실험반과 비교반을 선정하여 128명의 학생들에게 개발한 프로그램을 2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개발한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활동 프로그램은 아이디어 생성하기, 아이디어 선택 적용하기, 아이디어 정리하기, 작품화하기의 4단계로 구성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는 통계프로그램인 I-Statistics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단원의 모든 차시 수업이 끝난 후 수업 반응에 대하여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형 영역에서의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활동은 4학년과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6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모든 학년에서 수학적 태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후속연구로 수학 동시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자료의 개발과 효과적인 다양한 수학 수업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PRE 2009-7-2.
  3. 김민정, 논은환 (2007).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289-302.
  4. 김은실 (2011).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희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5. 류별아 (2005). 아동의 시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반응중심 시 창작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6. 명혜경 (2007).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 수학 쓰기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7. 박현철 (2014).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활동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4,5,6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8. 안종수 (2010). 수학에 관한 편지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63-184.
  9. 이승운, 정은실 (2005). 생활중심 수학보고서 쓰기가 수학학업성취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 연구, 28, 21-37.
  10. 이종희, 김선희 (2002).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
  11. 전지영 (2011). Skemp의 스키마 학습이 학습 효과와 파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2. 정신애 (2008).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 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조미경 (2011). 과정중심 쓰기활동 프로그램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최계현, 황우형 (2014). 상호또래교수에서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3(1), 1-24.
  15. 최은미 (2009). 도형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표현 능력 실태조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16. 한국교육개발원 (1992). 수학 정의적 성향 검사지.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한혜숙, 노수혁 (2010). 5학년 아동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말하기, 쓰기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05-124.
  18. 허도하 (2010).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 Idris, N. (2009).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in calculus through writing.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4(1), 36-54.
  20. Ishii, D. K. (2003). First-time teacher-researchers use writing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The Mathematics Educator, 13(2), 38-46.
  2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12). PISA 2012 results in Focus: 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OECE PISA 2012 report. Retrieved on September 5, 2014 at http://www.oecd.org/pisa/keyfindings/pisa-2012-results.htm
  2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3. Park, D., Ramirez, G., & Beilock, S. L. (2014). The role of expressive writing in math anxie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Applied, 20(2), 103-111. https://doi.org/10.1037/xap0000013
  24. Pugalee, D. K. (2005). Writing to develop mathematical understanding. Norwood, MA: Christopher-Gordon.
  25. Russek, B. (1998). Writing to learn mathematics.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9, 36-45.
  26. TIMSS and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14).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Retrieved on September 5, 2014 at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1/international-results-mathematics.html
  27. Urquhart, V. (2009). Using writing in mathematics to deepen students learning. Retrieved on December 20, 2014 at http://files.eric.ed.gov/fulltext/ED544239.pdf